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밀로오디늄 오셀라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밀로오디늄 오셀라툼
유럽바다농어(European Seabass)의 아가미 상피세포에 기생하고 있는 아밀로오디늄 오셀라툼의 영양체
유럽바다농어(European Seabass)의 아가미 상피세포에 기생하고 있는 아밀로오디늄 오셀라툼의 영양체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미분류): 쌍편모생물
계: 크로말베올라타
상문: 피하낭상문
문: 와편모충문
강: Dinophyceae
목: Thoracosphaerales
과: Thoracosphaeraceae
속: Amyloodinium
종: 아밀로오디늄 오셀라툼
학명
Amyloodinium ocellatum
Brown, 1931

아밀로오디늄 오셀라툼(학명Amyloodinium ocellatum)은 기생성 와편모충류로 전세계의 기수 또는 해수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어류 등 수생 생물에 기생하여 산호 어류병을 일으키는 원인이다. 다양한 환경과 수많은 숙주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다. 척삭동물, 절지동물, 연체동물, 편형동물 등을 숙주로 기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진골어류판새어류에도 기생할 수 있는 유일한 와편모충류이다. 어종, 계절, 양식 밀도, 기생 정도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아밀로오디늄 오셀라툼의 기생은 급성 발병률과 폐사율이 100%에 가까워 감염된 숙주를 감염 12시간 내에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1]

생활사[편집]

아밀로오디늄 오셀라툼의 생활사

아밀로오디늄 오셀라툼은 중간숙주가 필요로 하지 않는 단순한 생활사를 가지고 있다. 아밀로오디늄 오셀라툼의 생활사는 크게 비기생기와 기생기로 나눌 수 있으며 해수백점충과 유사하게 영양체(영어: Trophont), 분열체(영어: Tomont), 유주자(영어: dinospore)로 3단계의 발달 단계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23 ~ 27°C의 수온과 30 ~ 35 ppt의 염도를 가진 수중에서 생활사를 완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5 ~ 7일 정도이다. 그러나 그보다 극한 환경인 35°C의 수온이나 46 ppt의 염도를 가진 해수, 7 ppt의 염도를 가진 기수 지역에서도 발병이 보고된 바가 있다.[1]

성숙한 아밀로오디늄 오셀라툼이 감염된 숙주로부터 떨어져 나오면 시스트(영어: Cyst)를 형성하여 분열체가 된다. 분열체 단계에서 시스트의 셀룰로오스 낭 안에서 무성생식으로 분열을 일으켜 최대 256개의 유주자를 생성한다.[2] 생성된 유주자는 횡방향의 편모 하나, 종방향의 편모 하나로 2개의 뚜렷한 편모를 가진다. 유주자는 숙주를 찾을 때까지 수중을 자유롭게 유영한다. 숙주를 만난 유주자는 편모가 소실되며 5 ~ 20분 이내로 영양체가 된다.[3] 숙주에 기생하는 단계인 영양체는 족부로 어류 등의 아가미, 지느러미, 피부상피세포에 부착하여 가근상 돌기(식물 뿌리 모양의 구조)를 형성해 부착한다. 부착한 영양체는 뿌리 모양의 돌기로 숙주로부터 영양을 취하며 숙주에 심각한 피해를 준다. 2 ~ 6일 정도 영양을 섭취한 영양체는 숙주로부터 떨어져 나와 다시 분열체를 형성한다.[4]

형태[편집]

숙주에 기생하고 있는 영양체 단계의 아밀로오디늄 오셀라튬은 한 쪽에 가근상 돌기를 가지고 있는 난형 또는 서양배 모양이다. 성숙한 성체는 80µm의 크기로 15µm의 둥근 핵과 다수의 식포, 전분성 과립을 함유하고 있다. 분열체의 크기는 80 ~ 90 µm로 구형 또는 난형의 시스트이다.[5] 유주자는 8–13.5 × 10–12.5 μm의 크기로 전체적으로 둥그나 양 끝이 평평한 형태를 띈다.

증상[편집]

아밀로오디늄 오셀라툼에 감염된 유럽바다농어(European Seabass)의 아가미를 확대한 사진

감염된 숙주의 피부나 지느러미 등 체표에 회황색 물질이 덮고 있다. 감염된 숙주는 이나 수조 탱크 벽 등에 몸을 비비며 아가미의 움직임이 빨라진다. 주로 아가미 같은 호흡기관이 주 기생 표적이 되며 감염된 숙주는 호흡이 어려워져 수면 위로 올라와 입을 뻐금거리거나 용존산소가 높은 물로 이동하려고 한다.[4] 질병이 좀 더 진행되면 먹이를 먹지 않고 움직이지 않고 물에 떠 있는다.[6] 감염된 어류의 아가미 상피세포에서 과잉 형성이 일어나 새판이 비후되고 곤봉화된다.[5]

치료 및 예방[편집]

양식 환경에서 아밀로오디늄 오셀라툼에 감염된 개체를 따로 분리하여 수조 등에 자외선 조사 또는 오존 처리를 하면 수중에 자유유영하고 있는 유주자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감염된 개체를 분리한 후 감염된 수조의 수온을 3주간 30 ~ 32°C로 유지하면 아밀로오디늄 오셀라툼의 생활주기를 빠르게 하여 숙주 없이 생존할 수 있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감염된 개체의 경우 치료수조에서 3~4주간 황산구리 약욕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황산 구리의 농도는 0.4mg/L의 농도를 초과해서는 안되며 무척추동물이나 상어류와 같이 구리에 매우 민감한 어종의 경우 주의해야 한다.[6]

각주[편집]

  1. Woo, Patrick T. K.; Buchmann, Kurt (2012). 《Fish Parasites: Pathobiology and Protection》 (영어). CABI. ISBN 978-1-84593-806-2. 
  2. Paperna, I. (1984). “Reproduction cycle and tolerance to temperature and salinity of Amyloodinium ocellatum (Brown, 1931) (Dinoflagellida).”. 《Annales de Parasitologie Humaine et Comparée》 (영어) 59 (1): 7–30. doi:10.1051/parasite/1984591007. ISSN 0003-4150. 
  3. 《Fish diseases and disorders》. Wallingford, Oxon, UK: CABI Pub. <1995>-1999. ISBN 0-85198-823-7. 
  4. Francis-Floyd, Ruth; Floyd, Maxine R. (2011). “Amyloodinium ocellatum, an important parasite of cultured marine fish” (영어). 
  5. 지보영; 김기홍; 박수일 (1998). “[논문]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에 기생한 Amyloodinium sp.의 성상에 관한 연구”. 《韓國魚病學會誌= Journal of fish pathology》 11 (1): 13–22. ISSN 1226-0819. 
  6. 김도형 역 (2014년 9월 10일). 《관상어 관리 메뉴얼》. 바이오사이언스출판. ISBN 978-89-6824-0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