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폰소 7세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5년 9월) |
알폰소 7세
Alfonso VII | |
---|---|
![]() | |
카스티야 국왕 | |
재위 | 1126년 - 1157년 |
전임 | 우라카 |
후임 | 산초 3세 |
신상정보 | |
가문 | 보르고냐 이브레아가 |
부친 | 라이문트 |
모친 | 우라카 |
배우자 | 베렝구엘라 데 바르셀로나 |
자녀 | 산초 3세 페르난도 2세 |
종교 | 로마 가톨릭 |
알폰소 7세(Alfonso VII, 1104년(?) ~ 1157년)는 부르고뉴의 레몽의 아들이며 알폰소 6세의 손자로서 그에게서 황제의 자리를 물려받았다. 재위 기간에 중세 스페인 역사상 통일제국의 이념이 최고도에 이르렀고 무어인과 싸워 커다란 승리를 거두었지만 그는 다소 멍청한 인물이었다.
그가 어렸을 때 어머니 우라카와 그녀의 2번째 남편인 아라곤의 알리폰소 1세는 레온-카스티야에 대한 지배권을 놓고 싸움을 벌였다. 우라카가 죽고(1126) 나서야 알리폰소 1세는 비로소 자신의 권리를 포기했다. 그후 알폰소 7세는 아라곤과 팜플로나(나바라)의 왕들 및 바르셀로나 백작, 여러 스페인계 무어족 통치자들에게 공식적으로 황제로 인정받았다.
그는 무어인들로부터 알메리아를 빼앗았고(1147), 그밖에도 여러 차례 승리해 명성을 얻었지만 결국 영토를 확장하지는 못했다. 1157년 알메리아를 다시 빼앗겼으며 코르도바도 점령한 지 3년 만에 다시 빼앗겼다. 1146년 북아프리카의 이슬람 왕조 사람인 알모아데가 다시 쳐들어오기 시작했다. 이에 알폰소는 알모라비데와 동맹을 맺고 남부 스페인에서 알모아데의 팽창을 저지하기 위한 전투를 벌였으며 계속되는 이 전투에 여생을 바쳤다.
이무렵 통일 제국 사상이 매우 중요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페인 분리주의자들의 세력도 결코 잠잠하지는 않았다. 알폰소는 포르투갈이 독립왕국(1140년)이 되는 것을 저지할 수 없었다. 또한 그는 스페인의 풍습에 따른 유언을 남겨 카스티야를 큰아들 산초 3세에게, 레온을 페르난도 2세에게 나누어주었다. 이러한 조치는 중세 스페인에서 통일 제국의 개념을 완전히 무너뜨렸다.
전임 우라카 |
카스티야의 국왕 1126년 - 1157년 |
후임 산초 3세 |
전임 우라카 |
레온의 국왕 1126년 - 1157년 |
후임 페르난도 2세 |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