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Kwj2772/작업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기는 사용자:kwj2772의 작업장입니다.


Babel extension[편집]

/**
* Stylesheet for Babel extension.
*
* This should be added to your MediaWiki:Common.css page when installing this
* extension and should not be modified.  You may modify the CSS code on the
* MediaWiki:Common.css page to adjust colours etc.
*
* @addtogroup Extensions
*/
 
/* Babel wrapper layout. */
table.mw-babel-wrapper {
	width:        250px;
	float:        right;
	clear:        right;
	margin:       1em;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9B3FF;
}
 
/* Babel box layout. */
div.mw-babel-box {
	float:  left;
	clear:  left;
	margin: 1px;
}
 
div.mw-babel-box table {
	width: 238px;
}
 
div.mw-babel-box table th {
	width:       238px;
	width:       45px;
	height:      45px;
	font-size:   14pt;
}
/* Remove "-N" and linkcolor fix */
div.mw-babel-box-N th a.new {
        font-size:   14pt !important;
        color:  #ba0000 !important;
}
 
div.mw-babel-box-N th a {
        font-size:   14pt !important;
        color:  #002bb8 !important;
}
 
div.mw-babel-box-N th {
        font-size:   0% !important;
        color:  #6ef7a7;
}
div.mw-babel-box table td {
	font-size:   8pt;
	padding:     4pt;
	line-height: 1.25em;
}
 
/* Babel box colours. */
div.mw-babel-box-0 {
	border: solid #FFB3B3 1px;
}

div.mw-babel-box-1 {
	border: solid #E0C0E0 1px;
}

div.mw-babel-box-2 {
	border: solid #BCB9EF 1px;
}

div.mw-babel-box-3 {
	border: solid #99B3FF 1px;
}

div.mw-babel-box-4 {
	border: solid #D0F8FF 1px;
}

div.mw-babel-box-5 {
	border: solid #F99C99 1px;
}

div.mw-babel-box-N {
	border: solid #6EF7A7 1px;
}

div.mw-babel-box-0 table th {
	background-color: #FFB3B3;
}

div.mw-babel-box-1 table th {
	background-color: #E0C0E0;
}

div.mw-babel-box-2 table th {
	background-color: #BCB9EF;
}

div.mw-babel-box-3 table th {
	background-color: #99B3FF;
}

div.mw-babel-box-4 table th {
	background-color: #D0F8FF;
}

div.mw-babel-box-5 table th {
	background-color: #F99C99;
}

div.mw-babel-box-N table th{
	background-color: #6EF7A7;
}

div.mw-babel-box-0 table {
	background-color: #FFE0E8;
}

div.mw-babel-box-1 table {
	background-color: #F3E0F3;
}

div.mw-babel-box-2 table {
	background-color: #E9E5F9;
}

div.mw-babel-box-3 table {
	background-color: #E0E8FF;
}

div.mw-babel-box-4 table {
	background-color: #D0F8FF;
}

div.mw-babel-box-5 table {
	background-color: #F9CBC9;
}

div.mw-babel-box-N table {
	background-color: #C5FCDC;
}

.babel-box td.babel-footer {
	text-align: center;
}
 
.mw-babel-box td a { 
        font-weight : bold; 
}

refTool.js[편집]

var numforms = 0;
var wikEdAutoUpdateUrl;
function refbuttons() {
  if (mwCustomEditButtons && document.getElementById('toolbar') ) {
    button = document.createElement('a');
    button.href = "javascript:easyCiteMain()";
    button.title = "인용 추가하기";
    buttonimage = document.createElement('img');
    buttonimage.src =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a/Button_easy_cite.png";
    buttonimage.alt = "인용 추가하기";
    button.appendChild(buttonimage);
    var toolbar = document.getElementById('toolbar');
    if (navigator.userAgent.indexOf('MSIE') == -1) {
      if (toolbar.style != null) {
        toolbar.style.height = 'auto';
      }
      else {
      	toolbar.setAttribute('style', 'margin-bottom: 6px; height: auto;');
      }
      toolbar.appendChild(button);
      citemain = document.createElement('div');
      citemain.style.display = 'none';
      citemain.style.margin = '0.2em 0 -0.2em 0';
      citemain.setAttribute('Id', 'citeselect');
      citemain.appendChild( addOption("citeWeb()", "웹") );
      citemain.appendChild( addOption("citeNews()", "뉴스") );
      citemain.appendChild( addOption("citeBook()", "도서") );
      citemain.appendChild( addOption("citeJournal()", "저널") );
      citemain.appendChild( addOption("citeNamedRef()", "이름이 있는 주석") );
      citemain.appendChild( addOption("dispErrors()", "오류 검사") );
      citemain.appendChild( addOption("hideInitial()", "취소") );
      toolbar.appendChild(citemain);
    }
    else {
      toolbar.appendChild(button);
      selection = '<div id="citeselect" style="display:none"><input type="button" value="Web" onclick="citeWeb()" />'+
      '<input type="button" value="News" onclick="citeNews()" />'+
      '<input type="button" value="Book" onclick="citeBook()" />'+
      '<input type="button" value="Journal" onclick="citeJournal()" />'+
      '<input type="button" value="Named references" onclick="citeNamedRef()" />'+
      '<input type="button" value="Error check" onclick="dispErrors()" />'+
      '<input type="button" value="Cancel" onclick="hideInitial()" /></div>';
      document.getElementById('editform').innerHTML = selection + document.getElementById('editform').innerHTML;
    }
  }
}
 
function addOption(script, text) {
  option = document.createElement('input');
  option.setAttribute('type', 'button');
  option.setAttribute('onclick', script);
  option.setAttribute("value", text);
  return option;
}
 
function hideInitial() {
  document.getElementById('citeselect').style.display = 'none';
  oldFormHide();
}
 
function oldFormHide() {
  if (numforms != 0) {
    document.getElementById('citediv'+numforms).style.display = 'none';
  }
  if (document.getElementById('errorform') != null) {
    document.getElementById('citeselect').removeChild(document.getElementById('errorform'));
  }
}
 
function easyCiteMain() {
  document.getElementById('citeselect').style.display = '';
}
 
function getTime() {
  var time = new Date();
  var nowdate = time.getDate();
  if (nowdate<10) { nowdate = "0"+ nowdate.toString(); }
  var nowmonth = time.getMonth()+1;
  if (nowmonth<10) { nowmonth = "0"+ nowmonth.toString(); }
  var nowyear = time.getFullYear();
  newtime =  nowyear + '-' + nowmonth + '-' + nowdate;
  return (newtime);
}
 
function citeWeb() {
  citeNewsWeb("cite web");
}
function citeNews() {
  citeNewsWeb("cite news");
}
 
function citeNewsWeb(templatename) {
  oldFormHide();
  template = templatename;
  var legend;
  if (template == "웹 인용") {
    legend = "웹 자료 인용";
  } else {
    legend = "뉴스 자료 인용";
  }
  newtime = getTime();
  numforms++;
  form = '<div id="citediv'+numforms+'">'+
    '<fieldset><legend>'+legend+'</legend>'+
    '<table cellspacing="5">'+
    '<input type="hidden" value="'+template+'" id="template">'+
    '<tr><td width="120"><label for="url">&nbsp;URL: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url"></td>'+
    '<td width="120"><label for="제목">&nbsp;제목: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제목"></td></tr>'+
    '<tr><td width="120"><label for="성">&nbsp;성: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성"></td>'+
    '<td width="120"><label for="이름">&nbsp;이름: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이름"></td></tr>'+
    '<tr><td width="120"><label for="공저자">&nbsp;공저자: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공저자"></td>'+
    '<td width="120"><label for="발행일자">&nbsp;발행일: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발행일자"></td></tr>'+
    '<tr><td width="120"><label for="작품명">&nbsp;작품명: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작품명"></td>'+
    '<td width="120"><label for="출판사">&nbsp;출판사: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출판사"></td></tr>'+
    '<tr><td width="120"><label for="쪽">&nbsp;쪽: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쪽"></td>'+
    '<td width="120"><label for="언어">&nbsp;언어: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언어"></td></tr>'+
    '<tr><td width="120"><label for="확인일자">&nbsp;확인일자: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확인일자" value="'+ newtime +'"></td>'+
    '<td width="120"><label for="refname">&nbsp;주석 이름: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refname"></td></tr>'+
    '</table>'+
    '<input type="button" value="인용 추가하기" onClick="addcites()">'+
 '</fieldset></div>';
   document.getElementById('citeselect').innerHTML += form;
}
 
function citeBook() {
  oldFormHide();
  template = "서적 인용";
  numforms++;
  form = '<div id="citediv'+numforms+'">'+
    '<fieldset><legend>도서 자료 인용하기</legend>'+
    '<table cellspacing="5">'+
    '<input type="hidden" value="'+template+'" id="template">'+
    '<tr><td width="120"><label for="성">&nbsp;성: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성"></td>'+
    '<td width="120"><label for="이름">&nbsp;이름: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이름"></td></tr>'+
    '<tr><td width="120"><label for="공저자">&nbsp;공저자: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공저자"></td>'+
    '<td width="120"><label for="기타">&nbsp;기타: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기타"></td></tr>'+
    '<tr><td width="120"><label for="제목">&nbsp;제목: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제목"></td>'+
    '<td width="120"><label for="편집자">&nbsp;편집자: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편집자"></td></tr>'+
    '<tr><td width="120"><label for="출판사">&nbsp;출판사: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출판사"></td>'+
    '<td width="120"><label for="출판위치">&nbsp;출판 위치: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출판위치"></td></tr>'+
    '<tr><td width="120"><label for="발행일자">&nbsp;발행일자: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발행일자"></td>'+
    '<td width="120"><label for="판">&nbsp;판: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판"></td></tr>'+
    '<tr><td width="120"><label for="series">&nbsp;Series: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series"></td>'+
    '<td width="120"><label for="volume">&nbsp;Volume: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volume"></td></tr>'+
    '<tr><td width="120"><label for="쪽">&nbsp;쪽: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쪽"></td>'+
    '<td width="120"><label for="장">&nbsp;장: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장"></td></tr>'+
    '<tr><td width="120"><label for="isbn">&nbsp;ISBN: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isbn"></td>'+
    '<td width="120"><label for="oclc">&nbsp;OCLC: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oclc"></td></tr>'+
    '<tr><td width="120"><label for="url">&nbsp;URL: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url"></td>'+
    '<td width="120"><label for="확인일자">&nbsp;확인 일자: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확인일자"></td></tr>'+
    '<tr><td width="120"><label for="언어">&nbsp;언어: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언어"></td>'+
    '<td width="120"><label for="refname">&nbsp;주석 이름: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refname"></td></tr>'+
    '</table>'+
    '<input type="button" value="Add citation" onClick="addcites()">'+
 '</fieldset></div>';
   document.getElementById('citeselect').innerHTML += form;
}
 
