알카에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알 카이다에서 넘어옴)

Picto infobox military.png
알카에다
القاعدة  (아랍어)
테러와의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소말리아 내전, 마그레브 반란 (2002년~현재), 이라크 전쟁, 시리아 내전, 아랍의 겨울에 참전
Flag of Jihad.svg
알카에다의 기
56식 자동소총으로 무장한 알카에다 군사
56식 자동소총으로 무장한 알카에다 군사
활동기간 1988년 ~ 현재
이념 살라프파 지하드주의
쿠틉주의
범이슬람주의
반식민주의
반미주의
반서방주의
반유대주의
지도자 압달라 아잠(1988년 ~ 1989년)
오사마 빈 라덴(1989년 ~ 2011년)
아이만 알자와히리(2011년 6월 ~ 2022년 7월 31일)
활동지역 서남아시아, 남아시아, 북아프리카, 동아프리카, 서유럽, 동남아시아
병력 아프간: 300 ~ 3,000[1][2]

마그레브: 800 ~ 1,000 이상[3][4]
서아프리카: 100 이상[5][6]
아라비아: 1,000 ~ 3,000 이상[7][8]
인도 아대륙: 300[9]
소말리아: 7,000–9,000[10]
레반트: 10,750[11][12]
총계: 19,865 ~ 28,050 이상

동맹단체 탈레반 탈레반

파키스탄 탈레반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
튀르키스탄 이슬람당
라쉬카르에타이바
자이시 에 무함마드
제마 이슬라미야
아부 사야프
이마라트 캅카스
이집트 이슬람 지하드

동맹국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적대단체 유엔 국제연합
유럽 연합의 기 유럽 연합
북대서양 조약 기구

이슬람 국가
헤즈볼라
하마스
후티

적대국가 미국
영국 영국
프랑스 프랑스
이스라엘 이스라엘
이탈리아 이탈리아
스페인 스페인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뉴질랜드
대한민국 대한민국
일본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베트남 베트남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인도 인도
이란 이란
레바논 레바논
필리핀 필리핀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라크
시리아 시리아
예멘 예멘
알제리 알제리
리비아 리비아
소말리아 소말리아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네팔 네팔
미국, 영국 영국, 프랑스 프랑스, 러시아 러시아,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일본, 튀르키예 튀르키예,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뉴질랜드, 인도 인도, 파키스탄 파키스탄, 대한민국 대한민국, 베트남 베트남, 이란 이란, 이스라엘 이스라엘,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라크, 시리아 시리아, 예멘 예멘, 알제리 알제리, 리비아 리비아, 소말리아 소말리아,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네팔 네팔, 유엔 국제연합, NATO, 유럽 연합 유럽연합
정부에 의해 테러조직으로 지정

알카에다(아랍어: القاعدة 알카이다[ælqɑːʕɪdɐ][*],al-Qaeda 또는 al-Qaida)는 사우디 아라비아 출신인 오사마 빈 라덴이 창시한, 극단적 살라프파 무슬림에 의한 국제 무장 세력망이다. 소위 이슬람 원리주의 계통에 속해 반미국, 반유대를 표방한다. 1990년대 이래 주로 미국을 표적으로 테러했다고 일컬어지며, 많은 사건을 대상으로 하여 스스로 그 실행을 인정하는 이 과격파 국제 테러 조직은 2001년 미국에 동시다발 테러를 단행하여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에 충격을 주었으며, 대테러전으로 수행된 같은 해의 영국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그 때까지 자신들이 비호하던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 정권이 타도되어 크게 타격을 입었다. 이러한 알카에다의 과격 테러로 인해 주변 중동국가들마저도 알카에다에 매우 적대적인 입장이다.

역사[편집]

기원[편집]

알카에다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침공에 대항한 이슬람 의용군(무자헤딘)이 연대한 조직이 기원이다.[13] 그 후에 걸프 전쟁을 계기로 미국이 군대를 사우디 아라비아에 있는 이슬람교 제2대 성지 메카메디나에 상주하게 한 만행이 계기가 됐다. 이런 만행으로 말미암아 미국에 심정상 반발하던 무자헤딘들의 의식이 결합되었고 반미국 투쟁으로서 진화했다. [출처 필요]

테러[편집]

1990년대에 시작된 투쟁은 해를 거듭할수록 과격해져서 2001년에는 뉴욕 세계무역센터와 워싱턴 DC 국방부 건물 테러 사건, 같은 해 사우디아라비아에 소재한, 미국 군대 기지 폭파 사건, 케냐탄자니아에 있는, 미국 대사관 폭파 사건, 예멘 근해에 체류한, 미국 군함인 콜을 습격한 사건에 관여했다고 간주되며 2000년에는 미국 뉴욕에 소재한 세계무역센터 비행기 테러 사건을 단행하면서 마침내 2001년 미국을 동시다발 테러한 외에서 동남아시아 각국의 반정부 이슬람 과격파 조직과도 연락하였다고 의심받는다. 2003년 말 이후는 미국영국이 수많은 민간인을 죽이고서 점령해 통치하는 이라크에 알카에다계 활동 인원이 다수 잠입하였으며, 2004년미국인 닉버그 몇 명과 김선일 처형에 간접으로 연관됐다고 간주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Bill Roggio (2011년 4월 26일). “How many al Qaeda operatives are now left in Afghanistan? - Threat Matrix”. Longwarjournal.org. 2014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10일에 확인함. 
  2. “Al Qaeda in Afghanistan Is Attempting A Comeback”. 《The Huffington Post》. 2012년 10월 21일. 2013년 1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10일에 확인함. 
  3. “Al-Qaeda in the Islamic Maghreb (AQIM)”.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5년 3월 27일. 2015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2일에 확인함. 
  4. “Profile: Al-Qaeda in North Africa”. BBC. 2013년 1월 17일. 2015년 7월 2일에 확인함. 
  5. “Mali: qui sont les nouveaux chefs des katibas jihadistes?”. 《Radio France internationale》. 2014년 5월 14일. 2015년 8월 19일에 확인함. 
  6. “Notorious Extremist Said to Head Al-Qaida West Africa Branch”. 《abc》. 2015년 8월 15일. 2015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19일에 확인함. 
  7. “Al-Qaeda map: Isis, Boko Haram and other affiliates' strongholds across Africa and Asia”. 2014년 6월 12일. 2014년 8월 29일에 확인함. 
  8. “The Failure of Counterinsurgency: Why Hearts and Minds Are Seldom Won”. 2013. 2015에 확인함. 
  9. “Al Qaeda finds base in India, Modi is on its radar”. 《The Sunday Guardian》. 2014년 3월 29일. 2014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5일에 확인함. 
  10. “Jihadist groups across globe vying for terror spotlight”. Fox News Channel. 2014년 7월 10일. 2015년 1월 7일에 확인함. 
  11. http://www.csmonitor.com/World/Middle-East/2015/0504/Syria-crisis-Spooked-by-rebel-gains-Jordan-doubles-down-vs.-Islamic-State-video
  12. http://www.longwarjournal.org/archives/2015/09/foreign-fighter-group-officially-joins-al-nusrah-front.php
  13. 김주영 (2011년 5월 2일). “오사마 빈라덴이 이끈 무장단체 '알카에다'는?”. 마이데일리. 2011년 5월 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