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면에서 넘어옴)

잠자는 어린이의 모습.
잠자는 길고양이의 모습.

(영어: Sleep) 또는 수면(睡眠)은 동물이 일정 시간 동안 과 마음의 활동을 쉬면서 의식이 없는 상태로 있는 것이다. 의식은 없거나 줄어들고, 감각 기관이 상대적으로 활동을 중단하며, 거의 모든 수의근움직임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1] 자극에 대한 반응이 줄어드는 것으로 각성과 구별되며, 쉽게 의식을 되돌릴 수 있다는 점에서 겨울잠이나 혼수상태와는 구별된다. 수면 중에는 동화 상태가 고조되며, 성장과 면역, 신경, 뼈, 근육 계통의 회복이 두드러진다. 수면은 모든 포유류조류, 다수의 파충류, 양서류, 어류에서 발견된다.

수면의 목적과 기제는 부분적으로만 확인되었으며, 활발한 연구의 대상이다.[2] 잠은 종종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3] 실제로는 신진대사를 약 5~10%만 줄일 뿐이다.[3] 겨울잠을 하는 동물들은 겨울잠 중에 대사 저하가 보이긴 하지만, 잠을 자야 하며, 이를 위해 저체온에서 발열 상태로 돌아온다.[4]

사람의 잠

[편집]

단계와 주기

[편집]
항목 NREM(숙면) REM(역설 수면)
안전도 0 40~60/min
뇌전도 낮은 주파수 높은 주파수
심전도 느림 빠름
근전도 적정수준 긴장 마비

NREM 수면(비램수면)의 4단계

[편집]
  • 제1단계: 뇌파는 베타파에서 알파파로 바뀌며, 이는 수면의 초기 단계로, 이때 뇌파는 알파파(8-13Hz)에서 세타파(4-7Hz)로 전환된다. 이 단계에서는 사람이 쉽게 깨어날 수 있으며, 일부는 잠을 자고 있었다고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5]
  • 제2단계: 이 단계에서는 몸이 더 깊은 이완 상태에 들어가며, 뇌파 활동이 세타파로 지배되고, 수면 방추(수면 스핀들)와 K-복합파가 나타난다. 수면 스핀들은 학습과 기억에 중요할 수 있다.[6]
  • 제3단계 및 제4단계: 이 단계들은 델타파(0.5-4Hz)가 특징이며, 느리고 큰 진폭의 뇌파가 나타난다. 이는 심한 이완 상태로, 깨우기 어렵고, 신체와 뇌의 회복에 필수적인 단계이다.[7]

REM 수면의 기능

[편집]

(REM, Rapid eye movement, 급속 안구 운동) 수면은 신체적, 심리적인 회복, 단백질 합성 및 기억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는 역설수면이다. 역설수면(逆說睡眠)은 몸은 잠을 자고 있으나 뇌파는 깨어 있을 때의 알파파(α波)를 보이는 수면 상태이다. 자율신경성 활동이 불규칙적인 수면의 시기로, 보통 안구가 신속하게 움직이고 꿈을 꾸는 경우가 많기에 렘수면으로 언급된다.[8] 한편 영아기에는 렘수면이 수면의 50%를 차지하다가 점차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면 시간

[편집]