function citeJournal() {
  oldFormHide();
  template = "저널 인용";
  numforms++;
  form = '<div id="citediv'+numforms+'">'+
    '<fieldset><legend>Cite book source</legend>'+
    '<table cellspacing="5">'+
    '<input type="hidden" value="'+template+'" id="template">'+
    '<tr><td width="120"><label for="성">&nbsp;성: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성"></td>'+
    '<td width="120"><label for="이름">&nbsp;이름: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이름"></td></tr>'+
    '<tr><td width="120"><label for="공저자">&nbsp;공저자: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공저자"></td>'+
    '<td width="120"><label for="발행일자">&nbsp;발행일자: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발행일자"></td></tr>'+
    '<tr><td width="120"><label for="제목">&nbsp;제목: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제목"></td>'+
    '<td width="120"><label for="저널">&nbsp;저널: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저널"></td></tr>'+
    '<tr><td width="120"><label for="출판사">&nbsp;출판사: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출판사"></td>'+
    '<td width="120"><label for="출판위치">&nbsp;출판위치: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출판위치"></td></tr>'+
    '<tr><td width="120"><label for="volume">&nbsp;Volume: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volume"></td>'+
    '<td width="120"><label for="issue">&nbsp;Issue: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issue"></td></tr>'+
    '<tr><td width="120"><label for="쪽">&nbsp;쪽: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쪽"></td>'+
    '<td width="120"><label for="issn">&nbsp;ISSN: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issn"></td></tr>'+
    '<tr><td width="120"><label for="oclc">&nbsp;OCLC: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oclc"></td>'+
    '<td width="120"><label for="언어">&nbsp;언어: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언어"></td></tr>'+
    '<tr><td width="120"><label for="url">&nbsp;URL: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url"></td>'+
    '<td width="120"><label for="확인일자">&nbsp;확인 일자: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확인일자"></td></tr>'+
    '<tr><td width="120"><label for="refname">&nbsp;주석 이름: </label></td>'+
      '<td width="400"><input type="text" style="width:100%" id="refname"></td></tr>'+
    '</table>'+
    '<input type="button" value="인용 추가하기" onClick="addcites()">'+
 '</fieldset></div>';
   document.getElementById('citeselect').innerHTML += form;
}
 
function addcites(template) {
  cites = document.getElementById('citediv'+numforms).getElementsByTagName('input');
  var citebegin = '<ref';
  var citename = '';
  var citeinner = '';
  for (var i=0; i<cites.length-1; i++) {
    if (cites[i].value != '' && cites[i].id != "refname" && cites[i].id != "template") {
      citeinner += "|" + cites[i].id + "=" + cites[i].value;
    }
    else if (cites[i].value != '' && cites[i].id == "refname" && cites[i].id != "template") {
      citebegin += ' name="' + cites[i].value + '"';
    }
    else if (cites[i].value != '' && cites[i].id != "refname" && cites[i].id == "template") {
      citename = '>{{' + cites[i].value;
    }
  }
  cite = citebegin + citename + citeinner + "}}</ref>";
  insertTags(cite, '', '');
  document.getElementById('citediv'+numforms).style.display = 'none';
}
 
function getNamedRefs(calls) {
  if (typeof(wikEdUseWikEd) != 'undefined') {
    if (wikEdUseWikEd == true) {
      WikEdUpdateTextarea();
    }
  }
  text = document.getElementById('wpTextbox1').value;
  var regex;
  if (calls) {
    regex = /< *?ref +?name *?= *?(('([^']*?)')|("([^"]*?)")|([^'"\s]*?[^\/]\b)) *?\/ *?>/gi //'
  } else {
    regex = /< *?ref +?name *?= *?(('([^']*?)')|("([^"]*?)")|([^'"\s]*?[^\/]\b)) *?>/gi //'
  }
  var namedrefs = new Array();
  var i=0;
  var nr=true;
  do {
    ref = regex.exec(text);
    if(ref != null){
      if (ref[5]) {
        namedrefs[i] = ref[5];
      } else if (ref[3]) {
        namedrefs[i] = ref[3];
      } else {
        namedrefs[i] = ref[6];
      }
      i++;
    } else {
      nr=false;
    }
  } while (nr==true);
  return namedrefs;
}
 
function citeNamedRef() {
  namedrefs = getNamedRefs(false);
  if (namedrefs == '') {
    oldFormHide();
    numforms++;
    out = '<div id="citediv'+numforms+'"><fieldset>'+
      '<legend>References in text</legend>There are no named refs (<tt>&lt;ref name="Name"&gt;</tt>) in the text</fieldset></div>';
    document.getElementById('citeselect').innerHTML += out;
  }
  else {
    oldFormHide();
    numforms++;
    form = '<div id="citediv'+numforms+'">'+
      '<fieldset><legend>References in article</legend>'+
      '<table cellspacing="5">'+
      '<tr><td><label for="namedrefs">&nbsp;Named references in text</label></td>'+
            '<td><select name="namedrefs" id="namedrefs">';
    for (var i=0;i<namedrefs.length;i++) {
      form+= '<option value="'+namedrefs[i]+'">'+namedrefs[i]+'</option>';
    }
    form+= '</select>'+
      '</td></tr></table>'+
      '<input type="button" value="Add citation" onClick="addnamedcite()">'+
      '</fieldset></div>';
     document.getElementById('citeselect').innerHTML += form;
  }
}
 
function addnamedcite() {
  name = document.getElementById('citediv'+numforms).getElementsByTagName('select')[0].value;
  ref = '<ref name="'+name+'" />';
  insertTags(ref, '', '');
  document.getElementById('citediv'+numforms).style.display = 'none';
}
 
function getAllRefs() {
  if (typeof(wikEdUseWikEd) != 'undefined') {
    if (wikEdUseWikEd == true) {
      WikEdUpdateTextarea();
    }
  }
  text = document.getElementById('wpTextbox1').value;
  regex = /< *?ref( +?name *?= *?(('([^']*?)')|("([^"]*?)")|([^'"\s]*?[^\/]\b)))? *?>((.|\n)*?)< *?\/? *?ref *?>/gim //"
  var allrefs = new Array();
  var i=0;
  var nr=true;
  do {
    ref = regex.exec(text);
    if(ref != null){
      if (ref[0].search(/[^\s]{150}/) != -1) {
        ref[0] = ref[0].replace(/\|([^\s])/g, "| $1");
      }
      ref[0] = ref[0].replace(/</g, "&lt;");
      ref[0] = ref[0].replace(/>/g, "&gt;");
      allrefs[i] = ref[0];
      i++;
    } else {
      nr=false;
    }
  } while (nr==true);
  return allrefs;
}
 
function NRcallError(namedrefs, refname) {
  for (var i=0; i<namedrefs.length; i++) {
    if (namedrefs[i] == refname) {
      return true;
    }
  }
  return false;
}
 
function errorCheck() {
  var allrefs = getAllRefs();
  var allrefscontent = new Array();
  var samecontentexclude = new Array();
  var sx=0;
  var templateexclude = new Array();
  var tx=0;
  var skipcheck = false;
  var namedrefcalls = getNamedRefs(true);
  for (var i=0; i<allrefs.length; i++) {
    allrefscontent[i] = allrefs[i].replace(/&lt; *?ref( +?name *?= *?(('([^']*?)')|("([^"]*?)")|([^'"\s]*?[^\/]\b)))? *?&gt;((.|\n)*?)&lt; *?\/? *?ref *?&gt;/gim, "$8");  //"
  }
  var namedrefs = getNamedRefs(false);
  var errorlist = new Array();
  var q=0;
  unclosed = document.getElementById('unclosed').checked;
  samecontent = document.getElementById('samecontent').checked;
  templates = document.getElementById('templates').checked;
  repeated = document.getElementById('repeated').checked;
  undef = document.getElementById('undef').checked;
  for (var i=0; i<allrefs.length; i++) {
    if (allrefs[i].search(/&lt; *?\/ *?ref *?&gt;/) == -1 && unclosed) {
      errorlist[q] = '<tr><td width="75%"><tt>'+allrefs[i]+'</tt></td>';
      errorlist[q] += '<td width="25%">닫히지 않은 <tt>&lt;ref&gt;</tt> 태그</td></tr>';
      q++;
    }
    if (samecontent) {
      for (var d=0; d<samecontentexclude.length; d++) {
        if (allrefscontent[i] == samecontentexclude[d]) {
          skipcheck = true;
        }
      }
      var p=0;
      while (p<allrefs.length && !skipcheck) {
        if (allrefscontent[i] == allrefscontent[p] && i != p) {
          errorlist[q] = '<tr><td width="75%"><tt>'+allrefscontent[i]+'</tt></td>';
          errorlist[q] += '<td width="25%">Multiple refs contain this content, a <a href="http://en.wikipedia.org/wiki/Wikipedia:Footnotes#Naming_a_ref_tag_so_it_can_be_used_more_than_once">named reference</a> should be used instead</td></tr>';
          q++;
          samecontentexclude[sx] = allrefscontent[i]
          sx++;
          break;
        }
        p++;
      }
     skipcheck=false;
    }
    if (templates) {
      if (allrefscontent[i].search(/\{\{cite/i) == -1 && allrefscontent[i].search(/\{\{citation/i) == -1 && allrefscontent[i].search(/\{\{Comic (book|strip) reference/i) == -1 && allrefscontent[i].search(/\{\{Editorial cartoon reference/i) == -1 && allrefscontent[i].search(/\{\{harv/i) == -1) {
        for (var x=0; x<templateexclude.length; x++) {
          if (allrefscontent[i] == templateexclude[x]) {
            skipcheck = true;
          }
        }
        if (!skipcheck) {
          errorlist[q] = '<tr><td width="75%"><tt>'+allrefs[i]+'</tt></td>';
          errorlist[q] += '<td width="25%"><a href="http://ko.wikipedia.org/wiki/분류:인용_틀">인용 틀</a>을 사용하지 않은 주석</td></tr>';
          q++;
          templateexclude[tx] = allrefscontent[i];
          tx++;
        }
        skipcheck = false;
      }
    }
  }
  if (repeated) {
    var repeatnameexclude = new Array();
    var rx=0;
    for (var k=0; k<namedrefs.length; k++) {
      for (var d=0; d<repeatnameexclude.length; d++) {
        if (namedrefs[k] == repeatnameexclude[d]) {
          skipcheck = true;
        }
      }
      var z=0;
      while (z<namedrefs.length && !skipcheck) {
        if (namedrefs[k] == namedrefs[z] && k != z) {
          errorlist[q] = '<tr><td width="75%"><tt>'+namedrefs[k]+'</tt></td>';
          errorlist[q] += '<td width="25%">같은 이름을 가진 여러 주석</td></tr>';
          q++;
          repeatnameexclude[rx] = namedrefs[z];
          rx++;
          break;
        }
        z++;
      }
     skipcheck = false;
    }
  }
  if (undef) {
    var undefexclude = new Array();
    var ux=0;
    for (var p=0; p<namedrefcalls.length; p++) {
      for (var d=0; d<undefexclude.length; d++) {
        if (allrefscontent[i] == undefexclude[d]) {
          skipcheck = true;
        }
      }
      if (!skipcheck) {
        if (!NRcallError(namedrefs, namedrefcalls[p])) {
          errorlist[q] = '<tr><td width="75%"><tt>'+namedrefcalls[p]+'</tt></td>';
          errorlist[q] += '<td width="25%">A <a href="http://en.wikipedia.org/wiki/Wikipedia:Footnotes#Naming_a_ref_tag_so_it_can_be_used_more_than_once">named reference</a> is used but not defined</td></tr>'; /*FIXME*/
          q++;
          undefexclude[ux] = namedrefs[p];
          ux++;
        }
      }
      skipcheck = false;
    }
 }
  if (q > 0) {
    return errorlist;
  } else {
    return 0;
  }
}
 
