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하구 갑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하구 갑 | |
---|---|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 |
현 선거구 | |
신설연도 | 1996년 |
국회의원 | 최인호 (더불어민주당) |
의원 수 | 1인 |
이전 선거구 | 사하구 |
중복되는 선거구 |
사하구 갑은 대한민국 국회의 국회의원이 대표하는 지역구로, 부산광역시 사하구의 일부 지역을 관할한다. 현 지역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의 최인호 (재선, 2016년~)이다. 사하구 을과 함께 사하구 전체를 포함하는 지역구를 이룬다.
역사[편집]
선거구[편집]
1996년 제15대 총선부터 신설되었으며 그 이전에는 사하구 선거구의 일부였다.
사하구의 선거구 역사는 1983년 부산 서구의 일부와 북구의 을숙도·일용도에 해당하는 지역에 사하구가 신설되면서 비롯되었다. 당시에는 서구 지역구에 계속 포함되어 있다가 다음 총선인 1985년 제12대 총선에서도 서구·사하구로 이름만 바꾸고 그대로 유지되었다. 또한 중선거구제 시행으로 국회의원 2인이 선출되었다.
소선거구제로 회귀한 1988년 제13대 총선부터 사하구와 서구가 분리되어, 서구는 서구 지역구로, 사하구는 사하구 지역구로 단일 선거구로서 설치되었다. 이후 서구의 인구수가 상한선을 넘게 됨에 따라 1996년 제15대 총선부터 갑을 선거구로 나뉘게 되었다. 당시 괴정동, 당리동, 하단동이 사하구 갑으로 묶였고 나머지 지역은 사하구 을이 되었다. 이후로는 큰 변화 없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관할 구역[편집]
대수 | 관할 구역 |
---|---|
15대 ~ 현재 | 사하구 괴정1동, 괴정2동, 괴정3동, 괴정4동,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
역대 국회의원[편집]
1996년 이전에 당선된 국회의원들을 포함한 사하구의 국회의원 목록은 부산 사하구의 국회의원을 참고하라.
선거 | 의원 | 정당 | 비고 | |
---|---|---|---|---|
1996 | 서석재 | 신한국당 | ||
2000 | 엄호성 | 한나라당 | ||
2004 | ||||
2008 | 현기환 | 한나라당 | ||
2012 | 문대성 | 새누리당 | ||
2016 | 최인호 | 더불어민주당 | ||
2020 |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 선거 결과 | 후보 | 정당 | 득표 | % | ±% | ||
---|---|---|---|---|---|---|---|---|
1996년 제15대 총선 유권자수: 119,362 투표수: 71,356 | 신한국당 승리 | 서석재 | 신한국당 | 44,988 | 64.41 | |||
강신수 | 자유민주연합 | 14,017 | 20.07 | |||||
조경태 | 민주당 | 10,835 | 15.51 | |||||
2000년 제16대 총선 유권자수: 117,649 투표수: 67,185 | 한나라당 승리 | 엄호성 | 한나라당 | 40,252 | 60.70 | |||
서석재 | 무소속 | 9,257 | 13.95 | |||||
강신수 | 새천년민주당 | 8,420 | 12.69 | |||||
최광 | 민주국민당 | 8,383 | 12.64 | |||||
2004년 제17대 총선 유권자수: 119,889 투표수: 74,499 | 한나라당 승리 | 엄호성 | 한나라당 | 40,426 | 54.85 | |||
이헌만 | 열린우리당 | 28,821 | 39.10 | |||||
박홍렬 | 녹색사민당 | 1,258 | 1.70 | |||||
김영수 | 무소속 | 1,230 | 1.66 | |||||
이정남 | 무소속 | 1,083 | 1.46 | |||||
최연두 | 자유민주연합 | 878 | 1.19 | |||||
2008년 제18대 총선 유권자수: 125,499 투표수: 54,845 (43.7%) | 한나라당 유지 | 현기환 | 한나라당 | 24,380 | 45.0 | |||
김종필 | 통합민주당 | 8,827 | 16.3 | |||||
엄호성 | 친박연대 | 20,132 | 37.1 | |||||
박재영 | 평화통일가정당 | 853 | 1.6 | |||||
2012년 제19대 총선 유권자수: 125,927 투표수: 67,959 (54.0%) | 새누리당 유지 | 문대성 | 새누리당 | 30,455 | 45.1 | |||
최인호 | 민주통합당 | 28,075 | 41.6 | |||||
엄호성 | 무소속 | 7,434 | 11.0 | |||||
박주찬 | 청년당 | 1,500 | 2.2 | |||||
2016년 제20대 총선 유권자수: 123,247 투표수: 70,031 (56.8%) | 더불어민주당 승리 새누리당에서 더불어민주당으로 | 최인호 | 더불어민주당 | 34,080 | 49.4 | |||
김척수 | 새누리당 | 31,350 | 45.4 | |||||
박태원 | 무소속 | 1,997 | 2.9 | |||||
전창섭 | 무소속 | 1,085 | 1.6 | |||||
박경민 | 무소속 | 520 | 0.8 | |||||
2020년 제21대 총선 유권자수: 120,263 투표수: 80,974 (67.3%) | 더불어민주당 유지 | 최인호 | 더불어민주당 | 39,875 | 50.0 | |||
김척수 | 미래통합당 | 39,178 | 49.1 | |||||
이숙희 | 국가혁명배당금당 | 682 | 0.9 | |||||
권영 | 친박신당 | -[1]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