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대방동
보이기
신대방제1동 新大方第1洞 | |
---|---|
신대방제1동주민센터 | |
![]() | |
로마자 표기 | Sindaebang 1(il)-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서울특별시 동작구 |
행정 구역 | 36통, 212반 |
법정동 | 신대방동 |
관청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길 72 |
지리 | |
면적 | 0.62 km2 |
인문 | |
인구 | 23,076명(2022년 2월) |
세대 | 10,073세대 |
인구 밀도 | 37,0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신대방1동 주민센터 |
신대방제2동 新大方第2洞 | |
---|---|
신대방제2동주민센터 | |
로마자 표기 | Sindaebang 2(i)-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서울특별시 동작구 |
행정 구역 | 22통, 178반 |
법정동 | 신대방동 |
관청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여의대방로24길 76 |
지리 | |
면적 | 0.42 km2 |
인문 | |
인구 | 21,855명(2022년 2월) |
세대 | 8,390세대 |
인구 밀도 | 52,0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신대방2동 주민센터 |
신대방동(新大方洞)은 서울시 동작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행정동으로는 신대방1동, 신대방2동으로 나뉘어 있다.
개요
[편집]신대방동은 동작구 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영등포구, 관악구, 구로구와 접하고, 수도권(안양, 광명) 주민의 서울시 진출입 관문으로 일반주택과 아파트가 혼재된 지역이다.[1]
연혁
[편집]- 삼국시대 잉벌노현(仍伐奴縣)
- 통일신라시대 곡양현(穀壤縣)
- 고려시대 금주현(衿州縣)
- 조선초기 경기도 금천현 하북면(京畿道 衿川縣 下北面)
- 조선말기 경기도 시흥현 하북면 우와피리(京畿道 始興縣 下北面 牛臥陂里)
- 1914년 경기도 시흥군 북면 번대방리(京畿道 始興縣 北面 番大方里)
- 1936년 경기도 시흥군 동면 번대방리(京畿道 始興縣 東面 番大方里)
- 1949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번대방리(永登浦區 番大方里)
- 1950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대방동(永登浦區 新大方洞)
- 1973년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대방동(冠岳區 新大方洞)
- 1980년 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동(銅雀區 新大方洞)
교육
[편집]문화재
[편집]- 서울 구 공군사관학교 교회 - 등록문화재 제744호
교통
[편집]아파트
[편집]단지명 건설사 시행사 주소 입주 비고 보라매 롯데낙천대 롯데건설 신생아파트 재건축조합 동작구 여의대방로10길 38 2003년 6월 신대방신생 재건축 신대방 경남교수 경남기업 신대방교수아파트단지 재건축조합 경남교수 재건축 신대방 경남아너스빌 무림아파트 재건축조합 신대방무림 재건축
각주
[편집]외부 링크
[편집]![]() |
이 글은 서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