function dispErrors() {
  oldFormHide();
  form = '<div id="errorform"><fieldset>'+
    '<legend>Error checking</legend>'+
    '<b>Check for:</b><br/>'+
    '<input type="checkbox" id="unclosed" /> 닫히지 않은 <tt>&lt;ref&gt;</tt> 태그<br/>'+
    '<input type="checkbox" id="samecontent" /> 내용이 같은 주석<br/>'+
    '<input type="checkbox" id="templates" /> <a href="http://ko.wikipedia.org/wiki/분류:인용_틀">인용 틀</a>을 사용하지 않은 주석<br/>'+
    '<input type="checkbox" id="repeated" /> 같은 이름을 가진 여러 주석<br/>'+
    '<input type="checkbox" id="undef" /> Usage of undefined named references<br/>'+ /*FIXME*/
    '<input type="button" id="errorchecksubmit" value="선택한 사항에 대해 오류 검사" onclick="doErrorCheck()"/>'+
    '</fieldset></div>';
  document.getElementById('citeselect').innerHTML += form;
}
 
function doErrorCheck() {
  var errors = errorCheck();
  document.getElementById('citeselect').removeChild(document.getElementById('errorform'));
  if (errors == 0) {
    if (numforms != 0) {
      document.getElementById('citediv'+numforms).style.display = 'none';
    }
    numforms++;
    out = '<div id="citediv'+numforms+'"><fieldset>'+
      '<legend>오류 검사</legend>발견된 오류가 없습니다.</fieldset></div>';
    document.getElementById('citeselect').innerHTML += out;
  }
  else {
    if (numforms != 0) {
      document.getElementById('citediv'+numforms).style.display = 'none';
    }
    numforms++;
    form = '<div id="citediv'+numforms+'">'+
      '<fieldset><legend>오류 검사</legend>'+
      '<table border="1px">';
    for (var i=0; i<errors.length; i++) {
      form+=errors[i];
    }
    form+= '</table>'+
      '</fieldset></div>';
     document.getElementById('citeselect').innerHTML += form;
  }
}
 
hookEvent("load", refbuttons);


목포시 (전라남도)
목포시 (전라남도)의 위치
목포시 (전라남도)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법정동64개
청사 소재지용당동 양을로 271
단체장정종득
지리
면적49.34km2
인문
인구247,620명 (2008년년)
세대95,086세대 (2008년년)
상징
나무비파나무
백목련
지역 부호
웹사이트목포시청

목포시(木浦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남부에 있는 항구 도시이다. 가수 이난영의 <목포는 항구다>·<목포의 눈물>과 세발낙지, 흑산도 홍어, 삼학도, 유달산이 유명하다.

무안부에 속해있던 것이 일제강점기 시대에 목포부로 개칭, 도시 부분만 떨어져 나와 항구 도시로 급성장했다. 1897년 개항하여 일본제국 본토로의 곡물 수탈항으로서 기능하였다. 그러나 일본제국이 태평양 전쟁에서 패배한 후 시일이 지나면서 국가개발계획에 상당 부분 소외되어 지속적인 성장을 누릴 수 없었다.

최근에는 목포역 주변의 원도심과 터미널 부근의 하당신도시, 전남도청이 있는 남악신도시의 옥암동과 임성리역 주변 등이 새로 개발되고 있으며, 목포 신외항을 중심으로 하는 개발이 진행 중이다. 대중국 교역이 활성화되면서 광주 기아자동차 생산품의 수출항으로서 기능하며 성장하고 있다.

지명의 유래[편집]

목포(木浦)라는 이름은 《고려사》에 처음으로 등장하지만 유래 자체는 명확하지 않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나무 목자가 있는 것으로 보아 나무가 많은 포구라는 뜻에서 붙인 것으로 보지만 확실한 근거는 없다. 다른 일설은 서해에서 육지로 들어가는 길목이 사람의 목처럼 중요하다 해서 목포라고도 하는데 확실한 근거로는 보기 어렵다.[1]

역사[편집]

일찍이 삼한마한에 속해 있었으며 백제 때는 물아혜군에 속해있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물아혜(勿阿兮)군이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무안군, 고려시대에는 물량군(勿良郡), 또는 무안군으로 불리웠다. 당시의 이러한 이름들은 현재의 목포시 뿐 아니라 신안군과 무안군을 다 합쳐서 부르는 이름이었다.[2] 목포 앞바다는 곡창지대이자 중국과도 멀지 않은 거리여서 고대부터 영산강물줄기를 거슬러 나주에 이르는 교역로로 각광받기도 했다.[3]

고려시대에 본격적으로 이름이 거론되기 시작하는데 정확히는 왕건궁예 밑에 있던 태봉의 일이다. 왕건은 견훤후백제를 밑에서 치고 올라가기 위해 나주를 점령하고자[4] 목포에 도착해 나주 지역을 복속했다고 한다. 이때 장화왕후를 만나 혼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 목포진이 설치됐다. 조선조부터 목포는 나주의 속현이 된다. 세종21년 1439년에는 목포 만호진을 별개로 설치하였다. 현재의 만호동은 진 일대를 기리고자 붙인 이름이다. 임진왜란 때는 이순신 장군이 명량대첩 후 군선 재정비와 군량미 확보를 위해 목포와 고하도 앞에 수군진을 설치하여 108일 머무르기도 했다.[5]

개항[편집]

목포가 개항한 것은 1897년 10월 1일로서 인천보다는 15년 뒤진 것이었지만 부산와 인천을 뺀다면 가장 이른 것이었으므로 상당히 빨랐다. 이는 지리적 요인 때문으로 목포는 후쿠오카나 나가사키에서 보면 중국 대륙을 두고 가운데 지점에 위치한다. 때문에 일찍이 일본은 목포 개항에 눈독을 들이고 있었다. 개항이 되자 일본인들의 거류지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한편 자치기관이 설치됐다.[6][7] 일본인들의 거류지는 항구가 바로 앞에 있는 현재의 유달동 일대였으며 국권침탈 전에는 일본 영사관이 유달동 인근에 있었다. 이 건물은 현재 목포문화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당시 일본인들은 개항장에서 상행위를 할 수는 있었으나 내륙까지 들어갈 수 없었다. 그러나 일본인들은 목포 근처의 영산포를 시작해 논밭을 사들이기 시작했다. 당시 조선 정부가 매겼던 세도 낮았던데다 일본의 논밭 가격의 십분지 일이었기에 땅 매입을 위해 주력했다. 강압에 의해 개항되면서 곡창지대인 호남쌀이 집결되는 곳으로서 쌀을 일본에 수출하기 시작했다. 목포 개항 이후 국내 쌀값은 여섯 냥 하던 것이 1898년에는 14냥으로 뛰었다.[8]

1898~1903년에는 목포 부두 노동자들이 자본가에 대항하여 동맹파업을 일으켰다. 사건의 발단은 일본인이 고용한 조선 부두노동자들이 점심을 물로 채우고 저녁 늦게까지 작업을 해야 하는데 제대로 된 월급도 받지 못했기 때문이었다.[9]

1905년 이후에는 유곽이 들어서기 시작했으며 일본인들의 거주지가 확장되면서 그 세력이 더욱 커져 1914년 지금의 금화동 지역으로 옮겨갔다. 이곳을 사쿠라마치라고 불렀다. 금화동은 현재 여객선터미널 뒷편에 위치한 수산업협동조합 일대로서 유달동과 근접하며 일본인 집단 거주지라 벚나무가 어우러져 있었다.[10]

1910년 국권침탈 후 무안부라는 이름에서 목포부로 개칭되어 19면을 관할하게 됐다.[11]

일제강점기[편집]

목포부 (일제강점기)

목포 개항 이후 완도를 통해 이어지던 뱃길에 항상 목포가 끼게 되었고 목포-제주 사이를 정기적으로 항해하는 기선이 생겨났다. 1921년 설립된 순항선조합의 선박을 비롯해 인천, 부산, 여수를 오가던 배들은 목포를 중간 기착지로 삼아 항해를 이어나갔다.

1914년에는 호남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대전-목포간 철로가 개설된다. 그해 4월 1일 목포부를 분해하여, 도시 지역인 부내면만 목포부로 남기고, 부내면을 제외한 목포부의 나머지 면과 지도군 전역, 완도군 팔금면, 진도군 도초면이 무안군으로 개편되었다.[12] 이미 목포항의 기능을 곡물 수탈로 설정한 일제는 1920년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을 설치했고 이 건물은 지금까지 남아 목포근대역사관으로 쓰이고 있다.

철도, 조선, 수산가공업이 본격화되면서 조선인들은 각지에서 몰려들어 일거리를 찾았다. 일본인 거주지역에 가깝게 자리를 잡기 위해 작은 움막 따위를 지어 좁디 좁은 골목을 만들어 지냈다고 한다. 그 자리는 옛 공동묘지로서 조선총독부가 허가하면서 겨우 거주가 허락된 곳이었다.[13] 각종 시설이 들어서는 한편 목포극장이 생겨났다. 서울을 비롯해 대도시에서 내국인이 소유하고 있던 극장은 서울의 단성사광주의 광주극장, 목포극장 세 곳 뿐이었다.[14]

1932년에는 무안군 일부 지역 편입으로 면적이 늘어나는 한편 인구 6만의 6대 도시로 성장했다. 당시 목포항에 모이던 물품은 김, 면화, , 누에고치였다.[15]

현재[편집]

1949년 목포부에서 목포시가 된 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목포시는 계속적으로 면적이 늘어났다. 이는 1963년 무안군 지역 흡수[16]와 간척에 따른 결과였다. 1999년 신도심2단계 매립지구 택지개발사업으로 면적이 46.02㎢에서 46.91㎢로 늘어났으며 북항 근처의 바다 매립, 삼학도 인근과 충무동 신항 매립으로 면적이 47.92㎢까지 늘어나 현재에 이르고 있다.

목포의 명소인 삼학도는 1940년도에 목포 앞바다에 있던 삼학도를 연륙하면서 68년부터 73년까지 추진된 간척공사로 육지로 변했다. 삼학도는 크게 대·중·소삼학도로 구분되며 2000년부터 복원사업을 실시했다. 시민단체의 졸속 행정이라는 비판이 끊이지 않아 난항이 컸던 사업이었다. 그러나 2006년 공사 6년만에 소삼학도를 원형에 가깝게 복원해 물길을 두고 다리를 통해 건너갈 수 있도록 3개의 섬으로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소삼학도와 중삼학도 사이가 5개의 다리로 연결돼 2007년 3월 1일부터 개방된 상태다.[17][18]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목포지역에서도 수많은 학생운동이 일어났으며 2호광장에서 목포역까지 긴 대열을 이뤄 시위가 이뤄졌다. 당시 목포역은 학생운동의 본산으로 궐기대회와 대책 마련에 나선 시민들이 모이던 장이었다.

