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식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대교의 안식일 테이블 세팅

안식일(安息日, 히브리어: שבת 샤밭, 영어: Sabbath, 스페인어: Sábado)은 '편하게 쉬는 날'을 의미한다. 창세기 1장에서 창조주가 6일동안 창조의 일을 하고 제7일에 안식하셨다는 내용에서 유래한다.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에서 중요하게 여기며 요일상 금요일 일몰부터 토요일 일몰까지이다. 성경에 있는 안식일은 구약의 안식일과 신약의 안식일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날에 정통 유대교인, 사마리아인 및 특정 기독교인(예:제칠일침례교회,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제칠일오순절교회,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등)과 기독교계 신흥종교단체(예: 하나님의 교회, 참예수교회 등)는 안식일을 준수하며 창조주의 기념일을 기리는 예배를 드린다. 안식일 준수를 위해 활동을 엄격하게 통제하고 자제하는 교단도 있다. 안식일에 대한 변형은 유대교에 널리 퍼져 있으며, 아브라함 계통의 수많은 종교와 교단에 걸쳐 서로 다른 형태로 적용되어 있다.

유대 종교법에 따르면 안식일은 금요일 저녁 일몰 몇 분 전부터 토요일 밤하늘에 별 3개가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을 가리킨다. 안식일은 집례자가 촛불을 켜고 축복을 외우면서 진행된다. 전통적으로 세 가지 축제의 식사가 제공되는데, 첫 번째는 금요일 저녁에, 두 번째는 전통적으로 토요일에 점심 식사로 이뤄지며, 세 번째는 늦은 오후에 개최된다. 저녁 식사와 이른 오후 식사는 일반적으로 키두쉬라는 축복과 두 개의 할라 덩어리에 대한 또 다른 축복으로 시작된다. 세 번째 식사에는 키두쉬가 언급되지 않지만 두 개의 할라 덩어리는 동일하다. 안식일은 토요일 저녁에 하브달라 축복으로 마쳐진다.

안식일은 유대인들이 일상 생활의 규칙적인 노동에서 벗어나 자유를 행사하는 축제의 날이다. 유대인들은 안식일을 통해 인생의 영적인 면을 묵상하고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안식일의 기본적인 의미[편집]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출애굽기 20:8)고 명명된 십계명의 네 번째 계명으로, 안식일을 지키지 않는 사람은 죽임을 당할 정도로(민수기 15:32-36) 중요한 날로 인식이 된다. 하나님과 백성 사이의 대대의 표징이라고 표현하였다.(출애굽기 31:13) 유대인들은 성경에 기록된 대로 하나님과의 언약으로 인식하고 지키고 있다.(출애굽기 31:13–17)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

너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기를 너희는 나의 안식일을 지키라 이는 나와 너희 사이에 너희 대대의 표징이니 나는 너희를 거룩하게 하는 여호와인 줄 너희로 알게 함이라

안식일의 유래[편집]

히브리어 שבת은 '하나님이 쉬시다'는 뜻이다. 성경에서 안식일은 하나님이 천지 만물을 6일간 창조하시고 제7일에 쉬셨다는 내용에서 유래한다(창세기 2:1). 안식일은 사람을 위해 하나님이 쉬신 것이다(마가복음 2:27). 성경에서 안식일은 '일곱째 날'로 표현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요일 체계에서는 토요일에 해당된다. 하나님은 일곱째 날을 거룩하게 지키라고 하셨으나(레위기 23:1), 사람들이 안식일을 잘 지키지 않자, 느헤미야는 좀 더 강하게 안식일 전날 저녁부터 안식일을 지키라고 명한 적이 있다(느헤미야 13:19-21).

