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1년 3월)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상위 제시된 사용자들의 프로그램, 도구의 사용 목적에 부합되며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흐름을 계획하는 것과 사용자들이 작업하는 일(이미지, 문서 등의 제작과 작성)을 효과적으로 보조하기 위한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크게 컴퓨터와 사용자 사이를 연결하는 상호소통 매개체(프로그램, 툴)의 모양과 동작의 흐름을 다룬다. 프로그램에서 사용자가 얻어갈 정보들의 요소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어야 하므로 효과적인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시각적인 결과물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을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분류[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이유는 크게 5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정보검색
- 학습
- 업무 수행
- 대화(communication)
- 여가 즐기기(오락)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절차[편집]
유저 인터페이스를 계획하는 것에는 개발 프로젝트의 목적, 소통매체종류, 사용자층 등에 따라 여러 방법론이 존재한다.
- 기본 단계 사용자 군집 선택 단계
- 전문가 수준의 사용자 그룹 = 디자인 하려는 프로그램과 유사한 프로그램을 익숙하게 사용한다.
- 일반 사용자 그룹 - 보통 수준의 타 프로그램 활용 능력을 가지고 있다.
- 초급 사용자 그룹 - 유사 프로그램을 처음 접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는 사용자 그룹
- 사용자 분석 단계
- 사례 연구 - 사용자중 대표적인 몇명을 추려내어 기간을 두고 집중적으로 관찰하는 연구 방법이다. 소수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나 한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유저들의 사례를 조사할 수 있다.
- 설문조사 - 대규모 군집에 접근성이 높은 조사 방법으로 많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각개 유저들의 세밀한 정보 파악은 힘들지만 큰 유저층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객관적인 경향을 얻을 수 있는 조사 방법이다.
- 페르소나 -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가상의 인물을 설정하고 이 인물의 프로그램의 사용 목적, 목표, 가상의 업무환경등을 정해서 가상 인물이 프로그램에서 얻어 가려는 것을 어떻게 적용하는 것을 이해하기 효과적이다.
- 상위 방법을 이용하면서 다음의 질문들의 답을 찾는다.
- 프로그램을 운용하는 사용자들의 목적와 목표는 무엇인가?
-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기대를 효과적으로 충족 시켜줄 수 있는가?
- 사용자의 작업환경에 맞는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하는가?
- 사용자들이 자신의 작업에서 하려는 일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 시각적인 디자인을 사용자들이 마음에 들어 할까?
- 유저 행위 파악과 나열 단계
- 사용자가 프로그램 안에서 업무를 진행할 때 할 수 있는 행위를 정렬 한다.
- 프로토타입 개발 단계
- 사용자의 입장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만드는 과정이다. 대표적인 방법으로 paper prototype 방법론이 있다.
- 사용성 테스트 단계
- 상위 단계를 거쳐 만들어진 가상의 결과물을 가지고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지, 오류의 존재 확인, 프로그램 가상의 흐름에 만족하는지 등의 여부를 테스트한다.
- 실제 개발 단계
- GUI 그래픽 디자이너와 개발자들이 실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단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