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와어족
보이기
아라와어족 | |
---|---|
지리적 분포 | 아마존 (브라질, 페루) |
계통적 분류 | 최상위 어족 |
글로톨로그 | araw1282[1] |
![]() |
아라와어족(Arawan, 기타 표기 Arahuan, Arauan, Arawán, Arawa, Arauán)은 오늘날의 브라질 서부와 페루에 걸쳐 분포한 어족이다.
분류
[편집]아마존 우림에서 사용되는 수 개의 언어가 현전한다.
- 아라와어†(Arawá): 홍역으로 민족 인구가 멸절되어 1877년 사멸. 유일한 기록은 1869년 쓰인 단어 목록이다.
- 쿨리나어(Kulina): 브라질과 페루에 화자 약 4,000명.
- 데니어(Deni): 브라질에 화자 740명.
- 자마마디어(Jamamadi): 브라질에 화자 1,000명. 부족 집단에 따라 자라와라(Jarawara)와 바나와(Banawá)라는 지역변종도 존재하며, 간혹 통틀어서 마디어(Madí)라고 한다.
- 파우마리어(Paumari): 브라질에 화자 300명.
- 수루와하어(Suruwahá): 브라질에 화자 130명.
다른 변종
[편집]이마리망어(Himarimã)는 아마존의 주루아강(Juruá)과 푸루스강(Purus) 사이의 피라냐강(Piranha)을 따라 사는 미접촉부족인 이마리망족이 사용할 것으로 여겨지는 추정상의 언어인데,[2][3] 수루와하족과 바나와족의 증언으로 미루어보아 아라와어족에 속할 것으로 믿어진다.[4]
또한 Loukotka (1968)는 다음의 문증되지 않은 언어들을 아라와어족의 변종으로 나열했다: Purupurú, Wainamarí, Watanarí, Sewacu, Pamana, Amamati, Yuberí, Sipó, Curina, Madiha, Catiana.[5]
외부 관계
[편집]Kaufman (1990) 등이 제시한 확대 아라와크어족(Macro-Arawakan) 가설의 일부이다.[6] Jolkesky (2016)는 언어접촉으로 인해 주변의 어족들과 어휘 유사성이 있다고 지적했다.[7]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Arawan〉.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Himarimã”. 《Ethnologue》 (영어). 2022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Isolated Indians.”. 《Povos Indígenas no Brasil.》. 2012년 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Hammarström (2015) Ethnologue 16/17/18th editions: a comprehensive review: online appendices
- ↑ Loukotka, Čestmír (1968). 《Classification of South American Indian languages》. Los Angeles: UCLA Latin American Center.
- ↑ Kaufman, Terrence. (1990). Language history in South America: What we know and how to know more. In D. L. Payne (Ed.), Amazonian linguistics: Studies in lowland South American languages (pp. 13–67).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ISBN 0-292-70414-3.
- ↑ Jolkesky, Marcelo Pinho De Valhery. 2016. Estudo arqueo-ecolinguístico das terras tropicais sul-americana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Brasí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