구약 안식일의 제사 형식과 예법[편집]

구약시대에는 안식일마다 하나님께서 정한 시간에 맞춰 수양으로 번제를, 일정량의 곡식가루와 기름으로 소제와 전제를 드렸다.(민수기 28:9-10) 일반인들은 각 처소에 거하며 아무 일도 하지 않고 불조차 피우지 않았다.(출애굽기 35:2-3) 이를 어기고 안식일에 일을 하면 그 사람은 돌에 맞아 죽임을 당했다. 성경에는 어떤 사람이 안식일에 나무를 하다 발각되어 죽임을 당한 사례가 기록되어 있다(민수기 15:32-36) 구약의 안식일에 제사장들은 성소에서 백성들이 죄를 용서받을 수 있도록 제사를 드리는 직무를 담당했다.

신약 안식일의 제사 형식과 예법[편집]

신약시대에는 안식일에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를 드린다.(요한복음 4:23)

신약시대 안식일 논란[편집]

이는 구약의 안식일과 신약의 안식일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수와 함께한 제자들이 안식일에 밀밭에서 밀을 베어 먹는 제자들을 구약 율법 주의자들이 지적한 일이 있었다. 이 일에 대하여 예수께서는 아무 죄가 없음을 알려 주시고(마태복음 12:1-5), 그것을 통해 안식일의 예법이 달라졌음을 표현한 것이다. 즉, 아무 노동도 하지 않는 구약의 예법에서 신령과 예배를 지키는 신약의 예법으로 변하였음을 알려 주셨다.(마태복음 5:17)[1]

신약시대 안식일 지킨 사례[편집]

예수는 신약시대 안식일을 지키는 모습을 직접 보여 주었다. 구약과는 다른 예배의 모습이다.(누가복음 4:16) 또한 예수께서 스스로를 가리켜 안식일의 주인이라고 하시며 안식일을 지키라고 하였다.(마태복음 12:8, 누가복음 6:5) 예수의 제자들도 예수와 동일한 방식으로 예배를 드렸음을 확인할 수 있다.(사도행전 13:44, 16:13, 17:2)

안식일 날짜 논란[편집]

안식일 날짜가 논란이 되는 이유는 예수나 그 제자들이 안식일에 예배를 드렸기 때문이다. 가톨릭이나 개신교의 경우 안식일 다음 날을 주일으로 부르고 예배를 드리고 있다.[2][3][4] 이슬람, 유대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하나님의 교회의 경우는 토요일을 예배일로 지키고 있기 때문에, 종교적으로 논란 거리가 되는 것이다.

각 종교별 안식일[편집]

여러 종교가 안식일을 예배일로 지키고 있다.[5]

유대교의 안식일[편집]

유대교 안식일을 지키는 장면

안식일은 유대인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안식일에 유대인은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는 것조차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사람이 타면 자동으로 전층 운행을 할 정도로 토요일 안식일을 엄격하게 지키고 있다.[6]

그리스도교의 안식일[편집]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한 동방 교회는 안식일을 일곱째 날 토요일에 지켰다. 로마 교회(지금의 가톨릭)를 중심으로 한 서방교회는 첫째 날을 주일(그리스어 Κυριακή)-주의 날-이라고 명명하고, 안식일을 일요일로 옮겨서 지키고 있다.[7][8] 지금 대부분의 교회는 가톨릭과 개신교를 막론하고 전부 일요일을 안식일로 여기고 있다. 개신교 소수파인 안식교 등이 토요일을 안식일로 지키고 있다.

그리스도교의 안식일 일곱째 날(토요일)이 첫째 날(일요일)로 변한 사연[편집]

일요일 예배예수와 예수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은 사도들이 대부분 사망한 후인 1세기 후반 경 등장했는데 당시 로마 제국이 안식일을 지키는 유대인들을 집회를 하지 못하도록 탄압했는데 이 과정에서 그리스도교인들의 예배까지 탄압함으로서 1세기 후반부터 로마를 중심으로 한 서방 지역 교회들이 토요일을 피해 일요일에 예배를 지키기 시작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의 흉상, Roman, 4th century.

