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상게르마니아에서 넘어옴)

Provincia Germania Superior
로마 제국속주
83년–475년

125년경 로마 제국내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주도모곤티아쿰
역사적 시대고대
틀:Infobox country/multirow
틀:Infobox country/formernext
오늘날프랑스의 기 프랑스
독일의 기 독일
스위스의 기 스위스
하드리아누스 시기 (재위 117-138년)의 로마 제국으로, 라인강 상류에 있는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황제 속주 (프랑슈콩테/알자스로렌/바덴뷔르템베르크) 및 125년에 그곳에서 주둔한 두 개의 군단을 나타낸다.
리메스 게르마니쿠스가 있는 속주의 북쪽 지역.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Germania Superior, "상 게르마니아")는 로마 제국황제 속주이다. 오늘날의 스위스 서부와 프랑스의 쥐라알자스, 독일의 남서쪽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도시들에는 브장송 (베손티오), 스트라스부르 (아르겐토라툼), 비스바덴 (아쿠아이 마티아카이), 그리고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중심지인 마인츠 (모곤티아쿰) 등이 있었다. 미틀라인을 포함했고, 리메스 게르마니쿠스 및 남동쪽으로 라이티아의 알프스와 경계를 이뤘다. 아우구스투스 재위 이래로 이 지역이 군대에 점령되기는 했지만,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는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와 함께 서기 85년까지 공식적인 속주는 아니었다.[1]

기원[편집]

초기 로마 관계[편집]

"상게르마니아" 및 "하게르마니아"라는 용어들은 율리우스 카이사르갈리아 전쟁기에 등장하지는 않으나, 카이사르는 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로마인들이 게르마니 키스르헤나니라 부르던 부족에 사용된 용어인, 게르마니 (Germani)라 칭해졌고, 게르마니아라는 명칭이 이 지역에 살던 다른 토착민들을 칭하기 위해 적용된 것으로 보이는, 기록들을 남겼다.[2][3] 하게르마니아에는 벨가이족들이 거주했었고, 상게르마니아에는 헬베티족, 세쿠아니족, 레우키족, 트레베리족 등의 갈리아계 부족들이 살았으며, 미틀라인의 북쪽 기슭에는 기원전 58년에 카이사르에게 격퇴당한 아리오비스투스의 명령으로 베손티오를 점령하려 했던 게르만족의 잔존 세력들이 있었다. 로마인들은 그 이후로 이 지역을 포기한 적이 없었다. 카시우스 디오가 전하길 (53.12), 옥타비아누스 황제는 그의 재위 초기 5년 동안 (기원전 28-23년)에, 그는 주요 원로원 속주들이 공격에 위협에 놓였고 질서를 회복하는 데 필요한 병력들을 홀로 통솔한다는 것을 근거로 주요 원로원 속주들을 직접 관리하려 했다. 이 속주들은 원로원에서 선출된 프로콘술들이 10여 년 간을 있는 뒤에 원로원에 반환될 예정이었다.

이러한 속주들에는 상게르마니아가 있었다. 그리고 분명히 공화국 말년에 속주가 되었다. 타키투스는 또한 그의 《편년사》(3.41, 4.73, 13.53)에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를 언급하기도 했다. 카시우스 디오는 이 당시에 하게르마니아의 명칭에 사용된 벨기카 (Belgica)에 아마 받은 인상 때문에 게르만 부족들을 켈트족이라 보았다. 디오는 경계에 대해선 언급하지만 않았지만, 그는 상게르마니아가 라인강의 수원 지역까지 뻗어있다고 보았다. 그가 콘스탄스 호수가 있는 스위스의 라인강 상류를 알고 있었는지에 대해선 확실치 않다. 오늘날에는 상게르마니아를 통과하는 라인강의 구역을 미틀라인이라 부른다.

제국의 경계[편집]

아우구스투스는 게르마니아 중부 지역 모두를, 게르마니아 마그나 (Germania Magna)라고 하는 하나의 속주로 통합시킬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이 계획은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에서 게르만 부족민들로 인해 좌절되고 만다. 아우구스투스는 라인강-다뉴브강을 경계로 제국을 제한하기로 결정하기로 한다. 이후에 이 경계를 따라 지속적인 분쟁이 발생했고, 로마인들이 보복성의 원정들을 감행하거나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를 요새화하게 하였다.

