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정옹주 (중종)
![]() | |
---|---|
지위 | |
옹주 | |
부왕 | 중종 |
신상정보 | |
국적 | 조선 |
출생일 | 1525년 |
출생지 | 조선 |
사망일 | 1564년 |
사망지 | 조선 |
매장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
왕조 | 조선 |
부친 | 중종 |
모친 | 숙의 김씨 |
배우자 | 구한 |
자녀 | 3남 3녀 |
숙정옹주(淑靜翁主, 1525년 ~ 1564년)는 조선의 왕족이다. 조선 제11대 왕 중종과 후궁 숙의 김씨의 딸이다.
생애[편집]
중종의 서녀로, 숙의 김씨의 유일한 딸이다. 1525년(중종 20년)에 태어났으며, 10세 때인 1534년(중종 29년) 능성 구씨 구한(具澣)[주 1]과 혼인하였다. 이후 구한은 능창위(綾昌尉)에 봉해졌다[1][2].
1534년(중종 29년) 음력 7월 20일 약 100여 년간 훈련장으로 사용된 국유지인 광주의 정금원의 땅을 달라고 요청하여 받았다가 사헌부의 상소로 다시 국가에 환납하였다[3]. 또 1538년(중종 33년)에는 옹주의 집의 크기가 규정에서 6칸을 초과하는 바람에 중종의 명으로 허물었는데, 그 규모만 줄이고 담장 등에 부리는 사치는 하나도 줄지 않았다 하여 계속해서 비판을 받았다[4].
한편 숙정옹주는 남편 구한이 죽고 난 후 사위와 간통을 저질러 1564년(명종 19년) 문정왕후에 의해 40세의 나이로 사사되었으며, 무덤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에 있다[5][6]. 구한과의 사이에서 3남 3녀를 낳았으며[7], 장남 구사근은 명종에게 벼슬을 제수받았다[5].
가족 관계[편집]
- 아버지 : 제11대 중종(中宗, 1488~1544, 재위:1506~1544)
- 어머니 : 숙의 김씨(淑儀 金氏, 생몰년 미상)
- 시아버지 : 구신경(具信璟)
- 시어머니 : 이균(李鈞)의 딸
주해 및 각주[편집]
- 주해
- 각주
- ↑ 네이버 인명사전 -〈구완〉항목
- ↑ 《조선왕조실록》인종실록 1권, 인종 1년 1월 24일 무오 3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중종실록 77권, 중종 29년 7월 20일 을유 1번째기사
- ↑ 《조선왕조실록》중종실록 87권, 중종 33년 7월 29일 경자 2번째기사
- ↑ 가 나 《조선왕조실록》명종실록 33권, 명종 21년 12월 21일 정미 1번째기사
- ↑ 최경순 (2015년 3월 18일). “간통죄로 죽은 숙정옹주 묘를 둘러보며”. 고양신문. 2016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국역 국조인물고 〈구한〉
- ↑ “능성구씨 세보 綾城具氏 世譜, 8권”.
- ↑ 김창겸 외 (2015년 7월 10일).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74쪽. ISBN 9791186178669. 2016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안동김씨세보 安東金氏世譜, 28권(권14, 페이지12)”.
- ↑ “함평이씨족보 咸平李氏族譜, 1”.
- ↑ “안평대군파, 임영대군파 권1(安平大君派, 臨瀛大君派 卷之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