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장 선거
서울특별시장 선거는 서울특별시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이다. 서울특별시장은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래 민선으로 선출하였다.
역사[편집]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10대에 걸쳐 관선으로 선출하다가 1960년 4·19 혁명의 영향으로 같은 해 12월 서울시장·도지사 선거가 시행되면서 민선으로 선출하게 되었다. 하지만 1961년 5·16 군사 정변이 발발하면서 김상돈 시장이 사퇴하였고 이후 계속 관선으로 선출하다가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조순 당선 이후로는 민선으로 선출하게 되었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이명박이 당선되면서 보수정당 후보로는 처음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었다. 2011년 8월 오세훈의 사퇴로 인해 같은 해 10월 처음으로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가 열렸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박원순이 당선되면서 박원순은 처음으로 3선에 성공한 서울특별시장이 되었다. 2020년 7월 박원순이 사망하면서 2021년 4월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가 실시되었으며 해당 선거에서 국민의힘의 오세훈 후보가 당선되며 10년만에 시장직에 복귀하였다. 2022년 지방선거에서도 오세훈이 당선되면서 서울 뿐만 아니라 전국 광역단체장 최초로 4선 고지에 올랐다.
역대 민선 서울특별시장[편집]
선거 | 시장 | 정당 | |
---|---|---|---|
1960년 | 김상돈 | 민주당 | |
관선제 시행 | |||
1995년 | 조순 | 민주당 | |
1998년 | 고건 | 새정치국민회의 | |
2002년 | 이명박 | 한나라당 | |
2006년 | 오세훈 | 한나라당 | |
2010년 | 한나라당 | ||
2011년 | 박원순 | 무소속 | |
2014년 | 새정치민주연합 | ||
2018년 | 더불어민주당 | ||
2021년 | 오세훈 | 국민의힘 | |
2022년 | 국민의힘 |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 선거 결과 | 후보 | 정당 | 득표 | % | ±% | ||
---|---|---|---|---|---|---|---|---|
1995년 지방선거 유권자수: 7,438,025 투표수: 4,922,210 (66.2%) | 민주당 승리 | 조순 | 민주당 | 2,051,441 | 42.35 | |||
박찬종 | 무소속 | 1,623,356 | 33.51 | |||||
정원식 | 민주자유당 | 1,001,446 | 20.67 | |||||
황산성 | 무소속 | 97,709 | 2.01 | |||||
박홍래 | 친민당 | 25,054 | 0.51 | |||||
김옥선 | 무소속 | 17,728 | 0.36 | |||||
고순복 | 한국당 | 10,488 | 0.21 | |||||
김명호 | 무소속 | 9,992 | 0.20 | |||||
정기용 | 무소속 | 6,156 | 0.12 | |||||
1998년 지방선거 유권자수: 7,377,751 투표수: 3,477,105 (47.1%) | 새정치국민회의 승리 | 고건 | 새정치국민회의 | 1,838,348 | 53.46 | |||
최병렬 | 한나라당 | 1,512,854 | 43.99 | |||||
이병호 | 무소속 | 87,495 | 2.54 | |||||
2002년 지방선거 유권자수: 7,665,343 투표수: 3,510,898 (45.8%) | 한나라당 승리 | 이명박 | 한나라당 | 1,819,057 | 52.28 | |||
김민석 | 새천년민주당 | 1,496,754 | 43.02 | |||||
이문옥 | 민주노동당 | 87,965 | 2.52 | |||||
이경희 | 무소속 | 34,313 | 0.98 | |||||
