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
복합약
아목시실린 페니실린계열 항생제
클라불란산 베타락탐분해효소저해제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74469-00-4
ATC 코드 J01CR02
PubChem 6435923
ChemSpider 4940608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B1(오스트레일리아) B(미국)
법적 상태
투여 방법 경구 투여, 정맥 주사[1]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Amoxicillin/clavulanic acid), 또는 코아목시클라브(co-amoxiclav)는 다양한 병균성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항생제다.[2] 베타-락탐계열 항생제아목시실린과, 베타락탐분해효소저해제클라불란산 포타슘으로 구성되어 있다.[2] 중이염, 연쇄상구균 인두염, 폐렴, 봉와직염, 요로감염증, 동물 물림 등에 사용된다.[2] 경구투여하거나 정맥주사로 투여한다.[1]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설사, 구토, 알레르기성 반응 등이 있다.[2] 또한 칸디다증이나 혈액응고장애, 두통 등의 발병 확률이 높아진다.[1][3] 페니실린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투여를 권하지 않는다.[1] 임산부에게 안전한 편에 속한다.[2]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은 1984년 미국에서 의료용으로 승인되었다.[2] 현재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약품으로 의료제도에서 필수적인 의약품 목록인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으며,[4] 제네릭 의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2] 개발도상국에서 도매가는 하루에 약 0.18~1.14달러이며,[5] 미국에서는 한 번 치료할 때 50~100달러가 든다.[6] 2017년 미국에서 116번째로 많이 처방된 약품으로, 600만 건 이상 투여되었다.[7][8]

용법[편집]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은 다음과 같은 세균성 감염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치료법에 내성을 보이는 결핵 환자의 경우에도 사용된다.[2]

이 조합을 통해 베타락탐분해효소를 생성하는 아목시실린 내성균에 대해서도 아목시실린의 효능을 얻을 수 있다.

역효과[편집]

부작용으로는 설사, 구토, 아구창, 메스꺼움, 발진 등이 있다. 이는 보통 특별히 심각한 경우가 아니므로, 의사의 관심이 필요하지 않다. 모든 항균제와 마찬가지로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으로 인한 항생제 관련 설사위막대장암이 치료 중이나 후에 발생할 수 있다.[10]

드물게 담즙울혈성 황달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간독성이 있는 경우 담즙울혈성 간염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 부작용은 치료가 중단된 후 최대 몇 주후에도 나타날 수 있으며, 보통 해결하는데에는 추가로 몇 주가 더 소비된다. 남성이나 노인, 그리고 장기 치료를 받은 사람들에게 더 자주 나타난다; 발병률은 10만 명 중 한 명이다. 영국 의약품안전위원회(CSM)은 이러한 점을 코아목시클라브 사용시 주의사항으로 권고하고 있다.[9]

모든 아미노페니실린들과 마찬가지로 아목시실린도 매우 드물게 부작용으로 스티븐스-존슨 증후군이나 독성 표피 괴사가 나타날 수 있다.[10][11]

역사[편집]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인 비첨사(Beecham)에서 근무하던 영국인 과학자들이 1979년에 미국 특허 보호를 신청했다. 그들은 그것을 어그멘틴(augmentin)이라는 상호명 판매했다.[9] 1985년에 신청이 받아들여져 특허가 등록되었다.[12]

조제법[편집]

국제일반명으로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이고, 영국승인명(BAN)으로는 코아목시클라브로 불린다.

많은 제품들이 아목시실린의 함량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Augmentin 250에는 250mg의 아목시실린과 125mg의 클라불란산이 들어 있다.[9][13]

각주[편집]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Stuart MC, Kouimtzi M, Hill SR, 편집. 《WHO Model Formulary 2008》. World Health Organization. 102쪽. hdl:10665/44053. ISBN 9789241547659. 
  2. “Amoxicillin and Clavulanate Potassium”.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9 November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3. Gillies, M; Ranakusuma, A; Hoffmann, T; Thorning, S; McGuire, T; Glasziou, P; Del Mar, C (2014년 11월 17일). “Common harms from amoxicilli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for any indication”.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87: E21–31. doi:10.1503/cmaj.140848. PMC 4284189. PMID 25404399. 
  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5. “Amoxicillin + Clavulanic Acid”. 《International Drug Price Indicator Guide》. 2016년 12월 8일에 확인함. 
  6. Hamilton, Richart (2015). 《Tarascon Pocket Pharmacopoeia 2015 Deluxe Lab-Coat Edition》. Jones & Bartlett Learning. 97쪽. ISBN 9781284057560. 
  7. “The Top 300 of 2020”. 《ClinCalc》. 2020년 4월 11일에 확인함. 
  8. “Amoxicillin; Clavulanate Potassium - Drug Usage Statistics”. 《ClinCalc》. 2020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11일에 확인함. 
  9. British National Formulary》 57판. March 2009. 
  10. Gordon D (2010). 〈Amoxicillin–Clavulanic Acid (Co-Amoxiclav)〉. Grayson ML; 외. 《Kucers' the Use of Antibiotics: a Clinical Review of Antibacterial, Antifungal, Antiparasitic and Antiviral Drugs》. London: Hodder Arnold/ASM Press. 193–4쪽. ISBN 0-340-92767-4. 
  11. Harr T, French LE (2010). “Toxic epidermal necrolysis and Stevens-Johnson syndrome”. 《Orphanet Journal of Rare Diseases》 5: 39. doi:10.1186/1750-1172-5-39. PMC 3018455. PMID 21162721. 
  12. US 4441609 
  13. “Augmentin -- Prescribing Information” (PDF). December 2006. 20 December 2013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