목포의 성장에 결정적인 요인이 된 것은 일제시대 호남선이 개통되고 항구로서 기능을 복합적으로 갖게된 데 있었다. 호남선의 종착역으로서 오늘날까지 기능하고 있으며 2004년 4월 1일 KTX 개통으로 1일 8회 정기운행되고 있다. 삼학도 복원 사업과 더불어 남항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관광중점인 북항과 물류 전담인 신외항을 축으로 하여 항만 운영이 이뤄지고 있다.

지리[편집]

전라남도의 서남단에 위치하며 1004개의 섬으로 이뤄진 신안군을 바로 앞에 두고 있다. 북쪽으로는 무안군, 남쪽으로는 영암군을 바라본다. 영암군을 사이에 두고 영산강이 흘러가며 지금은 하구둑이 설치되어 있다. 구도심 중심부에는 해발 228m인 유달산, 동쪽에는 입암산(121m), 북쪽에는 양을산이 자리한다. 유달산은 남도의 개골산이라는 별칭을 지닌 기암괴석의 산이다. 도심지의 중심에 산이 있다보니 시내를 조금만 벗어나면 언덕지대가 나타나기도 한다. 목포의 최고 자랑 중 하나인 유달산은 노령산맥의 끝자리에 해당하며 영산강 하구 주변에는 13개의 섬이 있기 때문에 해일이 생긴다 해도 자연 방파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19]

그러나 역사적으로 현재 목포의 지리는 간척에 의해 생겨난 것이므로 매립지가 많다. 삼학도를 비롯해 신도심, 북항 일대는 갯벌을 모두 개간한 것이다. 과거 일제시대까지만 해도 현재의 목포역 앞에 개울이 흘러 바닷물이 도시 내부로까지 흘러들어왔다고 한다. 간석지는 현재 농공단지, 주택지, 공장부지, 신시가지로 활용되고 있으며 바로 앞의 고하도와 눌도, 달리도 등 6개 유인도와 7개의 무인도를 행정 관할에 포함하고 있다.

총 면적 47.95㎢이며 일반대지가 21.7%, 전답이 24.5%, 임야가 25.7%, 기타 28.1%를 차지한다.

기후[편집]

목포기상대가 1904년 3월 주요 5곳과 함께 설치된 이후 3월 25일 목포에서 국내 최초로 기상관측을 실시됐다.[20] 3월 25일의 날씨는 구름이 낀 가운데 최저 3.4도, 최고기온은 8.4도였다고 한다. 1971년부터 2000년까지의 자료를 바탕으로 한 자료에 따르면 평균 기온은 13.8도 최고기온 18.6, 최저 10.3도이다. 강수량은 연평균 1125mm이며 평균풍속은 4.2m/s로 전남지방에서는 흑산도 및 일부 도서를 제외하고 가장 센 편이다.[21]

2006년 기준 강수가 1년중 121일, 흐림이 98일로 강수일이 많은 편이다. 맑은 날은 66일에 해당하지만 최근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목포지역은 전국에서 가장 일조량이 높은 곳으로 인근 신안군과 함께 새로운 태양광발전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22] 황사의 경우 평균 10일로서 서울, 인천의 11일과 비슷한 편이다.[23]

목포지역의 기후는 하계에는 해양성, 동계에는 대륙동안형으로 두 기후가 중첩되어 나타나기에 기상 관측에 있어 의의가 높은 지역에 해당한다. 눈이 내리는 날은 년간 37일, 영하인 날은 60일이며 겨울철에는 돌풍이나 기습적인 눈보라가 자주 발생한다.[24] 이는 대륙성고기압 확장시 서해안으로 기류가 타고 내려와 바로 만나는 지역에 목포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행정[편집]

목포시장[편집]

지방자치제가 시작되면서 민선 1기 시장으로 1971년부터 목포문화방송 대표이사를 맞던 권이담이 1995년 7월 1일 취임했다. 2선에 성공하면서 2002년까지 목포시장직을 수행했다. 인터뷰 및 본인이 직접 쓴 소논문 <21세기 위대한 목포 건설을 위하여> 등에서는 과거 목포의 영화를 되찾고자 하는 소망을 표명했다. 권이담 시장은 영산강 오염으로 인해 목포시에서 주암댐의 물을 끌어쓰는 등 물문제가 커지자 이에 대한 해결과 전남도청 이전 계획 성사에 주력했으나 임기 내 전남도청 이전에 대한 확실한 계획을 도출하지는 못했다.[25] 2000년 목포항에서 신의주로 가는 밀가루 600t을 지원하기도 했다.[26] 2002년 지자체 선거를 앞두고 권이담 시장은 민주당 지도부와 갈등을 빚었다. 공정 경선이 이뤄지지 않으면 무소속 출마를 감행하겠다고 입장을 밝혔으나 지원서에 "경선 불공정 시 분담금 1500만원을 돌려달라"는 단서를 달아 목포지구당의 후보등록 무효처리 결정을 받게 된 것이 화근이었다. 이에 후보등록 불공정 시비가 붙으면서[27] 법원까지 오른 논쟁은 법원이 4월 30일 가처분 신청을 기각함에 따라 권이담 시장 측의 민주당 탈당 및 지방선거 출마 포기로 정리됐다.[28]

선거에서 승리를 거둔 전태홍 시장은 목포 YMCA, 목포상공회의소 회장 등을 역임한 사람으로서 전남도청 이전이 확정됨에 따라 신항과 대불산업단지 활성화 중점 육성을 주요 현안으로 구체화했다.[29] 그러나 2005년 1월 13일 그가 갑작스레 사망하면서 보궐선거가 치뤄지게 됐다.[30] 4.30 보궐선거에서 정종득 후보가 개표 결과, 총 유효투표수 6만4천736표중 2만9천269표(45.2%)를 차지하면서 당선됐다. 그는 목포를 동북아 환황해권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관광문화 도시로 육성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31][32] 2005년 당시 목포의 최대 현안 사업이던 목포대교 건설 사업의 사업비가 130억으로 삭감되자 정 시장과 시의원이 기획예산처 방문과 설득으로 120억 원의 추가 사업비를 배정받는 데 성공했으며 2005년 8월 말 기획예산처가 주관한 균특회계 평가에서 우수시로 선정돼 5억원을 사업비로 수상했다.[33] 원도심 개발사업소를 2005년 출범시킨데 이어 "빛의 도시"로 육성하고자 원도심에 빛의 거리를 조성했다.[34]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도심 활성화가 지지부진하자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13개의 특화거리를 상호별로 지정하여 운영하는 한편 임대료를 지원하는 방안을 시행하고 있다.[35]

2006년 지자체선거에서 2선에 성공해 정종득 시장은 현재 37대 목포시장으로서 역임하고 있다. 2007년 5회 풀뿌리 경영 대상에서 대상을 수상[36]하는 한편 2009년 초에는 한국관광클럽이 제정한 '제1회 한국관광대상'에 경북 울릉군과 함께 선정되어 대상을 수상했다.[37]

두 번의 임기 동안 계속적으로 실시된 원도심 개발사업에 대해서는 인근 정비와 지원이 진전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상권 활설화로는 이어지지 못한데다 영업지원금 지원에 대한 세입자와 건물주간 마찰이 생기는 등 잡음이 끊이지 않아 목포시의 행정 방안에 대해 태도 변화와 인구 유인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역언론의 지적이 일고 있다.[38][39]

한편 지난 2008년 지자체 선거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측근이었던 박지원이 목포시 국회의원 후보로 출마하자 정종득 시장의 측근 의원이 무소속으로 출마했음에도 불구 박지원 후보를 지원했으며 정 시장이 이를 묵인했다는 내부 고발로 파문이 일기도 했다.[40][41]

현재 목포권 시민단체들은 목포시의 업무추진비 투명성 제고를 위해 시민들에게 공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법원이 2년만에 시민단체의 손을 들어주면서 정보공개 심의위원회가 목포시장이 임명한 위원들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것에 대해 책임 있는 보고를 하라는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하다.[42]

목포시청[편집]

목포시청은 1949년 8월 15일 문을 열었으며 현재 6개 관리국과 22개동을 관할하고 있다.[43] 감사담당관, 기획관리국, 주민복지국, 관광문화국, 경제환경수산국, 도시건설국의 6개국과 목포시보건소, 시의회사무국, 상하수도사업단, 도시개발사업단을 거느리고 있다. 기타사업소로는 각종 환경관리소 및 목포자연사박물관이 있다.[44] 상하수도사업단과 도시개발사업단은 별관과 해안동 기업은행 건물에 위치하며 수도세 회계 처리와 원도심 개발 사업을 각각 관리한다.

4층으로 된 본관을 중심으로 좌로 목포시의회 우로 민원동이 위치한다. 주차장을 너머로 별관에는 상하수도사업소가 자리하고 있다. 시청 건물을 중심으로 오른편에 KBS 목포방송국, 목포마리아회고등학교,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소가 있다.

행정구역[편집]

목포 시가지 모습

목포시는 22개의 행정동과 64개의 법정동으로 구분된다. 섬지역은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동으로 편입해 일선 주민센터에서 관리한다. 현재의 목포시 구획은 1914년 4월 1일 목포부를 분해하여, 도시 지역인 부내면만 목포부로 남기고 부내면을 제외한 목포부의 나머지 면과 지도군 전역, 완도군 팔금면, 진도군 도초면이 무안군으로 흡수됐다. 1932년 무안군 이로면을 편입해 관할 리를 동으로 독립하도록 했다. 다시 용당리와 달리도, 율도를 편입해 용당동으로 삼았으며 현재의 시청 소재지가 되었다. 1979년 용당동에 국도 간선도로가 생기면서 1, 2동으로 분동됐다.[45] 마찬가지로 무안군 이로면이 편입되면서 산정동이 산정1, 2, 3동이 됐다가 1997년 1월 1일자로 원산동, 연산동, 산정3동으로 나뉘었다. 대부분 시내의 동이 1997년 연초 행정구역 개편으로 통폐합됐으며 명칭도 개정돼 북교동과 남양동, 무안동이 목원동으로 통합됐다.[46]

현 신도심의 경우에는 과거 본래 목포부(시) 이로면의 지역으로 옛부터 내려온 지역으로 구전에 의하면 하당을 창꼬지라 하였는데 창꽃 위쪽에 있다 하여 윗마을, 윗동네 또는 상리(지금의 상동)라 칭하였다고 한다. 1994년 7월 6일 목포시 규칙 제1137호에 의거 상동으로 분동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47] 상동 일대를 토대로 1997년 하당동과 신흥동으로 분리되면서 현재의 하당신도심이 생겨났다. 하당 택지개발은 1999년까지 완료됐으며 석현공단을 중심으로 대단위 아파트단지가 2003년 초반까지 조성되면서 유통과 교통의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성장 잠재 요인이었던 전남도청 이전과 무안국제공항 건설로 아파트 건설 활기는 더욱 늘어났다.[48] 그러나 신도심 개발 직후부터 아파트 건설 현상이 마무리 될 즈음 숙박업소가 무분별하게 들어서 신도심에만 60여 곳이 넘는 모텔이 생겨났다. 기존에 숙박지구처럼 꾸밀 계획과는 달리 러브호텔이 지나치게 생겨나면서 시민들의 원성이 높아졌다. 그렇지만 시 당국의 노력은 별다른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49]


