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행정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행정론 또는 신행정학(New Public Administration)은 1960년대 말 일단의 미국의 젊은 행정학자들이 기존 행정학의 학문 방법과 개념, 연구의 적실성(適實性) 등을 비판하면서 일으킨 새로운 학문 지향을 말한다. 이들은 행정에 있어서의 실증주의행동주의를 반대하고 적실성과 실천성을 갖는 새로운 학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1]

배경[편집]

1960년대 말 미국은 심각한 정치·사회적 불안 상황에 직면해 있었다. 베트남 전쟁, 인종·인권 문제 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지만, 기존의 행동주의적 행정학은 이를 해결하지 못했다.[2] 이러한 배경 하에서 1968년 드와이트 왈도(Dwight Waldo)의 주최로 젊은 학자들과 실무자들이 참가한 미노브룩 회의(Minnowbrook Conference)가 개최되었다.[3]

내용[편집]

미노브룩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은 ① 행정학의 적실성 지향, ② 탈실증주의, ③ 소용돌이 치는 환경에의 적응, ④ 새로운 조직 형태, ⑤ 고객 중심의 조직의 다섯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4] 즉, 행정학은 ① 현실적으로 대두되는 여러 사회 문제에 대해 적실성(適實性) 있는 연구를 해야 하고,[3]실증주의에서 벗어나 가치주의를 지향해야 하고,[2] ③ 격변하는 환경에 대처할 수 있어야 하고,[2]관료제적 조직 형태에 대한 대안을 모색해야 하고,[3] ⑤ 사회적 형평에 입각해 시민 중심적[2]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각주[편집]

  1. 신행정학 《행정학사전》. 이종수. 대영문화사
  2. 신행정론 《이해하기 쉽게 쓴 행정학용어사전》. 행정학용어 표준화연구회. 새정보미디어
  3. 신행정학[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행정학전자사전》. 한국행정학회
  4. 김선종, 〈신행정론의 가치 지향과 사회적 형평〉 《우송대학교 논문집》 2권 13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