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교버섯과
![]() | ||||||||||||||||
![]() 아교버섯(Merulius tremellosus) | ||||||||||||||||
생물 분류![]() | ||||||||||||||||
---|---|---|---|---|---|---|---|---|---|---|---|---|---|---|---|---|
| ||||||||||||||||
모식속 | ||||||||||||||||
Merulius Fr. (1821) | ||||||||||||||||
속 | ||||||||||||||||
| ||||||||||||||||
이명 | ||||||||||||||||
Steccherinaceae Parmasto (1968)[1] |
아교버섯과(Meruliaceae)[2]는 담자균강 구멍장이버섯목에 속하는 균류과의 하나이다. 2008년까지의 추산에 의하면, 47개 속 420종으로 분류하고 있다.[3] 1922년 영국의 미생물학자 리아(Carleton Rea)가 처음 명명했다.[4]
하위 속[편집]
|
|
각주[편집]
- ↑ “Meruliaceae Rea 1922”. MycoBank. International Mycological Association. 2011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 이태수 (2012). “한국 기록종 버섯의 속(屬) 이상 분류체계(Classification System above Genus on the Korean Recorded Mushrooms)”.
- ↑ Kirk PM, Cannon PF, Minter DW, Stalpers JA. (2008). 《Dictionary of the Fungi》 10판. Wallingford, UK: CABI. 419쪽. ISBN 978-0-85199-826-8.
- ↑ Rea C. (1922). 《British Basidiomycetae: a Handbook to the Larger British Fungi》.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