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기질

세포기질(細胞基質) 또는 시토졸(영어: cytosol), 세포 내 액(intracellular fluid, ICF), 세포질매트릭스(cytoplasmic matrix, 세포질 매질), 그라운드플라즘(groundplasm)[2]은 세포 안의 유액이다.[3] 이를테면 미토콘드리아 기질은 미토콘드리아를 여러 칸으로 나눈다.
성분[편집]
물[편집]
세포기질의 대부분은 물이며 일반 세포의 전체 용적의 약 70%를 차지한다.[4] 세포기질의 pH는 7.4인 반면[5] 인간의 세포기질 pH는 7.0~7.4 사이이며 세포가 성장할수록 이 수치는 더 상승하는 것이 보통이다.[6]
이온[편집]
이온 | 세포기질에서의 농도 (밀리몰라) | 혈액에서의 농도 (밀리몰라) |
---|---|---|
칼륨 | 139 | 4 |
나트륨 | 12 | 145 |
염화 이온 | 4 | 116 |
탄산수소염 | 12 | 29 |
단백질 내 아미노산 | 138 | 9 |
마그네슘 | 0.8 | 1.5 |
칼슘 | <0.0002 | 1.8 |
거대분자[편집]
세포막이나 세포골격에 결합되지 않은 단백질 분자들은 세포기질으로 용해된다. 세포에서 단백질의 양은 매우 높으며 200 mg/ml에 근접하는데 이는 세포기질 용적의 약 20~30%를 차지하는 것이다.[8]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Goodsell DS (June 1991). “Inside a living cell”. 《Trends Biochem. Sci.》 16 (6): 203–6. doi:10.1016/0968-0004(91)90083-8. PMID 1891800.
- ↑ Cammack, Richard CammackRichard; Atwood, Teresa AtwoodTeresa; Campbell, Peter CampbellPeter; Parish, Howard ParishHoward; Smith, Anthony SmithAnthony; Vella, Frank VellaFrank; Stirling, John StirlingJohn (2006). “Cytoplasmic matrix”. 《Oxford Dictionary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acref/9780198529170.001.0001. ISBN 9780198529170.
- ↑ Brown, Thomas A. (2011). 《Rapid Review Physiology》 (영어). Elsevier Health Sciences. 2쪽. ISBN 978-0323072601.
- ↑ Luby-Phelps K (2000). “Cytoarchite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cytoplasm: volume, viscosity, diffusion, intracellular surface area” (PDF). 《Int. Rev. Cytol.》. International Review of Cytology 192: 189–221. doi:10.1016/S0074-7696(08)60527-6. ISBN 978-0-12-364596-8. PMID 10553280. 2011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Roos A, Boron WF (April 1981). “Intracellular pH”. 《Physiol. Rev.》 61 (2): 296–434. doi:10.1152/physrev.1981.61.2.296. PMID 7012859.
- ↑ Bright, G R; Fisher, GW; Rogowska, J; Taylor, DL (1987). “Fluorescence ratio imaging microscopy: temporal and spatial measurements of cytoplasmic pH”. 《The Journal of Cell Biology》 104 (4): 1019–1033. doi:10.1083/jcb.104.4.1019. PMC 2114443. PMID 3558476.
- ↑ Lodish, Harvey F. (1999). 《Molecular cell biology》. New York: Scientific American Books. ISBN 0-7167-3136-3. OCLC 174431482.
- ↑ Ellis RJ (October 2001). “Macromolecular crowding: obvious but underappreciated”. 《Trends Biochem. Sci.》 26 (10): 597–604. doi:10.1016/S0968-0004(01)01938-7. PMID 11590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