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스텝들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텝들소
스텝들소
스텝들소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우제목/경우제목
과: 소과
아과: 소아과
족: 소족
속: 들소속
종: 스텝들소
학명
Bison priscus
(Bojanus, 1827)[1]

스텝들소(Steppe bison)[2]는 한때 제4기 북서 캐나다에서 멕시코에 이르는 유럽[3], 중앙아시아[4], 북아시아[5][6][7], 베링 육교 그리고 북아메리카[8][9]를 포함한 매머드 스텝에서 발견된 멸종된 종의 들소이다.

진화

[편집]
스텝들소 화석

스텝들소는 남아시아의 비손 페일리어시넨시스에서 진화한 것으로 믿어지고 있는데, 이것은 이 종들이 때때로 그것의 후손들이 혼란스러워하는 오록스와 거의 동시에 나타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텝들소는 결국 유럽의 플라이스토세 삼림 들소와 유럽들소와 같은 시기에, 일본의 렙토비손, 그리고 북아메리카자이언트들소와 같은 시기에 발생하였다.

묘사

[편집]

현대의 들소 종들, 특히 아메리카들소와 비슷하게[10], 스텝들소는 시들 때 키가 2m가 넘었고, 몸무게는 900kg에 달했다.[11] 뿔의 끝은 1m 떨어져 있었고, 뿔 자체의 길이는 0.5m가 넘었다.

스텝들소는 유라시아의 가장 큰 들소로 알려져 있다. 이 아종은 아마도 자이언트들소와 유사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210cm까지 떨어져 있는 비슷한 몸 크기와 뿔을 가졌고, 아마도 비슷한 서식지 조건을 선호했을 것이다.[12]

스텝들소도 해부학적으로 유럽들소와 비슷하여 완전한 골격을 구할 수 없을 때 구별하기 어려웠다.[13] 이 두 종은 이종교배를 할 정도로 가까웠지만 유전적으로도 구별되어 실제로 이종교배가 드물었다는 것을 보여준다.[13]

고생물학

[편집]

치아 마이크로웨어 분석에 따르면, 스텝들소는 엄격한 초식동물이 아니라 혼합식성 동물이었을 것으로 보인다.[14] 스텝들소의 주요 포식자는 동굴하이에나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들의 굴에서는 스텝들소의 유해가 발견되었다.[15] 또한, 동굴사자도 스텝들소의 포식자로 추정되며, 알래스카주에서 발견된 냉동 미라 "블루 베이브" 표본에서 동굴사자의 물린 자국이 발견되었다.[16] 시미타고양이와 가능성 있는 늑대도 스텝들소의 포식자로 추정된다.[17]

발견

[편집]

특히 알타미라 동굴라스코 동굴, 그리고 바이슨 핥는 곤충 비이트에 등장하는 스텝들소은 자연적으로 빙하가 보존된 형태로 발견되었다.[18][19][20]

