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타이우는토끼
![]() | ||||||||||||||
![]() 알타이우는토끼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Ochotona alpina (Pallas, 1773) | ||||||||||||||
아종 | ||||||||||||||
| ||||||||||||||
![]() 알타이우는토끼의 분포 지역 | ||||||||||||||
이명 | ||||||||||||||
O. ater Eversmann, 1842 O. nitida Hollister, 1912 |
알타이우는토끼 또는 알타이피카(Ochotona alpina)는 우는토끼과에 속하는 토끼목 종의 하나이다.[2] 카자흐스탄과 몽골, 러시아에서 발견된다. 고산우는토끼 또는 고산피카로도 불린다.
아종[편집]
4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2]
- O. a. alpina Pallas, 1773
- O. a. changaica Ognev, 1940
- O. a. cinereofusca Schrenk, 1858
- O. a. sushkini Thomas, 1924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 ↑ Smith, A.T.; Cook, J. (2016). “Ochotona alpina”. 《IUCN 적색 목록》 (IUCN) 2016: e.T41255A45182115. doi:10.2305/IUCN.UK.2016-3.RLTS.T41255A45182115.en.
- ↑ 가 나 Hoffman, R.S.; Smith, A.T. (2005). 〈Order Lagomorpha〉 [토끼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85–186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