행정동 면적
(㎢)
인구
(명)
관할 법정동
용당1동 1.45 14,888 용당동, 산정동 일부
용당2동 0.9 7,814 용당동 일부
연동 0.67 7,326 산정동, 호남동, 용당동 일부
산정동 0.76 9,414 산정동, 연산동, 용당동 일부
연산동 2.68 6,611 산정동, 연산동, 용당동 일부
원산동 0.62 18,575 연산동, 산정동 일부
대성동 0.34 5,375 대성동, 호남동, 산정동, 양동 일부
목원동 1.48 5.519 북교동, 남교동, 죽교동, 달성동, 양동, 상락동1가, 상락동2가, 호남동, 무안동, 측후동, 죽동, 명륜동, 대안동, 창평동, 산정동
동명동 0.79 8,848 동명동, 광동, 호남동, 산정동
삼학동 0.75 7,840 삼학동
만호동 0.94 2,431 만호동, 수강동, 항동, 중앙동, 금동, 경동, 중동, 해안동, 복만동, 행복동, 영해동, 대의동, 보광동, 축복동, 유동, 산정동 일부
유달동 12.50 7,729 유달동, 율도동, 온금동, 서산동, 금화동, 죽교동, 달동, 중앙동1가, 중앙동2가, 중앙동3가, 대의동1가, 대의동 2가, 대의동 3가, 경동1가, 경동2가
죽교동 0.75 2,290 죽교동, 대성동, 산정동 일부
북항동 0.75 4,053 산정동 일부
용해동 2.11 14,995 용해동
이로동 1.93 9,794 용해동 일부
상동 3.12 19,965 상동, 석현동
하당동 1.20 12,679 상동, 석현동
신흥동 1.79 19,313 상동
삼향동 7.7 6,686 대양동, 석현동
옥암동 3.37 11,695 옥암동
부흥동 3.51 22,029 옥암동

인구[편집]

2007년 기준 목포시의 인구는 외국인을 포함하여 242,755명으로 남성(49.9%)에 비해 여성(50.1%)의 비율이 조금 높다. 목포시의 인구는 2001년부터 증감을 반복하고 있으며 2007년에 와서는 전년 대비 1,117명이 감소했다. 그러나 세대수는 증가해 2001년 약 8만 세대였던 것이 6년만에 9만 세대로 늘어났다. 세대당 2.7명에 해당하며 인구밀도는 5,062.6명이다.[50]

경제[편집]

일찍이 개항하면서 목포는 항구로서 성장세를 지속해왔으나 상대적으로 황해일본러시아를 대상으로 한 동해보다 개발이 더뎠으며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의 급성장에 힘입어 중국 동해안과 대한민국의 서해안 간 항구 교통량이 나날이 증가해 환황해권 개발의 필요성은 점점 대두되었다. 서해안고속도로가 2001년 완공되고 인천, 평택/당진 군산과 함께 거점으로 꼽히면서[51] 목포는 해양관광, 임해산업을 위주로 성장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농어업[편집]

목포는 도농복합형 도시가 아닌 단일 도시로서 외곽 지역에 간간히 농가가 나타나지만 대규모가 아닌 0.5ha 미만의 농가가 총 1,326가구 중 459가구를 차지한다. 쌀이나 보리, 콩 중에서 콩류의 생산량이 그나마 많은 편에 속한다. 그러나 목포시 통계연표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06년까지 계속적으로 참외, 오이, 토마토 등 과채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참깨 등 특용작물의 생산량도 증감을 반복하고는 있으나 지속적인 생산세를 보이고 있다.

홍어를 말리는 모습(목포시 소재)

목포항에는 수많은 어선이 정박해있다. 어선들은 흑산도 연안으로 나가 흑산 홍어를 잡아 팔거나 갈치를 파는 어선이다. 목포 거주 어민 수는 2005년 2,727명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목포 연안에서 가장 많이 잡히는 수산물은 어류로서 2006년 기준 26,862톤의 어획고를 올렸다. 갑각류연체동물, 해조류가 그 뒤를 이으며 세발낙지로 대표되는 연체동물의 수획고는 한때 1,000톤에도 미치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으나 2004년부터 호조세로 돌아섰다.[52]

공업[편집]

목포의 경제 활력이 되는 요소로는 인근의 대불산업단지와 현대삼호조선소를 꼽을 수 있다. 대불산업단지는 영암에 위치하고 있지만 바로 수출할 수 있는 신외항이 마련되어 있다. 1997년 많은 업체들이 문을 두드렸을 당시 허허벌판이였던 산단은 이제 공업단지로서 분양이 거의 만료된 상태다. 한라중공업 이후 장기간 경기침체를 우려했으나 현대중공업이 인수하면서 현대삼호중공업으로 바뀌며 회생의 길을 찾았다. 2007년 대불산단의 수출실적은 4억 6,300만 달러로 약 6,389억 4,000만원에 달한다. 2006년에 비해 25% 늘은 수치다.[53][54]

현재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토대로 다시 목포권 경제를 되살리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전남도는 대불산단에 2011년까지 1,000억 원을 투자해 태양광용 실리콘 생산단지를 조성하고 있는 (주)이노베이션실리콘를 비롯해 광양에 1,000억 원을 투자해 태양광발전 부품인 솔라셀(태양광전지) 패널을 생산하는 동산진흥, 최첨단 파이프 생산업체 (주)세신엔이피 등 유슈의 업체를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55] 이에 따라 목포시는 대불산단 입주가 거의 끝날 즈음에 대비해 현 대양동 부근에 대양산업단지를 추가 조성하는 방안에 착수한 상태다.[56]

상업[편집]

목포는 공업성장세가 두드러지지 않는 탓에 소비도시에 가깝다. 조선시대까지도 영산강을 거쳐 한양으로 떠나는 조운의 길목이 되었다. 당시에는 하구둑이 없었으므로 바닷물이 나주 인근까지 흘러가 나주평야에서 집산된 곡물이 한양으로 향할 수 있었다.

하당신도시가 생겨나기 전에는 구도심에 모든 기능이 집중되어 문화시설 및 상업 기능이 모두 이루어졌다. 그러나 새로 생겨난 연산동 위주로 아파트 단지가 대거 들어서고 1999년부터 하당신도시가 생겨나면서 상당 부분의 인구 유출로 신도시 인근의 상권이 대두되고 원도심의 시내는 계속된 도심공동화 현상을 겪게 된다.[57] 원도심의 상업 기능은 상당 부분 상실되어 식품 및 주류 업소들도 거의 자리를 옮겼다. 상권이 줄어들면서 시에서는 오래전부터 대책마련에 고심했으며 원도심 활성화 조례까지 제정했다. 그러나 인구 유출이 많이 진행된 상태고 구도심과 신도심 사이의 거리 차이로 인해 쉽사리 회복되지 않고 있다.[58]

전통적으로 구도심에 있었던 목포역 상권과 중앙시장을 중심으로 한 여러 시장은 시민들이 소비를 하는 중추로 꼽혀왔다. 인근에 유일한 백화점이었던 화니백화점이 있었으나 IMF 위기를 겪으며 화니백화점을 문을 닫았고 중앙극장이 되었다가 현재는 다른 업종으로 변경 중이다. 신도심으로의 상업 기능 이동은 이마트(2002.12)와 롯데마트(2001)가 개점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59] 이제는 구도심 인구가 장을 보기 위해 시장 대신 하당으로 이동하는 것이 다반사다. 다만 여객선터미널 인근에 위치한 동명어시장 및 북항에 어시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어 홍어나 낙지를 찾는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구도심활성화와 재래시장을 돕기 위해 시 당국은 재래시장 상품권을 도입해 재래시장 되살리기에 나서고 있다.[60]

수산업 경매 기능은 서산동 인근의 수협공판장에서 진행된다. 한달에 2회 정도 진행되는 수산물 경매는 선박의 입항과 물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공식적으로는 2회이나 선박 측이 도소매 상인과 개별적으로 진행하기도 한다.[61]

향토기업[편집]

목포에 기반을 둔 향토기업으로는 보해양조주식회사, 행남자기, 조선내화 등이 있다. 보해양조는 1950년 창립된 이후 1966년 보해산업주식회사로 출범해 호남을 대표하는 소주 회사로 성장했다. 대표 소주인 잎새주는 전국 최초의 단풍발효액 추출소주이며 2001년 500만불 수출탑을 수상했다. 일본 아사히 맥주 주식회사와 합작으로 개발한 소주가 일본 수출중에 있다. 보해복분자주는 대한민국 주류업계 최초로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62][63]

또다른 향토 사업자로는 행남자기가 있다. 1942년 5월 설립되어 본사는 목포에 두고 마케팅과 디자인을 총괄하는 서울사무소와 공장인 여주사무소가 있다. 1953년 커피잔세트를 국내 최초로 개발한 행남사는 최근 들어 중화인민주의공화국 시장공략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2008년 200만 불 이상을 수출해 현지 바이어들의 관심을 모았다.[64][65] 전통과 현대적 감각을 담은 자기를 선보임으로서 참살이 풍토와 신세대의 성향에 맡춰가려는 노력을 꾀하고 있다.

교통[편집]

철도 교통[편집]

목포역

목포역은 1913년 5월 15일 목포-학교(나주 인근의 작은 마을) 간 운행이 시작되면서 보통역으로 출범했다. 호남선의 종착역이자 수탈의 아픔을 지닌 역으로서 현재에는 연간 120만명의 여객 수송을 담당하며 호남권 물류를 담당하고 있다.[66]

목포역은 시의 서남부에 위치하며 여객선터미널과 그리 멀지 않은 거리에 있다. 목포역은 시종착역이기 때문에 철도가 목포역 안에서 끊긴다. 과거에는 삼학도안까지 석탄을 운반하던 산업철도가 있었지만 지금은 철로만 남아있을 뿐 거의 운행되지 않는다. 다만 사용하지 않는 철로에는 구형 열차들이 줄서있다. 삼학도 인입철도로 불리는 이 철도는 1965년 12월 31일 목포역 지선으로 삼학도 부두까지 연결됐던 철도이지만 주민의 가게 및 가옥 바로 앞을 지나다녀서 사고 피해에 노출돼 있는 지역이다. 이에 따라 삼학도 정비 사업과 더불어 2011년 해당 철로를 없애기로 했다.[67]

KTX가 도입되기 전에는 철도가 목포역에서 연동육교를 거쳐 시내를 관통했다. 그러나 고속철도 투입과 함께 역정비가 이뤄지면서 시내를 관통하던 철도는 전부 사라지고 역 뒷편을 거쳐 석현동으로 기차가 외부를 향하게 됐다.