기원전 12년쯤에, 크산텐 (카스트라 베테라, Castra Vetera)와 마인츠 (모곤티아쿰, Mogontiacum)에 드루수스가 활용했던, 주요 주둔지가 존재했었다. 요새 체계는 이 주둔지를 주변으로 서서히 발전했다. 69–70년에, 라인강다뉴브강을 따라 있는 모든 로마의 방어시설들이 게르만족의 침입 및 내전으로 파괴되었다. 이 폭력적이지만 일시적인 사회적 소동이 일단락될 무렵에, 방어시설들은 마인츠와 아우구스부스크 (아우구스타 빈델리코룸, Augusta Vindelicorum)을 연결하는 도로와 함께 이전보다 더욱 거대해졌다.

도미티아누스는 83–85년에, 프랑크푸르트의 북쪽에 있던 카티족 (헤센주는 이들의 이름에서 따 붙여졌다)을 상대로 전쟁을 벌였다. 이 시기에 제1선, 혹은 지속적으로 요새화돤 국경이 건설되었으며, 시야가 확보된 지역, 실용적인 팰리세이드, 교차로에 있는 목제 감시탑과 요새들로 구성되었다. 이 체계는 90년경에 길이가 최대에 이르렀다. 로마의 도로는 오덴발트를 통과했고 보조도로망도 모든 요새와 감시탑을 연결했다.

서기 3세기의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및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방어 전략[편집]

리메스를 관리하는 방식은 상대적으로 단순했다. 전략적인 관점에서, 라인강과 다뉴브강 사이의 공간인 아그리 데쿠마테스는 아리오비스투스 휘하의 게르만족들이 차지하려 했던, 켈트족과 게르만족 사이 경계에 돌출부를 제공했다. 이 돌출부는 강 전체를 따라 인구 밀도가 높은 켈트족 거주지를 둘로 나누었다. 침입자들은 슈바르츠발트 (검은숲)에 몸을 숨겨 이동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로마의 방어 활동은 돌출부의 근거지를 주로 하고, 무장된 간선도로를 방어하지 않으며 전선을 짧게 하는 것이었다.

이 체계의 핵심은 masse de manoevre 혹은 전략적 병력들이 위치한 모곤티아쿰의 거점의 능력이었다. 검은숲을 따라 있는 로마의 요새들은 상대적으로 가볍게 방어되어 있었기에 이러한 까닭으로 알레마니족들에게 자주 불태워졌다. 하지만 이 로마군은 사전 예방 전략을 시행했다. 이 전략을 통보 받은 로마 군단은 마인츠 혹은 스트라스부르, 또는 다른 쪽의 아우구스부스크에서 예방적이면서 보복적인 원정들을 감행했다.

이 전체 체계는 모군티아쿰에 배치된 중무장 병력들이 있을 때에만 성공적일 수 있었다. 고정된 방어시설들만으로는 고대나 현대에서나 많은 방어 능력이 있지 않았다. 공격을 위한 다른 병력들이 필요했다. 기껏해야 이 방어시설들은 반격이 이뤄질 때까지 경고하거나 지연하는 역할들을 수행했다.

그후의 평화로운 시절에, 리메스는 리메스만의 임시적 성격을 상실했다. 비키 (Vici) 혹은 지역사회가 로마의 요새 주위로 발달했다. 150년쯤에, 리메스의 감시탑과 주둔지들이 돌로 재건 보강되었다. 이때 병사들은 프레스코화로 장식된 질좋은 돌벽으로 된 병영에서 거주했다. 게르만족 문명도 발달하였다. 카이사르가 아리오비스투스를 위해 싸웠던 수에비족의, 질낮은 나무로 된 오두막이 불타고 있다고 묘사한 반면에, 이 시기의 카티족알레마니족은 리메스 주위의 아늑한 로마화된 마을들에서 거주했다.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는 90년에 황제 속주로 재설치되었고, 갈리아 루그두넨시스 속주에서 많은 영토를 가져갔다.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의 가장 유명한 집정관 중 한 명은 미래의 황제인 트라야누스로, 96년부터 98년에 황제 즉위 때까지 속주를 관리했다. 헬베티족 정착 지역도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속주의 일부가 되었다.

속주의 폐지[편집]

400년 이후로, 로마가 50년간에 서서히 최북단쪽의 속주들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함에 따라,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속주의 남쪽 지역 (스위스)은 5세기 초에 부르군트 일부가 되기 이전에, 막시마 세쿠아노룸 속주로 통합되었다. 북쪽 지역들은 알레만니아의 일부가 되었다.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총독 목록[편집]

키비타테스[편집]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1. 슬래시로 분리된 두 숫자를 포함한 이 부분의 날짜 ("71/72"처럼)는 별개의 두 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두 다른 달력으로 표시된 같은 해를 나타낸다. Dual dating 참조.

