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모 해위해
![]() Simo Häyhä | |
![]() 1940년 2월 17일의 시모 해위해 | |
생몰 | 1905년 12월 17일 ~ 2002년 4월 1일 |
---|---|
출생지 | 핀란드 대공국 라우턔르비(Rautjärvi) |
사망지 | 핀란드 하미나(Hamina) |
별명 | 백사병(白死病, Valkoiseksi kuolemaksi, Белая Смерть) |
복무 | 핀란드 방위군 |
복무기간 | 1925년-1926년 1939년-1940년 |
근무 | 보병 제34연대 |
최종계급 | ![]() |
주요 참전 | 겨울전쟁 |
기타 이력 | 적병 505명을 사살한 현존 최다 살상 저격수. |
서훈 | 4등급 및 3등급 자유십자훈장 2등급 및 1등급 자유메달훈장 |
시모 해위해(핀란드어: Simo Häyhä [ˈsimɔ ˈhæy̯hæ], 1905년 12월 17일 ~ 2002년 4월 1일)는 핀란드의 군인이다. 겨울전쟁에 종군했다. 역사상 가장 많은 전과를 올린 저격수로, 3개월간 소련군 병사 최대 542명을 사살했다.[1] 소련군 병사들은 해위해를 '백사병(白死病, 러시아어: Белая Смерть 벨라야 스메르티[*])'이라고 부르며 두려워하였다.[2]
가계 및 초기 생애[편집]
시모 해위해는 카리알라 라우턔르비에서 여덟 명 중 일곱째로 태어났다. 라우턔르비의 작은 마을인 미에틸래(Miettilä)에서 초등교육을 받은 뒤 고향 집에서 큰형과 함께 농사를 지었다.[3] 그러면서 수렵과 어로 생활을 하며 여가를 보냈다.[4]
17세가 된 직후 라우턔르비 백위대에 들어갔고 여기서 사격을 배워 곧 비푸리 최고의 실력자가 되었다.[3][5] 1925년 라이볼라(Raivola, 현 로시노)에서 징병되어 이후 15개월간 복무했다. 발컈르비(Valkjärvi, 현 민추린스코예)의 제2자전거대대를 거쳐 부사관 과정을 밟고 테리요키(Terijoki, 현 젤레노고르스크)의 제1자전거대대에서 근무했다. 이후 세계제일의 저격수로 유명해지는 것과 달리 저격수 훈련은 1926년 전역하고 9년이나 지나서 처음 받았다.[3]
겨울전쟁 종군[편집]
겨울전쟁(1939년 11월 30일-1940년 3월 13일)이 발발하자 재입대하여 전쟁 말기 중상을 입을 때까지 종군했다. 주로 콜라 전선에서 싸웠으며, 제34보병연대 제6중대 소속으로 중대장은 아르네 유틸라이넨이었다.[6]
전후[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각주[편집]
- ↑ Marjomaa 2004.
- ↑ Niskanen, Matti. “Simo Häyhä”. Olli Kleemola & Janne Niemistö. 2010년 12월 20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다 Helsingin Reservin Sanomat 2006.
- ↑ Heiskanen 2002.
- ↑ Lehtinen, Pasi (2009년 12월 4일). “Vaatimaton legenda”. Iltalehti. 2010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 “Valkoinen kuolema”. Verkkouutiset. 1998년 10월 30일. 2005년 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15일에 확인함. ()
참고 자료[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군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