2000년대 KTX가 개통되고 호남고속철도호남선 열차의 시종착지가 되면서 서울에서 목포까지 3시간 이내로 접근이 가능해졌다. 향후 2017년까지 호남고속철도가 완성되면 서울에서 목포까지 1시간 40여분이 소요될 예정이다. 다만 임성리역으로 시종착역이 옮겨가게 돼 일부 호남선 열차만이 정차하게 된다. 임성리역은 삼향동에 위치하며 무안과 만나는 지역이다.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호남고속철 계획노선은 경부선 분기점인 오송을 출발해 익산∼광주∼목포를 연결하는 신설 노선으로 총길이는 230.9km다.[68]

도로 교통[편집]

국도1, 2호선 시작점 기념비

서울과 목포로 연결된 서해안고속도로가 있어 자가용으로 약 3시간 정도 소요된다. 이는 기존의 개발축에 속해지 않아 경부축에 비해 개발상태가 낙후되어던 것을 혁신하기 위함으로 과거 5시간 남짓 걸리던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현재 목포와 광양간 고속도로가 공사중이며 2011년경에 개통되면 목포에서 부산까지 연결되는 고속도로가 된다. 또한 무안국제공항에서 광주까지 연결되는 고속도로는 2007년 11월 8일, 2008년 5월 28일 단계 개통되었다. 11월 8일 호남서남권 산업 물동량 증가와 사회간접자본 구축을 위해 무한공항IC ~ 나주 IC간 도로가 개통됐다. 1년 뒤 무안광주고속도로가 총길이 41.3km로 개통 후 미개통구간이던 나주~광주 구간까지 연결하게 되어 무안국제공항과 광주가 연결되 인근 목포권 승객들이 공항으로 향할 수 있는 도로까지 정비됐다.[69][70]

1번국도가 목포에서 출발해 임진각까지 이어진다. 원래는 신의주까지 이어져 있다. 일제강점기 최초로 건설된 도로인 탓에 과거 일본인거주지이자 구. 일본영사관 인근에 1번국도 시작점을 알리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 서해안고속도로를 타고 목포IC에서 빠져나와 국도를 타고 들어가면 여객선터미널에 닿을 수 있다.[71]

시내버스는 유진운수ㆍ태원여객이 운행하고 있으며 압해도와 목포를 연결하는 압해대교가 건설되면서 130번 신안여객이 새로 생겼다. 24개의 버스노선이 운행중이며 대부분의 버스는 삼학도, 대반동(해양대), 석현동에 기점과 종점을 두고 운행하고 있다. 일부 버스는 영암, 무안, 해남 유고리까지 운행하므로 요금이 거리에 따라 늘어난다.

2005년부터 천연가스버스(CNG)를 연차적으로 확대 시행하기로 했다. 이미 2003년부터 협의를 진행하고 있었으나 자금이 여의치 않자 대당 2,250만원을 보조하는 조건으로 천연가스 충전소가 삼학도, 석현동 종점에 마련되고 22대가 출고되어 시행중이다. 2006년 연초 10대가 늘어나 32대가 운행 중이다.[72] 2006년 1-2, 15, 112번 버스의 노선을 개편하여 시행했다. 옥암동 장재마을과 새로 들어선 포미타운 일대에 버스 노선이 미비해 노선을 새로 추가한 것이다. 장재마을은 이전부터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이후로 시와 갈등을 벌이던 중 5번 노선이 폐지되고 새로운 대안이 생기지 않으면서 시의 개입으로 일단락됐다.

2007년 3월 1일부터 모든 노선에 무료환승제를 도입했다. 지선과 도심순환, 외곽, 간선으로 구분해 시행하게 됐으며 서울과 같은 교통카드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게 됐다.[73] 전라남도 최초로 저상버스를 2007년 도입해 현재 운영 중에 있다. 지금은 1번 노선에만 적용해 3대에 불과하지만 노약자와 휠체어 장애인 지원을 위해 승강장 턱없애기 사업도 병행중에 있다.[74]

2008년부터 버스 준공영제 도입을 시에서 추진해왔다. 준공영제는 노선권은 목포시가 갖고 운수업체는 경영권을 맞는 것으로 수입과 지출을 공동으로 관리하는 방식이다. 이는 계속된 외곽 지역 소외와 교통불편 마찰을 해소할 돌파구를 마련한 대책으로 평가됐다.[75] 그러나 시민단체들은 시가 지나치게 시내버스에 지원을 쏟아부으면서 지방세 재정을 낭비하고 있다며 반발했다. 서비스가 개선되지 않은 채 버스회사만 배불릴 수 있다는 이유였다. 목포경실련은 2003년부터 버스 요금이 연간 12%꼴로 오른데다 적자를 메꿔준다는 명목으로 20억을 지원했음에도 경영 실적이 나아지고 있지않은 상태에서 시가 더 큰 비용을 부담해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76]

시외 대중교통은 목포시외버스터미널에서 일괄 처리하고 있으며 전남 주요 시군과 서울, 부산, 마산, 성남 등 전국 주요도시로 갈 수 있다. 그러나 타도 시군으로 가는 직통버스가 부족한 편이어서 광주 유스퀘어에서 갈아타는 경우도 있다.

항공[편집]

목포공항이 인근 영암군에 위치해 서울과 연결되고 있었다. 그러나 목포공항은 잦은 안개와 활주로 시설 미비로 여러 어려움을 겪어왔다. 더군다나 1993년 아시아나항공의 추락사고로 국정 감사를 받았지만 활주로 50m 확장에 그쳤다.[77] 서해안고속도로 개통 이후 줄어들기 시작한 항공편 횟수는 2003년 대한항공김포공항 노선 폐지, 2004년 아시아나항공의 항공편 감축, 목포~제주 간 항공편 중단 등으로 거의 없어져 목포공항의 폐지까지 우려됐었다. 도로 교통이 편리해진 데다 호남고속철도가 운행되면 탑승률이 더 떨어질 것이 뻔한 항공사들은 줄곧 1개 노선당 연간 20억원의 적자를 볼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실제로 목포공항의 이용률이 고속도로 개통후 73.3%에서 49.7%로 급락하면서 서울6회, 제주2회, 부산1회를 운항하던 것을 두 항공사가 일제히 감축해 인근 9개 시·군의 반발을 샀다.[78][79]

이러한 문제는 무안국제공항의 개항 차질이 장기화되면서 나타난 것으로 1999년 말 착공된 공항 사업이 계속 미뤄진데다 사업비를 제대로 수수하지 못하면서 발생한 것이다. 때문에 인근 시군은 무안공항 개청 전까지만이라도 항공사들의 항공편 감축을 미뤄달라는 입장을 표명했었다.[80] 결국 존폐기로에 섰던 목포공항은 2007년 11월 8일 무안국제공항이 개항하면서 호남권 중추 공항 역할을 넘겨주게 됐다.[81]

  • 항공노선 : 서울 - 목포 (매일 1회)

해상 교통[편집]

유달산에서 본 목포 앞바다

목포에는 국내 연안 및 중국을 연결하는 목포항이 있다. 국내 여객항로로는 흑산도, 홍도, 제주도 및 신안군 도서 지역을 연결하는 여객선터미널이 있다. 2002년 중국 상하이로 국제여객선이 공식취항식을 갖고 국내 유일 상하이행 배편으로 출범했다.[82] 그러나 자금난으로 5개월만에 영업이 중단되면서 계속된 어려움을 겪었다. 2004년 7월 여객정원을 줄이는 대신 화물적재량을 늘리는 선박설계 도입으로 새롭게 취항을 시작했지만[83] 중국 교통부가 관련 사업 인가를 끝내 승인하지 않으면서 여객선 운항이 중단된 상태다.

목포여객선터미널은 원래 단일 건물로서 80년대 초에 지어진 건물을 쓰고 있었으나 노후된 시설로 인해 2003년부터 3백 38억원을 들여 4층 규모의 새 청사를 신축했다. 2007년 2월 12일 문을 연 청사는 쾌속선 모양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일대는 국제항만종합타운으로 육성해 관광객과 이용객을 맞도록 설계했다.[84] 공사 동안 목포지방 해양수산청은 이에 따라 인근 출구를 1, 2, 3부두와 북항으로 나눈 후 선박회사 별로 분배했으나 졸속 행정으로 섬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의 질타를 받기도 했다. [85] 지금의 터미널은 연안여객선터미널과 국제여객선터미널로 두 곳의 대합실이 분리돼있다. 연안여객선터미널을 통해 인근 섬으로 나가는 배를 탈 수 있다.

목포항 여객선 정보[편집]

여객노선 선박회사 운행횟수 비고
홍도 남해고속/동양고속 1일 2회
흑산/홍도 진도운수 추자도, 벽파도 경유
제주도 씨월드고속훼리 1일 2회
비금, 도초, 안좌, 팔금, 암태, 자은 대흥상사
장신, 상태, 하의도 진도운수, 조양운수 조양(안좌 복호리 경유)
외달도, 달리도, 율도 등 인근 섬지역 신진해운, 조항해운 1일 5회 외달도 해수풀장 개장시 11회로 증편

문화[편집]

국립해양유물전시관

목포권 관광[편집]

목포역 인근에 위치한 유달산은 목포의 자랑이자 상징과 같다. 유달산은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병풍처럼 보인다 해서 금강산의 여름 별칭인 개골산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4~5월에는 유달산 꽃축제가 열려 수많은 인파가 몰린다. 유달산의 볼거리는 정상에 올랐을 때 보이는 다도해 절경에 있다. 유달산은 228m로 그 높이가 낮지만 목포시 한가운데서 보는 다도해의 절경이 아름다우며 낙조대로도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다른 명소는 전국 최초로 조성된 목포조각공원으로 1982년 야외조각공원으로는 처음으로 개장했다. 조각품의 계약 기간 만료 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목포의 문화를 상징하는 작품으로 '자연, 문화, 조각'이라는 주제하에 꼽힌 작품들이 2008년 8월부터 전시되고 있다.[86] 인근에 위치한 난전시관과 생태전시관은 남부지방에서 자생하는 특이 식물을 보존하여 선보이고 있는 곳으로 함께 들를 수 있는 명소다. 시내 일대에서 볼 수 있는 명소는 빛의 향연이다. 목포시는 빛의 도시로 관광객을 모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목포극장 앞길과 역전파출소 앞으로 길게 서있는 루미나리에는 밤마다 빛을 뽐낸다. 유달산에도 야간조명이 켜져 야경을 만드는 데 일조하고 있다.[87] 근처에 있는 드라마 야인시대 촬영지인 이훈동정원은 좋은 볼거리다. 일제시대 때 지어져 조선내화의 사장이었던 이훈동의 소유로 이어져온 이곳은 호남 제일의 정원이며 일본식 석등을 비롯한 일제 시대의 건축양식을 잘 보여준다. 개인 소유의 집이라서 탁 트인 광경을 보기는 어려우나 문화재로 등록되면서 개방하고 있다.[88]

