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아데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리아데바(आर्यदेव · Āryadeva ·
제바 · 提婆: c. 170~270)

아리아데바(산스크리트어: आर्यदेव 아리야데바: c. 170~270[1]) 또는 제바(提婆)는 3세기의 인도의 승려이다.[1]

제바는 남부 인도에서 태어났다.[1] 코살라국에서 용수(龍樹)의 제자가 되어 용수가 주창한 의 이법(理法)을 체득하고, 용수의 입장을 계승함과 함께 이에서 초월하여 외교(外敎)를 격렬하게 비판했다.[1]

용수는 그의 대표작 《중론송(中論頌)》에서 여러 문제를 "관찰한다"는 표현을 쓰고 있는데, 제바는 그의 저서 《백론(百論)》에서 여러 견해를 "파석(破析)한다" · "차견(遮遣)한다"는 표현을 쓰고 있다.[1] 즉 용수가 유무 2견(有無二見)의 파석을 통해서 올바른 자세를 나타내려고(현정 · 顯正)한 데 대해서 제바는 이 입장을 계승하면서도 날카로운 논법으로 여러 학파의 이견(異見)을 논파(파사 · 破邪)하는 데 주안을 두었다.[1]

제바의 저서로는 《백론(百論)》 외에도 《사백론(四百論)》·백자론(百字論)》 등이 있는데 모두 "백"이라는 글자를 쓰고 있다.[1] 백의 원어인 사타(sata)가 "최파한다"는 동사의 어간(語幹)에서 온 것이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그의 입장을 엿볼 수가 있다.[1] 이 때문에 제바는 라후라다에게 전법(傳法)한 후 외도(外道)의 원한을 사서 후에 암살당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1]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