각주[편집]

  1. Rüger, C. (2004) [1996]. 〈Germany〉. Alan K. Bowman; Edward Champlin; Andrew Lintott.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X, The Augustan Empire, 43 B.C. - A.D. 69》 10 2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6–528쪽. ISBN 0-521-26430-8. 
  2. Schulze, Hagen (1998). 《Germany: A New History》. Harvard University Press. 4쪽. ISBN 0-674-80688-3. OCLC 39042956. 
  3. Hoad, T. F., 편집. (2003) [1st pub. 1996].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Oxford Reference Online》 online판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641쪽. doi:10.1093/acref/9780192830982.001.0001. ISBN 9780192830982. 2016년 10월 1일에 확인함. 
  4. Eck, Werner (1982). Deutsches Archäologisches Institut. Kommission für Alte Geschichte und Epigraphik [German Archaeological Institute. Commission for Ancient History and Epigraphy], 편집.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Chiron》 (Munich: Verlag C. H. Beck) 12: 281–362. ISBN 3406078524. ISSN 0069-3715. OCLC 932001499. 
    • Hordeonius Flaccus pp. 284 (also: Eck vol. 2, p. 219)
    69년 말에 살해당할 때까지, 비텔리우스의 사망 후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와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등 라인강에 남아있던 전 병력들에 대한 임시 지휘권을 69년에 잠시 가지고 있었다.
    • C. Dillius Vocula pp. 284. (also: vol. 2, p. 219)
    플라쿠스의 후임자로, 라인강의 병력들 일부에 대한 지휘권을 잠시 지녔다. 70년에 살해당했다.
    • Ap. Annius Gallus pp. 284,287,290 (also: vol. 2, p. 219)
    • Cn. Pinarius Cornelius Clemens pp. 291, 293, 295 (also: vol. 2, p. 219)
    73년에는 분명히 총독이었지만, 74/75년에도 그랬는지는 불확실하다.
    • Q. Corellius Rufus pp. 302, 304–306; (also: vol. 2, p. 219)
    82년에는 분명히 총독이었고; 총독이 된 직후, 혹은 몇 년 뒤에 지휘권을 인수했다.
    • Lucius Antonius Saturninus pp. 314–315. (also: vol. 2, p. 219)
    라피두스 막시뭄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총독)의 반란 시기인 87년 초에 라피두스에게 살해당한다.
    • C. Octavius Tidius Tossianus L. Iavolenus Priscus pp. 316, 318–319. (also: vol. 2, p. 219)
    • M. Ulpius Traianus p. 326, 328 (also: vol. 2, p. 219)
    • L. Iulius Ursus Servianus p. 328, 330. (also: vol. 2, p. 219)
    • Ignotus p. 349, 351. (also: vol. 2, p. 219)
    라틴어로 "무명"을 뜻하지만, 흔적을 남긴 이를 가리키고, 이 단어는 서술 형용사보다는, capital-I "Ignotus"처럼 인명에 대한 보조 대명사의 출처로 사용된다. 그는 벨기카 출신의 보조 행정관이었을 것이며,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와 인페리오르에 대한 군사도 책임졌을 것이다.
  5. Weiß, Peter (2004). “Ein neuer Legat Domitians von Germania superior in einem Militärdiplom: Sex. Lusianus Proculus”. 《Zeitschrift für Papyrologie und Epigraphik》. Band 147: 229–234. 
  6. Eck, Werner (2004). “Diplome, Konsuln und Statthalter: Fortschritte und Probleme der kaiserzeitlichen Prosopographie”. 《Chiron》. Band 34: 25–44, here page 37. 
  7. Eck, Werner (1983). Deutsches Archäologisches Institut. Kommission für Alte Geschichte und Epigraphik [German Archaeological Institute. Commission for Ancient History and Epigraphy], 편집.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II”. 《Chiron》 (Munich: Verlag C. H. Beck) 13: 147–237. ISBN ((3406093337)) |isbn= 값 확인 필요: invalid character (도움말). ISSN 0069-3715. OCLC 932001499. 
    • Kan[us? Junius Niger] p. 148, 219.
    • C. Quinctius Certus Poblicius Marcellus pp. 169, 171, 196, 219.