그렇게 로마를 중심으로 한 서방 교회의 일요일 예배 주장은 콘스탄티누스 1세 로마 황제로 인해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한 동방 교회에 까지 영향을 미쳤다. AD 321년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는 일요일 예배에 관한 첫 번째 법령을 반포한다. 그 법은 안식일을 정확하게 명하지 않고, "존엄한 태양의 날에 쉬어야 한다"고 표현했다. 이때부터 그리스도교인들은 안식일(토요일) 대신 일요일에 예배를 지키게 된 것이다.[4]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에서는

가톨릭교회는 안식일을 일요일(주의 날)로 변경했다. 명명백백한 십계명의 안식일을 변경한 것이다. 안식일을 변경할 어떤 명백한 이유나 예시가 있는 것도 아니다. 소위 그들이 이야기하는 교회의 권위로 십계명 중 하나를 없애 버린 것이다.[9]

라고 하였으며,

가톨릭 교리 문답서에서는

Q. 가톨릭교회가 하나님의 명령을 바꿀 권한이 있습니까?
A. ... 옛날에 하나님께서 정해 주신 절기(안식일과 성경에 명시된 절기들) 대신에 가톨릭교회는 일요일과 다른 성일을 정하였습니다. 그래서, 안식일 대신에 그 절기(일요일과 추수감사절 등)를 지키고 있습니다.[10][11]

라고 되어 있고,

트리엔트 공의회 교리문답[12]에서는

Q. 천주교회에서 구약의 안식일, 즉 토요일을 버리고 일요일을 지키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A. 천주교회에서 구약의 안식일, 즉 토요일을 버리고 일요일을 지키는 이유는 사도들이 예수께 받은 권으로 그렇게 정한 것으로, 신약을 구약과 구별하고 또 신약서에 새 교회의 기원이 되는 예수 부활과 성령 강림이 일요일에 당하였기 때문입니다.[13]

라고 되어 있다.

토요일을 안식일로 지키는 주요 교회[편집]

이슬람의 안식일[편집]

꾸란에서도 6일 창조(32:4, 50:30)와 성경의 안식일이 일곱째 날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하지만, 금요일 정오에 기도 모임으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인도네시아 등지에서는 안식일이 일곱째 날이라고 인지하고 있다고 한다. 사우디아라비아, UAE, 방글라데시 같은 나라는 금요일을 휴일 혹은 거룩한 날로 인지한다. 파키스탄 같은 나라는 금요일 오전에 일하고, 정오 기도 이후에는 업무를 쉰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안식일(sabbath) - 구약의 안식일과 신약의 안식일 비교”. 2018년 11월 30일. 2020년 2월 28일에 확인함. 
  2. “정하권 몬시뇰의 가톨릭교회교리서 해설 (84)” (카누리어). 2022년 7월 28일에 확인함. 
  3. “교회사(23)_안식일과 주일(主日)의 역사적 배경”. 2013년 3월 13일. 2022년 7월 28일에 확인함. 
  4. “Sabbath” (영어). 2020년 2월 24일. 
  5. “Sabbath” (영어). 2020년 2월 24일. 
  6. “세상이 멈추는 유대인들의 안식일”. 《구약의 안식일을 그대로 지키는 현대 이스라엘》. 
  7. 송낙원 (1981). 《교회사》. 이건사. 101쪽. 
  8. 김의환 (1992). 《교회사》. 세종문화사. 145쪽. 
  9.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2019년 5월 8일. 
  10. “Herzog, Rt Rev. Edward, (1841–1924), Bishop of the Old Catholic Church in Switzerland”. Oxford University Press. 2007년 12월 1일. 
  11. “안식일 진리”. 2020년 3월 9일에 확인함. 
  12. “GoodNews 가톨릭정보”. 2020년 3월 9일에 확인함. 
  13. 변기영. “GoodNews 가톨릭정보”. 《뜨리덴띠노 공의회 간추린 교리문답 / 2편(지킬 계명) - 1장(천주께서 내리신 십계명) - 3절(제 3계명) - 124.》.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2020년 3월 9일에 확인함. 
  14. Brackney, William H. (2006). 《Baptists in North America : an historical perspective》. Malden, MA: Blackwell Pub. 11쪽. ISBN 1-4051-1865-2. 
  15. Team, Adventist org (2021년 1월 13일). “Seventh-day Adventist World Church Statistics 2020” (미국 영어). 2021년 6월 2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