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인도양실러캔스
![]() | |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하문: | 유악하문 |
강: | 육기어강 |
아강: | 총기어아강 |
목: | 총기어목 |
과: | 라티메리아과 |
속: | 라티메리아속 |
종: | 서인도양실러캔스 (L. chalumnae) |
학명 | |
'Latimeria chalumnae' | |
J. L. B. Smith, 1939 | |
학명이명 | |
Malania anjouanae | |
서인도양실러캔스의 분포 | |
![]() 서인도양실러캔스의 분포 지역(적색) | |
보전상태 | |
서인도양실러캔스(Latimeria chalumnae)[2] 또는 아프리카실러캔스[3]는 현존하는 2종의 실러캔스 중의 하나이다. 흔히 조기어류보다 폐어류와 파충류 그리고 포유류에 더 가까운 척추동물인 총기어목에 속한다.
각주[편집]
- ↑ Musick, J. A. (2000). “Latimeria chalumnae”.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3.2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13년 12월 23일에 확인함.
- ↑ Wägele, H.; Klussmann-Kolb, A.; Kuhlmann, M.; Haszprunar, G.; Lindberg, D.; Koch, A.; Wägele, J. W. (2011). “The taxonomist - an endangered race. A practical proposal for its survival”. 《Frontiers in Zoology》 8 (1): 25. doi:10.1186/1742-9994-8-25. PMC 3210083. PMID 22029904.
- ↑ “The African coelacanth genome provides insights into tetrapod evolution” (PDF). 《Nature》 496 (7445). 2013년 4월 18일. doi:10.1038/nature12027. PMC 3633110. PMID 23598338. 2013년 6월 1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