사람은 어릴수록 하루에 자는 시간이 길고 자랄수록 짧아진다. 생후 1주에는 18~20시간, 만 1세에는 12~14시간, 만 10세에는 10시간 정도를 잔다.[9] 성인은 하루에 대략 5시간~8시간 정도를 잔다. 사람은 의도적으로 수면 시간을 조절하기도 한다. 15세 이상 사람의 평균 수면 시간대한민국을 예로 들면, 6시간 15분 정도, 미국은 7시간 정도다.[10] 잠이 부족하면 피로를 느끼고 감정이 날카로워져 짜증이나 화를 내기 쉬워진다. 또한, 잠이 부족한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심혈관계 질환이나 치매 등 여러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고 비만의 원인이되기도 한다.[11] 건강에 유익하고 수명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최적의 수면 시간은 연구에 따라 다르다. 7시간 정도가 가장 적절하다는 연구 결과가 많은데[12][13][14][15], 5시간~6시간 30분을 잘 때 수명이 가장 길다는 연구도 있다.[16] 또한, 적절한 수면 시간에는 개인차가 있다. 연령대별로 얼마만큼 자야 적당한지 차이가 있기도 하다. 예컨대 미국수면재단에 따르면 26-64세 성인은 7-9시간을 권장하며, 6-10시간이면 적당하고, 6시간 이하 또는 10시간 이상이면 수면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17] 취침 시간, 수면 시간이 매일 달라지면 당뇨병 등의 대사성 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18]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Macmillan Dictionary for Students Macmillan, Pan Ltd. (1981), page 936. Retrieved 2009-10-1.
  2. Roger Bingham; Terrence Sejnowski, Jerry Siegel, Mark Eric Dyken, Charles Czeisler, Paul Shaw, Ralph Greenspan, Satchin Panda, Philip Low, Robert Stickgold, Sara Mednick, Allan Pack, Luis de Lecea, David Dinges, Dan Kripke, Giulio Tononi (2007년 2월). “Waking Up To Sleep” (화상 컨퍼런스). The Science Network. 2011년 6월 18일에 확인함. 
  3. “Sleep Syllabus. B. The Phylogeny of Sleep”. Sleep Research Society, Education Committee. 2005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8일에 확인함. 
  4. Daan S, Barnes BM, Strijkstra AM (1991). “Warming up for sleep? Ground squirrels sleep during arousals from hibernation”. 《Neurosci. Lett.》 128 (2): 265~8. doi:10.1016/0304-3940(91)90276-Y. PMID 1945046. 
  5. “Stages of Sleep”. 《Lumen Learning》. Lumen. 2024년 4월 27일. 2024년 4월 27일에 확인함. 
  6. “4.3 Stages of Sleep”. 《Open Text WSU》. Washington State University. 2024년 4월 27일. 2024년 4월 27일에 확인함. 
  7. “What Happens in a Sleep Cycle”. 《Sleep Foundation》. National Sleep Foundation. 2024년 4월 27일. 2024년 4월 27일에 확인함. 
  8. (우리말샘) 렘수면, 역설수면, 숙면
  9. “소아의 평균 수면시간”. 보건복지가족부. 2010년 12월 16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0. 조남욱 (2008년 2월 26일). “한국인 수면 시간 지금보다 더 늘려라”. 헬스조선. 2010년 12월 16일에 확인함. 
  11. 김미리 (2010년 9월 2일). “하루 5시간 이하 수면 취하면 정신 질환 발병 위험 3배”. 메디컬투데이. 2010년 1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6일에 확인함. 
  12. 이정은 (2007년 9월 24일). '5시간 ↓, 8시간 ↑ 수면' 사망 위험 2배”. 메디컬투데이. 2010년 12월 16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3. Charumathi Sabanayagam, Anoop Shankar (2010년 8월 1일). “Sleep Dur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esults from the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SLEEP》 (영어) 33 (08). 2010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6일에 확인함. 
  14. “수면 매직넘버는 7시간”. 워싱턴:AFP=연합뉴스. 2010년 8월 1일. 2010년 12월 16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위 저널의 논문을 인용한 기사.
  15. 문동규 (2010년 11월 19일). “8시간 자도 졸린 김대리, 충분한 수면 시간은?”. 헬스조선. 2010년 1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6일에 확인함. 
  16. 이대혁 (2010년 10월 3일). “5시간~6시간 30분만 자면 더 건강”. 한국일보. 2010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6일에 확인함. 
  17. “연령대별 권장 수면시간, 나의 권장 수면시간…알아보니 '놀라워'. 중앙일보. 2015년 2월 4일. 2018년 1월 18일에 확인함. 
  18. 한성간 (2019년 7월 4일). "취침-수면 시간 매일 다르면 대사증후군 위험↑". 2019년 7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