각주

[편집]
  1. Daszkiewicz, Piotr; Samojlik, Tomasz (2019). “Corrected date of the first description of aurochs Bos primigenius (Bojanus, 1827) and steppe bison Bison priscus (Bojanus, 1827)”. 《Mammal Research》 (영어) 64 (2): 299–300. doi:10.1007/s13364-018-0389-6. ISSN 2199-2401. 
  2. "Steppe Bison" 보관됨 2010-12-12 - 웨이백 머신 – Yukon Beringia Interpretive Centre. Beringia.com. Retrieved on 2013-05-31.
  3. Вестник Кирилло-Белозерского музея 9 (Май 2006) О. Яшина, Т.В. Цветкова – Кирилловский бизон. Kirmuseum.ru. Retrieved on 2013-05-31.
  4. Vasiliev, S. K. (2008). “Late pleistocene bison (Bison p. priscus Bojanis, 1827) from the Southeastern part of Western Siberia”. 《Archaeology, Ethnology and Anthropology of Eurasia》 34 (2): 34–56. doi:10.1016/j.aeae.2008.07.004. 
  5. Kurosawa, Y. “モノが語る牛と人間の文化 - ② 岩手の牛たち” (pdf). 《LIAJ News》 (Oshu city Cattle Museum) (109): 29–31. 2016년 4월 6일에 확인함. 
  6. Hasegawa, Y.; Okumura, Y.; Tatsukawa, H. (2009). “First record of Late Pleistocene Bison from the fissure deposits of the Kuzuu Limestone, Yamasuge,Sano-shi,Tochigi Prefecture,Japan” (PDF). 《Bull.Gunma Mus.Natu.Hist.》 (Gunma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Kuzuu Fossil Museum) (13): 47–52. 2015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6일에 확인함. 
  7. Boeskorov, Gennady G.; Potapova, Olga R.; Protopopov, Albert V.; Plotnikov, Valery V.; Agenbroad, Larry D.; Kirikov, Konstantin S.; Pavlov, Innokenty S.; Shchelchkova, Marina V.; Belolyubskii, Innocenty N.; Tomshin, Mikhail D.; Kowalczyk, Rafal; Davydov, Sergey P.; Kolesov, Stanislav D.; Tikhonov, Alexey N.; Van Der Plicht, Johannes (2016). “The Yukagir Bison: The exterior morphology of a complete frozen mummy of the extinct steppe bison, Bison priscus from the early Holocene of northern Yakutia, Russia”. 《Quaternary International》 406: 94–110. doi:10.1016/j.quaint.2015.11.084. 
  8. Zazula, Grant D.; MacKay, Glen; Andrews, Thomas D.; Shapiro, Beth; Letts, Brandon; Broc, Fiona (2009). “A late Pleistocene steppe bison (Bison priscus) partial carcass from Tsiigehtchic, Northwest Territories, Canada”. 《Quaternary Science Reviews》 28 (25–26): 2734–2742. doi:10.1016/j.quascirev.2009.06.012. 
  9. Marsolier-Kergoat, Marie-Claude; Palacio, Pauline; Berthonaud, Véronique; Maksud, Frédéric; Stafford, Thomas; Bégouën, Robert; Elalouf, Jean-Marc (2015년 6월 17일). “Hunting the Extinct Steppe Bison (Bison priscus) Mitochondrial Genome in the Trois-Frères Paleolithic Painted Cave”. 《PLOS ONE》 10 (6): e0128267. doi:10.1371/journal.pone.0128267. ISSN 1932-6203. PMC 4471230. PMID 26083419. 
  10. Boeskorov, Gennady G.; Potapova, Olga R.; Protopopov, Albert V.; Plotnikov, Valery V.; Agenbroad, Larry D.; Kirikov, Konstantin S.; Pavlov, Innokenty S.; Shchelchkova, Marina V.; Belolyubskii, Innocenty N.; Tomshin, Mikhail D.; Kowalczyk, Rafal; Davydov, Sergey P.; Kolesov, Stanislav D.; Tikhonov, Alexey N.; Van Der Plicht, Johannes (2016). “The Yukagir Bison: The exterior morphology of a complete frozen mummy of the extinct steppe bison, Bison priscus from the early Holocene of northern Yakutia, Russia”. 《Quaternary International》 406: 94–110. Bibcode:2016QuInt.406...94B. doi:10.1016/j.quaint.2015.11.084. S2CID 133244037. 
  11. McPhee, R. D. E. (1999). 《Extinctions in Near Time: Causes, Contexts, and Consequences》. Springer. 262쪽. ISBN 978-0306460920. 
  12. C. C. Flerow, 1977, Gigantic Bisons of Asia, Journal of the Palaeontological Society of India, Vol. 20, pp.77-80
  13. Markova, A. K., Puzachenko, A. Y., Van Kolfschoten, T., Kosintsev, P. A., Kuznetsova, T. V., Tikhonov, A. N., ... & Kuitems, M. (2015). Changes in the Eurasian distribution of the musk ox (Ovibos moschatus) and the extinct bison (Bison priscus) during the last 50 ka BP. Quaternary International, 378, 99-110.
  14. Hofman-Kamińska, Emilia; Merceron, Gildas; Bocherens, Hervé; Boeskorov, Gennady G.; Krotova, Oleksandra O.; Protopopov, Albert V.; Shpansky, Andrei V.; Kowalczyk, Rafał (2024년 8월 14일). “Was the steppe bison a grazing beast in Pleistocene landscapes?”. 《Royal Society Open Science》 (영어) 11 (8). doi:10.1098/rsos.240317. ISSN 2054-5703. PMC 11321853 |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39144492. 2024년 10월 3일에 확인함. 
  15. Rivals, Florent; Baryshnikov, Gennady F.; Prilepskaya, Natalya E.; Belyaev, Ruslan I. (September 2022). “Diet and ecological niches of the Late Pleistocene hyenas Crocuta spelaea and C. ultima ussurica based on a study of tooth microwear”.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영어) 601: 111125. doi:10.1016/j.palaeo.2022.111125. 
  16. Stuart, Anthony J.; Lister, Adrian M. (August 2011). “Extinction chronology of the cave lion Panthera spelaea”. 《Quaternary Science Reviews》 30 (17-18): 2329–2340. doi:10.1016/j.quascirev.2010.04.023. ISSN 0277-3791. 
  17. Bocherens, Hervé (June 2015). “Isotopic tracking of large carnivore palaeoecology in the mammoth steppe”. 《Quaternary Science Reviews》 (영어) 117: 42–71. Bibcode:2015QSRv..117...42B. doi:10.1016/j.quascirev.2015.03.018. 
  18. Verkaar, E. L. C.; Nijman, IJ; Beeke, M; Hanekamp, E; Lenstra, JA (2004). “Maternal and Paternal Lineages in Cross-Breeding Bovine Species. Has Wisent a Hybrid Origin?”.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21 (7): 1165–70. doi:10.1093/molbev/msh064. PMID 14739241. 
  19. Dale Guthrie, R (1989). “Frozen Fauna of the Mammoth Steppe: The Story of Blue Babe”. ISBN 9780226311234. 
  20. Paglia, C. (2004). “The Magic of Images: Word and Picture in a Media Age”. 《Arion: A Journal of Humanities and the Classics》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11 (3): 1–22. doi:10.2307/20163935. JSTOR 20163935.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