임삼진 | 녹색평화당 | 28,034 | 0.80 | |||||
원용수 | 사회당 | 12,982 | 0.37 | |||||
2006년 지방선거 유권자수: 7,983,648 투표수: 3,977,842 (49.8%) | 한나라당 승리 | 오세훈 | 한나라당 | 2,409,760 | 61.05 | |||
강금실 | 열린우리당 | 1,077,890 | 27.31 | |||||
박주선 | 민주당 | 304,565 | 7.11 | |||||
김종철 | 민주노동당 | 117,421 | 2.97 | |||||
임웅균 | 국민중심당 | 14,111 | 0.35 | |||||
백승원 | 무소속 | 13,808 | 0.34 | |||||
이귀선 | 시민당 | 4,790 | 0.12 | |||||
이태희 | 한미준 | 4,481 | 0.11 | |||||
2010년 지방선거 유권자수: 8,211,461 투표수: 4,426,182 (53.9%) | 한나라당 승리 | 오세훈 | 한나라당 | 2,086,127 | 47.43 | |||
한명숙 | 민주당 | 2,059,715 | 46.83 | |||||
노회찬 | 진보신당 | 143,459 | 3.26 | |||||
지상욱 | 자유선진당 | 90,032 | 2.04 | |||||
석종현 | 미래연합 | 18,339 | 0.41 | |||||
2011년 재보궐선거 유권자수: 8,374,067 투표수: 4,066,566 (48.6%) | 무소속 승리 | 박원순 | 무소속 | 2,158,476 | 53.41 | |||
나경원 | 한나라당 | 1,867,880 | 46.21 | |||||
배일도 | 무소속 | 15,408 | 0.38 | |||||
2014년 지방선거 유권자수: 8,441,594 투표수: 4,948,897 (58.6%) | 새정치민주연합 승리 | 박원순 | 새정치민주연합 | 2,752,171 | 56.12 | |||
정몽준 | 새누리당 | 2,109,869 | 43.02 | |||||
정태흥 | 통합진보당 | 23,638 | 0.48 | |||||
홍정식 | 새정치당 | 17,603 | 0.35 | |||||
2018년 지방선거 유권자수: 8,380,947 투표수: 5,019,098 (59.9%) | 더불어민주당 승리 | 박원순 | 더불어민주당 | 2,619,497 | 52.79 | |||
김문수 | 자유한국당 | 1,158,487 | 23.34 | |||||
안철수 | 바른미래당 | 970,374 | 19.55 | |||||
신지예 | 녹색당 | 82,874 | 1.67 | |||||
김종민 | 정의당 | 81,664 | 1.64 | |||||
김진숙 | 민중당 | 22,134 | 0.44 | |||||
우인철 | 우리미래 | 11,599 | 0.23 | |||||
인지연 | 대한애국당 | 11,222 | 0.22 | |||||
최태현 | 친박연대 | 4,021 | 0.08 | |||||
2021년 재보궐선거 유권자수: 8,425,869 투표수: 4,902,630 (58.2%) | 국민의힘 승리 | 오세훈 | 국민의힘 | 2,798,788 | 57.50 | |||
박영선 | 더불어민주당 | 1,907,336 | 39.18 | |||||
허경영 | 국가혁명당 | 52,107 | 1.07 | |||||
김진아 | 여성의당 | 33,421 | 0.68 | |||||
신지혜 | 기본소득당 | 23,628 | 0.48 | |||||
신지예 | 무소속 | 18,039 | 0.37 | |||||
송명숙 | 진보당 | 12,272 | 0.25 | |||||
이수봉 | 민생당 | 11,196 | 0.23 | |||||
오태양 | 미래당 | 6,483 | 0.13 | |||||
정동희 | 무소속 | 1,874 | 0.03 | |||||
이도엽 | 무소속 | 1,664 | 0.03 | |||||
배영규 | 신자유민주연합 | 634 | 0.01 | |||||
2022년 지방선거 유권자수: 8,378,339 투표수: 4,455,161 (53.1%) | 국민의힘 승리 | 오세훈 | 국민의힘 | 2,608,277 | 59.05 | |||
송영길 | 더불어민주당 | 1,733,183 | 39.23 | |||||
권수정 | 정의당 | 53,840 | 1.21 | |||||
신지혜 | 기본소득당 | 12,619 | 0.28 | |||||
김광종 | 무소속 | 900 | 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