    "121년과 128년 사이" ("zwischen 121 u. 128")라는 서술은 "이 겹치는 시기의 어느 시점"을 나타내지, 반드시 전체 시기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P. 169은 그를 130/131–134/135년 시기의 시리아 총독으로 나타내고, "정확한 시기를 알 수 없는 총독"이라는 내용을 실었으며, p. 196에서는 불완전한 비문을 바탕으로 한 가능사항들을 논한다.
    fn[411] p. 171는 그를 120년에 이미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의 총독이고, 그 뒤에는 군단장이라 명시한 132년 4월의 비문을 인용했다.
    • [...]ius Celer pp. 165–169, 219. 전체 이름과 신원이 불명확하다.
    398 p. 165의 주석은 'Roscius Aleianus Caler' (reading the 'ius' as possibly 'nus') 혹은 L. Roscius Aelianus Maecius Celer, 또는 Catellius Celer를 주요 가능 인물로 연결시킨다. 다른 연구자들은 Q. Pompeius --- Catellius Celer Allius?---, L. Roscius [---Mae]cius Celer M[anlius?--] Postumus Mam[ilianus?---] Vergilius Staberia[nus---], M. Maecius Celer, Q. Insteius Celer, [I]ulius ...[In]steius Pauli[nus], Ti. Lartidius Celer 등을 언급하기도 했다.
    • Ti. Claudius Quartinus pp. 174, 219.
    아마 130년의 집정관 콰르티누스와 동일 인물이며, [...]ius Celer의 후임자였을 것이다(이 경우에는 131/132-132/133년 사이에 공백이 없고, 그다지 다뤄지지도 않는다)
  8. Alföldy, Géza (1977).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n Antoninen》 [Consuls and Senators under the Antonine Emperors]. Volume 27 of Antiquitas: Abhandlungen zur Alten Geschichte [Antiquitas: Essays on Ancient History] (독일어). Bonn: Rudolf Habelt Verlag. 228–229쪽. ISBN 978-3-7749-1334-9. OCLC 299616620. 2017년 4월 12일에 확인함.  여기선 프라이노미나에 표준적인 프라이노멘 축약 표현 (한 단어, 가끔은 몇 글자들로)을 사용했으며, 따라서 이 출처들에서 명칭들이 작성되었다:
    • T. Casernius Statianus, p. 228
    • C. Popilius Carus Pedo, p. 228
    • L. Dasumius Tullius Tuscus, p. 228
    • C. Aufidius Victorinus, p. 228–229
    • L. Iunius Victorinus Flavius Caelianus, p 229
    "L. Iu______"라고 명기된 일부 불완전한 문서가 E. Birley에 의해 적절히 확인되었고 시기가 정해진 것이라고 가정하면, "아마" (möglicherweise) 166년경-169년경의 Aufidius Victorinus의 후임자이다 (Alföldy-1977, p.171, 주석 137 참고)
    • [카이렐리우스 프리스쿠스], p. 229
    괄호들은 그의 이름이 명확하지 않거나 알려지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그는 한 명각에서 언급된 익명의 군단장으로, 그의 아이들은 '카일리우스'라는 이름으로 통했고, E. Birley에 따르면 '카일리우스 프리스쿠스'라고 인식되는 것 같다. 추가적인 정보는 Alföldy-1977, p. 186.에서
    • P. Cornelius Anullinus, p. 229
    분명히 curator alvei Tiberis (테베레강의 운하들에 대한 운영 책임을 지는 공직)를 맡은 다음에
  9. Leunissen, Paul M.M. (1989). 〈Zweiter Teil: Prosopographische Listen II. Die Provinzialfasten 2) Die Konsularen prätorischen kaiserlichen Provinzen〉 [Second Part: Prosopographical Lists, II. The Provinces 2) The consular praetorian imperial province].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 180-235 n. Chr. : prosopographische untersuchungen zur senatorischen elite im römischen kaiserreich》 [Consuls from Commodus to Severus Alexander: 180-235: Prosopographical Investigations into the Senatorial Elite in the Roman Empire]. Dutch Monographs on Ancient History and Archaeology VI. Amsterdam: Verlag J.C. Gieben. 245–247쪽. ISBN ((90-6053-028-6)) |isbn= 값 확인 필요: invalid character (도움말). OCLC 803822187. 2017년 4월 19일에 확인함. 

추가 서적[편집]

  • Valerie M. Hope: Constructing Identity: The Roman Funerary Monuments of Aquelia, Mainz and Nimes; British Archaeological Reports (16. Juli 2001) ISBN 978-1-84171-180-5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