갓바위는 또다른 볼거리로서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곳이다. 갓바위는 문화특구로 지정되어 목포자연사박물관, 국립해양유물전시관, 목포생활도자박물관, 남농기념관 등 다채로운 볼거리가 있어 유원지로 각광받고 있다. 국립해양유물전시관은 해양사 전시관으로서는 유일한 것으로 매년 여러 종류의 전시회와 바다 관련 학습교실을 개최하고 있다. 2007년부터 국립박물관으로 승격 추진 중이나 아직까지 명칭을 박물관으로 바꾸지는 못했다.[89][90]

외달도고하도는 목포시가 지원하고 있는 새로운 관광명소다. "사랑의 섬, 외달도"라는 문구를 토대로 외달도 관광객을 유치해 매년 6~8월 해수풀장을 열고 한옥 민박을 개방하고 있다. 신도심에 위치한 도심공원이자 관광지는 평화광장으로서 200여 개의 조명이 쏘는 음악분수는 야경의 백미이다. 현재 국내 최대 음악분수 설치를 계획 중이나 지역 시민단체의 사업성 비판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91]

목포 하면 떠오르는 것은 홍어와 맛깔스런 음식이다. 목포의 5가지 맛은 홍탁삼합과 세발낙지, 연포탕, 민어회, 꽃게무침이다. 남도 한정식을 대표하는 맛집은 목포 관광에서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이다.[92]

주요 축제[편집]

대표적인 목포의 축제로는 유달산봄맞이축제가 있다. 유달산 개나리꽃축제였던 것을 시에서 이름을 바꿔 유달산봄맞이축제로 부르고 있다. 봄맞이 축제는 개나리와 목련, 벚꽃이 가득한 유달산 일대에서 열린다.

최근 들어 큰 호응을 받고 있는 축제는 목포사랑은빛갈치축제이다. 2008년 6회를 맞은 축제는 관광객들에게 낚시대를 무료로 대여하여 가족이 갈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한 데서 큰 성과를 거뒀다. 매년 10월 열리는 축제는 선상 갈치낚시대회로 그 절정에 달하며 불꽃놀이와 함께 오후 5시 30분~9시 30분까지 진행된다.[93]

난영가요제는 목포시민이 주목하는 축제로 목포가 자랑하던 가수이던 이난영을 기리기 위해 생겨난 행사이다. 1968년 호남매일신문사가 행사를 시작해 개최되다 잠시 중단됐지만 1991년부터 MBC주관으로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목포가요제도 성격이 비슷한 것으로 KBS 목포가 주관한다.

이외에도 회시장의 성격을 살려 동명동과 북항 일대에서 수산물 관련 축제를 하며 관광객들의 발길을 모으고 있다.

언론 기관[편집]

목포에는 KBS 목포지국과 목포MBC 외 여러 언론기관이 자리하고 있다. KBS 목포방송국1942년 지역방송으로는 최초로 설립되어 목포 연동육교(현 소방서 인근) 산자락에 위치하던 것을 용당동 시청 사옥 옆으로 이전해 지금에 오고 있다. 목포 MBC는 1967년 무선국 가허가를 받은 뒤 이듬해 목포 라디오가 개국하면서 시작됐으며 호출부호 HLAM, 주파수 1386KHZ였다. 목포 MBC는 과거 민중 항쟁 당시 민중의 소리를 담았으며 1980년 광주민주항쟁으로 시설이 피습당해 5월 31일까지 방송을 중단하기도 했다. 1988년 현재 용당동 신사옥을 준공해 이전했으며 1999년 표준 FM을 개국하여 89.1MHz 방송을 시작했다.[94]

종교계통 방송으로는 유일한 목포극동방송은 호남권에 있는 유일한 극동방송 지사이며 1999년 개원해 전파 송출을 담당하며 전라권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유선방송 사업자로 한국케이블TV 호남방송이 있다. 신문사업자로 목포투데이와 목포시민신문 등이 있다.

문화·체육 시설[편집]

용당동 용당로에 자리하고 있는 목포유달경기장1987년 9월 목포실내수영장과 함께 개관하였으며 총 부지 면적 65,964㎡, 천연잔디구장(69×97m), 8레인의 우레탄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장 뒷편에는 정구장과 테니스장이 있어 지역 스포츠 동호회의 활동이 잦다. 경기장 1층에는 핸드볼, 태권도 등 다양한 종목 협의회가 들어서 있다. 유달경기장과 실네체육관을 바탕으로 목포시는 2004년부터 시 체육회와 함께 동계전지훈련 유치를 위해 뛰어왔다. 홍보 결과에 힘입어 2004년 12월에서 이듬해 2월에까지 축구, 육상, 유도, 경정 등 127개팀 5,912명을 유치했고[95] 앞으로 그 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2005년부터 투척종목만을 다루는 목포전국육상대회가 시작되면서 선수들의 발길이 더욱 늘고 있다.[96] 2009년 8월 23일부터 한중일 주니어 기능경기대회가 목포에서 열리게 됨에 따라 시설 정비가 한창이다.[97]

이외에도 유달산 일대에는 주민들을 위한 체육공원이 간간이 마련돼 있으며 삼학도 인근에 부족한 체육시설 건립을 위해 삼학도 근린 공원 조성에 착수하고 있다.

문화시설의 경우 갓바위에 박물관 등의 시설 외에도 목포문화예술회관이 들어서 있다. 두 동으로 나뉘어 있는 문화예술회관은 공연동과 전시동으로 구분된다. 공연장 1, 2층 수용면적이 약 700여 명[98]에 불과해 규모가 큰 것은 아니다. 전시동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시회를 개최하며 지역 예술인들의 무대로 자리하고 있다. 신도심에 체육시설이 들어설 공간이 없다는 지적에 따라 건립한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는 2003년 4월 준공하고도 막대한 운영비 탓에 전라남도가 운영을 하지 않고 있었다. 이를 목포시가 먼저 인계해 2003년 12월 개관했다.[99] 크게 대·소·야외공연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공연장의 경우 1,294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100]

목포에는 두 곳의 도서관이 있다. 목포시립도서관1974년 구 일본영사관 건물에 문을 열었다 1989년 현재의 용당2동 자리로 옮겨 현재 약 23만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하 1층 지상 4층에 1,636석의 열람석을 갖추고 있다. 2003년 민간 위탁업체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파행운영이라는 비난 여론이 끊이지 않아 도서관 운영이 부패로 얼룩질 수 있다고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에 따라 시는 자체심사위원회를 통해 목포문화원을 최종 위탁기관으로 선정한 바 있다.[101][102] 1982년 교육청의 부속기관으로 설립된 목포공공도서관은 지하1층-지상4층 규모로서 자체기관으로 독립해 현재 북항 인근의 산정동에 위치하며 총 수용인원은 1,460명이다.[103]

극장의 경우 개항이후 1926년 11월 목포극장이 개업하면서 지역민의 문화시설로 자리잡고 있었다. 이후 시내에 3~4곳의 극장이 더 들어섰으나 흥망을 거듭했다. 그러나 1990년대 말부터 구도심의 영향력이 축소되면서 극장을 비롯해 시내를 찾는 사람들의 발길이 하당으로 이동했다. 이는 현대식 복합상영관이 대거 하당에 몰렸기 때문으로 하당의 번화가에 해당하는 장미의 거리 일대에만 메가라인 목포점(2002)과 CGV 목포(2004.12.17)가 드러섰기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프리머스 시네마 목포점과 롯데시네마까지 하당 일대에 들어서면서 이에 따라 구도심 내 극장들이 연쇄 도산했고 목포극장 또한 2008년 영업을 중단하고 건물 새단장에 돌입한 상태다. [104][105][106]

교육[편집]

2007년 현재 목포시 통계연보에 따르면 목포내부의 초등학교는 30개교, 중학교 15, 고등학교 15개교가 있다. 대학교와 대학원이 각각 3곳이 있으며 전문대학은 목포과학대학 1곳, 특수학교로는 1985년 설립돼 지역 장애인 학생을 전담하고 있는 목포인성학교가 있다.[107] 유치원은 총 55곳이 있다. 초등학교의 경우 교원 1인당 학생수가 24명이며 중학교는 19, 고등학교는 13명이다.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된 근대식 교육은 유달초등학교와 북교초등학교로 대표되었으며 상당수의 학생이 일본인이었다. 북교초등학교는 구한말 고종 32년 칙령 145호에 의거하여 무안읍에 있던 향교를 토대로 목포 개항과 함께 개교했다.[108] 유달초등학교는 1898년 1월 12일 목포심상소학교로 개교하여 1912년 고등소학교가 된 뒤 현재까지 오고 있다.

구 목포상업고등학교(현 전남제일고)는 1920년 목포공립상업학교로 설립돼 1920년 개교[109]했으며 김대중 전대통령의 모교이다. 1941년 지역 유지이던 문재철이 문태학원을 설립해 문태고등학교를 세웠으며 목포고등학교는 1950년 설립된 후 호남의 명문고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고등교육기관으로는 1946년 설립돼 1976년 이후 국립으로 승격된 목포대학교가 있으며[110] 2004년 교육인적자원부누리사업 대학으로 선정돼 조선, 문화 분야에 연구력을 집중 투입하고 있다.[111] 2007 국립대학 혁신수준 진단평가에서 서울대, 전남대 등과 함께 최우수 4단계로 평가받기도 했다.[112] 1950년 개교한 목포해양대학교는 목포상선고등학교로 인가돼 1993년 현재 해양 관련 인력을 육성하고 있다.[113] 1967년 개교한 목포가톨릭대학교는 성신간호전문대학으로 1979년 개편인가를 받은 후 1999년부터 현재의 학과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114] 이외에도 한국폴리텍5대학이 1996년 목포기능대학으로 출범한 뒤 컴퓨터정보, 조선응용, 조선설비 등의 학과를 두고 있다.[115]

고교평준화[편집]

목포지역은 원래 70년대 말부터 일어난 평준화 도입과 함께 평준화를 도입했으나 90년도에 다시 비평준화로 돌아갔었다. 그러나 2004년 교육부의 입법예고로 순천, 여수와 함께 고교 평준화를 시행하게 됐다. 2000년대 초반부터 붉어진 평준화 논쟁 과열로 좌초될 뻔 했으나 2003년 1월 주민투표 실시 결과 71.3%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평준화 지역으로 확정됐다.[116]

그러나 계속된 시내 고등학교의 명문대 진학 경쟁으로 학부모들의 선호도가 10배 이상 차이 나는 등 고등학교 간 경쟁이 과열되고 있으며 평준화로 인해 오히려 선호 또는 기피 현상이 두드러져 교육 당국의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에 있다.[117]


주요 인물[편집]

  • 김대중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노벨 평화상 수상, 前 새천년민주당 총재
  • 김지하 : (본명) 김영일, 시인.
  • 김환기 : 서양화가.
  • 남진  : 가수. 대표곡 '가슴 아프게', '님과 함께' 등. 제7대 한국연예협회 이사장
  • 박화성 : 한국문단의 대모로 칭송 받는 여류소설가
  • 이난영 : 목포를 대표하는 가수. 대표곡 〈목포의 눈물〉, 〈목포는 항구다〉등
  • 장주원 : 옥공예 장인(玉匠)(국가무형문화재 100호)
  • 차범석 : 극작가. 대표작 〈산불〉, 〈통곡의 땅〉, 〈한국 소극장 연극사〉. 前 대한민국예술원 회장,
  • 허건  : 남종화를 대표하는 화가. 4,200 여점의 기증작으로 남농기념관 설립됨.

