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중이동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상중이동 上中梨洞 | |
---|---|
Sangjungi-dong | |
![]() | |
면적 | 6.69 km2 |
인구 (2011.12.31.) | 24,265 명 |
인구 밀도 | 3,630 명/km2 |
세대 | 8,810가구 |
법정동 | 상리동, 중리동, 이현동 |
통·리·반 | 30통 209반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서구 당산로 343 (중리동) |
웹사이트 | 상중이동주민센터 |
상중이동(上中梨洞)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서구의 행정동이다.
북구 관문동, 달성군 다사읍, 달서구 감삼동, 죽전동, 용산동과 접한다.
역사[편집]
- 1910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 달서면 상리동/괘이동·중리동/신기동·이현동[1]
- 1914년 4월 1일 경상북도 달성군 달서면 중리동·상리동·이현동[2][3]
- 1938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大邱府) 중리동·상리동·이현동 (서부출장소 관할)[4]
- 1949년 8월 15일 경상북도 대구시 중리동·상리동·이현동 (서부출장소 관할)[5]
- 1963년 1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중리동·상리동·이현동[6]
- 1965년 2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상중이동(행정동)[7]
-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 서구 중리동·상리동·이현동[8]
- 1985년 12월 1일 행정동 상중이동을 상이동·중리동으로 분동[9]
-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서구 중리동·상리동·이현동[10]
- 1998년 9월 25일 행정동 상리동·중리동·이현동을 상중이동으로 합동[11]
주요 기관[편집]
- 대구의료원(중리동)
- 대구서부경찰서 이현지구대(이현동)
- 대구서부소방서 이현 119안전센터(이현동)
- 중리동우체국(중리동)
- 대구의료원 새마을금고 본점(중리동)
- 대구은행 이현공단지점(중리동)
- 대구은행 삼익뉴타운 출장소(중리동)
- 서대구농협 중리지점(중리동)
- 서대구역(이현동)
- 상리CNG바이오충전소(전국2호 / 상리동)
- 대구광역시 선거관리위원회(중리동)
- 대구광역시 서구 선거관리위원회(중리동)
- 대구광역시 상수도 사업본부 서부사업소(중리동)
교육[편집]
각주[편집]
- ↑ 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년 10월 1일)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경상북도령 제2호 (1914년 3월 16일)
- ↑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년 9월 27일)
- ↑ 법률 제32호 (1949년 7월 4일)
- ↑ 법률 제1174호 대구시구설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 ↑ 시조례 제387호 (1965년 1월 27일)
- ↑ 법률 제3424호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1년 4월 13일)
- ↑ 시조례 제1911호 (1985년 10월 3일)
- ↑ 법률 제4789호 (1994년 12월 20일)
- ↑ 구조례 제440호 (1998년 9월 25일)
![]() |
이 글은 대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