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바키아의 총리
![]() | |
---|---|
슬로바키아어: Predseda vlády Slovenskej republiky | |
![]() | |
호칭 | 총리 |
지명자 | 주자나 차푸토바 |
임기 | 슬로바키아 공화국 국민의회의 지원에 따라. |
초대 | 슈테판 사도프스키 |
설치일 | 1969년 1월 2일 |
봉급 | 71,880 유로 (연간) |
웹사이트 | http://www.vlada.gov.sk/ |
슬로바키아 공화국 정부수반(슬로바키아어: Predseda vlády Slovenskej republiky), 또는 슬로바키아의 총리(슬로바키아어: Premiér)는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정부수반이다. 문서상으로, 슬로바키아에서 정부수반은 대통령과 슬로바키아 공화국 국민의회의 의장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헌법 관직이며, 슬로바키아의 대표적인 정치인이다.
1969년, 슬로바키아에 정부수반이 만들어진 이후, 현재까지 13명이 이 직위를 맡았고, 분리독립한 1993년 이후로는 8명이 직위를 맡았다.
역사[편집]
1918년부터 내려오던 슬로바키아 지역을 관할하는 직위를 이어서 1969년, 체코슬로바키아 연방 헌법에 의해 슬로바키아의 총리가 만들어졌다. 1993년 슬로바키아가 분리독립한 이후, 8명이 슬로바키아의 총리를 맡았다.
권한과 역할[편집]
슬로바키아는 의원내각제이기 때문에, 총리는 국회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또한, 슬로바키아의 헌법은 총리가 의회의 신임을 얻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의회가 총리를 신임하지 않는 즉시, 대통령은 총리를 해임하고 새 총리를 임명하거나 권한이 제한된 직위를 맡겨야 한다.
슬로바키아 지명 총리[편집]
슬로바키아 지명 총리(슬로바키아어: designovaný predseda vlády)는 대통령이 새 정부를 구성할 때, 퇴임한 총리의 직위를 이어받는 비공식적인 직위이다. 대통령은 정부를 새로 꾸릴 때, 총리를 바꿀 수 있는 권한이 있는데, 보통 대통령은 국회에서 과반수의 지지를 받는 사람에게 총리 직위를 위임한다.
목록[편집]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1918 - 1938)[편집]
슬로바키아 행정부 장관
- 바우로 슈로바르 (1918년 11월 4일 - 1918년 11월 4일)
슬로바키아 지역 대통령
체코슬로바키아 제2공화국 (1938 - 1939)[편집]
슬로바키아 자치 정부 총리
- 요제프 티소 (1938년 10월 7일 - 1939년 3월 9일)
- 요제프 시바크 (1939년 3월 9일 - 1939년 3월 11일)
- 카롤 시도르 (1939년 3월 11일 - 1939년 3월 14일)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1939 - 1945)[편집]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의 총리
- 요제프 티소 (1939년 3월 14일 - 1939년 10월 17일)
- 보이텍 투카 (1939년 10월 27일 - 1944년 9월 5일)
- 슈테판 티소 (1944년 9월 5일 - 1945년 4월 4일)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 (1945 - 1948)[편집]
위원회 의장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1948 - 1989)[편집]
위원회 의장
- 구스타우 후사크 (1946년 8월 14일 - 1950년 5월 4일)
- 카롤 바칠레크 (1950년 5월 4일 - 1951년 9월 7일)
- 율리우스 두리스 (1951년 9월 7일 - 1953년 1월 13일)
- 루돌프 스트레차이 (1953년 1월 31일 - 1970년 7월 11일)
슬로바키아 국가평의회 의장
- 루돌프 스트레차이 (1960년 7월 14일 - 1962년 7월 28일)
- 요제프 레나트 (1962년 10월 31일 - 1963년 3월 20일)
- 미할 추디크 (1963년 3월 23일 - 1968년 12월 29일)
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총리
- 슈테판 사도프스키 (1969년 1월 2일 - 1969년 5월 5일)
- 피터 콜로트카 (1969년 5월 5일 - 1988년 10월 12일)
- 이반 크노테크 (1988년 10월 13일 - 1989년 6월 22일)
- 파볼 흐리브나크 (1989년 6월 23일 - 1989년 12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