자매도시[편집]

목포시의 자매결연도시는 다음과 같다.[118]

주석[편집]

  1. 박영수, 거인 《우리나라 문화여행》
  2. 목포시 관광문화 홈페이지
  3. KBS, 《역사스페셜2》 48쪽
  4. 장콩, 《우리역사이야기 2》 34쪽
  5. 이봉수, 새로운사람들. 《이순신이 싸운 바다:한려수도》 217쪽
  6. 손영배, 《문지사 한국의 쓰레기 2천년사》
  7. [데이코 D&S, 진한엠엔비. 《한국축제연감 2007》 706쪽]
  8. KBS다큐멘터리해방제작팀, 《해방(테마로 읽는 20세기 한국사)》 13, 18쪽
  9. 역사학 연구소, 서해문집《함께 보는 한국근현대사》82쪽
  10. 홍성철, 페이퍼로드《유곽의 역사》 101쪽
  11. 이이화, 《한국사이야기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바람》(한길사, 2004) 27쪽.
  12. 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공표.
  13. 고석규, 〈근대도시 목포의 역사 공간 문화〉
  14. 이경재, 가람기획 《한양이야기》 264쪽
  15. 목포역사문화관광 홈페이지 중 연혁 참조
  16.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제정 1962년 11월 21일 법률 1175호)
  17. 2005-11-25 "옛 삼학도 모습"
  18. 2007-03-01 "목포 삼학도 35년만에 복원...1일 개방"
  19. 삼성출판사 편집부 2007. 《대한민국 웬만한곳 다있다》
  20. 김동식, 김정현 매일경제신문사, 2006. 《날씨경영(하늘에서 돈이 옵니다》 173쪽
  21. 목포기상대 자료실 참조
  22. 한경비즈니스, 2007-06-11 전국은 지금 ‘태양의 도시’ 열풍
  23. 2009-02-21 전남, 수도권비해 황사발생 적고 농도 낮다
  24. 목포기상대 목포지방 기후 특성
  25. 2002-05-01 오마이뉴스 현직시장 '아름다운 퇴장'
  26. 연합뉴스 2002-01-12 목포시, 밀가루 600t 북한 지원
  27. 국민일보 2002-04-23 "6·13 지방선거 열전지대…목포시장 민주 경선 불공정 시비로 파행"
  28. 오마이뉴스 2002-05-01 민주당 목포시장 경선 ‘전태홍’씨 당선
  29. 노컷뉴스 2005-01-12 전태홍 목포 시장 뇌사, 인공호흡기로 연명
  30. 서울신문 2005-01-13 "전태홍 목포시장 돌연사"
  31. 연합뉴스 2005-04-30 <4.30 당선자 인터뷰> 정종득 전남 목포시장 <4.30 당선자 인터뷰> 정종득 전남 목포시장
  32. 연합뉴스 2005-09-30 목포시장 민주당 정종득 후보 당선
  33. 연합뉴스 2005-09-14 자치단체장과 지역구의원 힘모아 흘린땀 큰 결실로
  34. 2005-12-29 목포시 '빛의 거리' 조성 루미나리에 샘플 점등
  35. 2006-12-15 "원도심의 활성화를 위한 특화거리 지정"
  36. 연합뉴스 2007-10-20 목포시, '풀뿌리 경영 대상' 수상
  37. 아시아투데이 2009-01-07‘제1회 한국관광대상’에 목포시-울릉군
  38. 2008-05-26 "목포시민신문 원도심 활성화 실질적 지원책 시급"
  39. 2007-03-14 "목포시민신문 원도심사업 보상업무 주먹구구"
  40. 데일리안 2008-03-27 "용감무쌍(?)한 목포시 ·도 의회 의원들"
  41. CNB뉴스 2008-04-15 "4.9목포총선이 남긴 부끄러운 자화상-프롤로그(1)"
  42. CNB뉴스 2009-01-11 "법원, 목포시장 업무추진비 지출증빙자료 공개 판결 법원, 목포시장 업무추진비 지출증빙자료 공개 판결"
  43. 엔사이버 : 목포시청
  44. 목포시청 행정조직과 업무 그래프 참조
  45. 목포시 용당1동 기본현황
  46. 목포시 산정동 기본현황
  47. 목포시 하당동, 상동, 신흥동 기본현황 참조
  48. 매일경제 2000-05-29 "(지방 아파트) 내달 지방 16곳 12,500가구 분양"
  49. 오마이뉴스 2002-10-07 목포시 하당신도심 러브호텔 '천국'
  50. 2007 목포통계연표
  51. 남덕우 삼성경제연구소. 《한국 과거를 딛고 미래를 보자》 369쪽
  52. 농어업 부분은 목포시 2007년 통계연표를 참조해 작성한 것임을 밝힙니다.
  53. "대불단지의 中企“전봇대 뽑으면 희망있다”"
  54. 강선원, 원앤원북스. 《땅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100가지》 315쪽
  55. 머니투데이 2009-01-15 "'맞춤형 기업유치 전략'성과 빛났다"
  56. 연합뉴스 "목포 대양일반산업단지 조성 사업 본격화"
  57. 목포시, 전국 최초 '원도심 활성화 지원 조례' 제정
  58. 2009-02-19 원도심활성화, 또 하나의 신도시건설
  59. 이마트 점포 개요
  60. 2009-02-18 목포시 재래시장상품권 인기몰이 `왜?'
  61. 목포 수협 전화통화로 조사
  62. 보해양조 연혁
  63. 매일경제 2008-12-15 "보해 복분자주, `럭비공 와인` 애칭으로 美서 호평"
  64. 행남자기 연혁
  65. 2008-10-28 행남자기 "2009년 中수출 2배 확대"
  66. 다오스 기차역
  67. 2008-06-04 "목포시민신문 삼학도 인입 철도 2011년 철거 될듯"
  68. "오송∼목포 호남고속철 내년 착공"
  69. 한국도로공사 서해안고속도로 설명
  70. 88고속도로/무안광주고속도로
  71. 2003-07-08 한국일보, "길과사람 차로 바다건너 병어·민어회 '실컷'"
  72. "천연가스(CNG) 시내버스 운행" 2006-01-29
  73. 2007-03-02 "목포시 시내버스 무료환승 실시"
  74. "목포시, 시내버스 저상버스 도입운행" 2007-12-05
  75. "목포시 시내버스 준공영제 내년 시행" 2008-01-07
  76. 데일리안 2008-10-01 "목포경실련, 시내버스 준공영제 “사회적 합의가 우선"
  77. <목포공항 38년만에 폐쇄..'역사의 뒤안길로'>
  78. 국민일보 2004-02-01 제주행 항공노선 지키려 ‘안간힘’
  79. 동아일보 2003-12-26 목포공항 폐쇄 위기
  80. 2003-09-29 무안항공 2005년 개항 차질
  81. 2007-10-16 신설 무안공항에 광주공항 국제선 이전 추진
  82. 한국경제 2002-11-20 목포~상하이 카페리 운항 .. 매주 2회 왕복
  83. 2004-07-22 목포-상하이 뱃길 9월 재개
  84. 2004-11-24 <지역경제시대> 올해를 빛낸 기업 : 목포여객터미널, 국제항만타운으로
  85. 뉴시스 2006-07-20 "섬 지역 나들이 너무 힘들어요" 주민, 관광객 불만 팽배
  86. 뉴시스 200901-07 "<지기사의 사진> 국내최초 야외 조각공원인 유달산 조각공원"
  87. 국민일보 2007-02-03 "여행메모- 목포 유달산"
  88. 2004-04-23 '목포는 항구다'관광 연계효과 미흡
  89. 2007-01-29 "목포 외달도 … 남도음식ㆍ갯벌체험ㆍ삼림욕, 청량감을 먹고 마셔요"
  90. 국립해양유물전시관 명칭에 관련한 민원 접수 전화통보 참조 2009-03-02
  91. 아시아경제 2009-02-23 "新목포지리지왜 평화광장 앞 바다인가?"
  92. 아시아투데이 "목포시, “맛 집 거리” 입주자 모이세요!"
  93. 2008-09-24 스타뉴스 '목포바다 은빛갈치축제' 화려한 밤 수놓는다
  94. 목포MBC 회사연혁
  95. 한국일보 2004-11-23 "스포츠 동계훈련 목포로 오세요"
  96. 2006-02-03 2006 목포 전국육상경기대회 개최
  97. 목포MBC 2008-11-28 "목포 유달경기장 리모델링 추진"
  98. 목포시 문화예술회관
  99. 2003-10-24 세계일보 "목포체육센터 12월 개관"
  100.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
  101. 2003-01-20 "목포시립도서관 민간위탁에 목포문화원"
  102. 목포시립도서관 공식사이트 참조
  103. 목포공공도서관
  104. 조이뉴스 2004-12-27 "연말연시 불붙은 멀티플렉스 전쟁"
  105. 매일경제 2005-01-24 "목포 신도심에 롯데시네마 목포관 개관"
  106. 2006-09-26 "프리머스 노원, 광명, 주안, 목포 연이어 신규 개관"
  107. 목포인성학교 연혁 및 현황 참조
  108. 북교초등학교 연혁
  109. 전남제일고등학교 연혁소개
  110. 목포대학교 대학연혁
  111. 뉴시스 2004-09-18 목포대 누리사업 본격 출범
  112. 연합뉴스 2008-02-20 목포대 국립대 혁신 수준 평가서 '최우수'
  113. 목포해양대학교 연혁
  114. 목포가톨릭대학교 연혁
  115. 한국폴리텍5대학 참조
  116. 한겨레 2004-01-19 "목포·여수·순천 내년 고교 평준화"
  117. 연합뉴스 2009-01-30 "전남고교 평준화 맞아?"..선호도 10배차
  118. 목포시소개-자매결연도시

바깥 고리[편집]


주요 기관

test[편집]

var time = now Date();
var week = time.getWeeks();
var plainmonth = time.getMonth();
var year = time.getYear();
if (plainmonth < 10) {
    var month = '0' + plainmonth
}
function addpluslink () {
   var yearweek = year + '년 제' + week +'주'
   var yearmonth = year + '년 ' + month + '월'
   if (wgPageName == "위키백과:사랑방") {
        var dateformat = yearweek;
   } else {
        var dateformat = yearmonth;
   }
     addPortletLink('p-cactions',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 + talkpage + '/' + dateformat + '&action=edit&section=new', '+', 'ca-addsection', '내용 추가하기', '+', null);
}

if (wgPageName == "위키백과:사랑방" || wgPageName == "위키백과:관리자 요청" || wgPageName ==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 wgPageName ==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 {
    addOnloadHooks (addpluslin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