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를 페기
![]() Charles Péguy | |
---|---|
![]() 샤를 페기의 초상화, 장피에르 로랭 작. | |
작가 정보
| |
출생 | Charles Pierre Péguy 1875년 1월 31일 ![]() |
사망 | 1914년 9월 30일 (39세)![]() |
언어 | 프랑스어 |
직업 | 작가, 시인, 수필가 |
학력 | 고등사범학교 리세 라카날 |
장르 | 시 |
![]() Charles Péguy | |
출생일 | 1875년 1월 31일 |
---|---|
출생지 | ![]() |
사망일 | 1914년 9월 30일 (39세) |
사망지 | ![]() |
국적 | ![]() |
복무 | 프랑스 육군 |
복무기간 | 1893년 - 1914년 |
근무 | 제276연대 |
최종계급 | 중위 |
지휘 | 제276연대 19중대 |
주요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마른 전투 |
서훈 | ![]() ![]() |
샤를 페기(Charles Péguy)는 1875년 1월 31일 오를레앙(루아레)에서 태어나 1914년 9월 30일 빌루아(센에마른)에서 순국한 프랑스의 작가, 시인, 수필가이자 예비역 장교이다. 그는 피에르 드루아와 피에르 보두앵이라는 필명으로도 알려져있다.[2].
페기의 작품에는 <Le Porche du Mystère de la deuxième vertu>(1912)처럼 중세에서 영감을 따온 신비로운 자유시[참고 1]와, <La Tapisserie de Notre-Dame> (1913)처럼 신비주의에 영감을 받은, 특히 암흑기 여주인공의 상징으로 페기가 자신의 삶 전반에 걸쳐 깊게 빠졌던 잔 다르크를 표현한 정형시 시집들이 있다.
페기는 사회 참여적인 지식인이기도 했다. 학업 시기에는 무정부주의적 사회주의자[3]로, 반교권주의자로, 드레퓌스 지지자로 활동하던 페기는 1908년부터 가톨릭과 민족주의로[4] 방향을 틀었다. 페기는 사회에 관한 자신의 의견을 들어내며, 과거 미덕들이 전부 바뀌어버린 근대를 거부하자고 주창한[참고 2] 수필, <돈>L'Argent (1913)을 쓴 것으로 유명하다. 그의 모든 작품들에서 보여지는 중요하고 열렬한 핵심은 당대 사회적 관습들에 안주하지 않은, 깊은 기독교적 믿음에 바탕을 두고 있다.
주해와 각주[편집]
주해[편집]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