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래치 (프로그래밍 언어)
![]() | |
패러다임 | 사건 기반 프로그래밍 |
---|---|
설계자 | Mitchel Resnick(미첼 레스닉) |
개발자 | MIT 미디어 랩(MIT 미디어 연구소) Lifelong Kindergarten Group(평생유치원 그룹) |
발표일 | 2006 |
최근 버전 | 3.0 (2019년) |
자료형 체계 | 동적 자료형 |
구현 언어 | 스퀵 |
라이선스 |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및 스크래치 소스 코드 라이선스(Scratch Source Code License) |
파일 확장자 | .sb .sb2 .sb3 .sprite .sprite2 |
웹사이트 | scratch.mit.edu |
주요 구현체 | |
Scratch | |
영향을 받은 언어 | |
로고, 스몰토크, 하이퍼카드, StarLogo, AgentSheets, Etoys |
스크래치(Scratch)는 아이들에게 그래픽 환경을 통해 컴퓨터 코딩에 관한 경험을 쌓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및 환경이다.[1]
스퀵을 기반으로 스몰토크라는 언어로 작성되었다. 코딩을 주로 하는 C++,C#, 비주얼 베이직 등과 달리 블록을 끌어당겨 탑을 쌓는 것처럼 코딩을 하기 때문에 프로그래밍을 처음 해보는 입문자들에게 권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다.
스크래치 체험용의 하위 버전인 1.4 버전은 오픈 소스라서 누구든지 스크래치 모딩(스크래치 모드를 만드는 행위)을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스크래치 1.4 모드에는 Bingo, Dream, Insanity, BYOB, Snap, Explore 등이 있다.
스크래치는 아이들에게 기본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소개하는 수단으로 전 세계의 학교에서 사용된다. 또 학교뿐만 아니라 여러 곳에서 사용된다. 어린이, 심지어는 어른도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자주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옮겨간다. 스크래치를 사용하는 동안, 사람들은 스크래치의 프로젝트를 만들고, 리믹스하고, 다른 사람들과 공동으로 작업할 수 있다.
참고[편집]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Free tool offers 'easy' coding BBC News 14 May 2007
![]() |
이 글은 프로그래밍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