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루차돌이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그림:JUNG-2 1-php2511.jpg의 저작권과 출처를 알 수 없습니다[편집]

주의 신호 안녕하세요. 그림:JUNG-2 1-php2511.jpg을 위키백과에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나 올리신 그림 파일의 내용에 누가 이 내용물을 만들었는지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으셨거나, 저작권 라이선스에 대해 명시하지 않아 저작권을 확실하게 알 수 없습니다.

직접 만드신 파일이라면 이 사실을 명시해 주시고 만든 날짜도 적어주세요. 직접 파일을 만들지 않으셨다면 저작권을 소유한 사람을 명시하셔야 합니다. 웹사이트로부터 가져온 것이라면, 해당 웹사이트의 링크로 출처를 다시 언급할 경우 보통 저작권 정보가 충분하다고 인식됩니다. 그러나 저작권을 가진 사람이 웹사이트 관리자가 아니라면, 저작권을 좀 더 명확하게 명시하셔야 합니다.

저작권 라이선스 태그를 붙이지 않으셨다면 이 태그를 올바르게 추가해 주십시오. 사진, 소리, 비디오를 직접 촬영하신 것이라면 {{GFDL-self}} 태그를 사용하여 GFDL 아래에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다른 자유 라이선스에 대해서는 위키백과:그림의 저작권 표시를 참고해주세요.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비자유 자료의 인용을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업체의 로고나 연예인의 사진 등을 올리실 수 없습니다. 자세한 것은 위키백과:비자유 자료의 인용을 참조하십시오.

부정확하거나 생략된 정보들을 밝히지 않으신다면 이 그림은 곧 삭제될 수 있습니다. 미흡한 부분을 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밖에도 임진정왜기공도 관련 그림의 출처를 알려주십시오. 없으시다면 이 그림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쿠도군() 2008년 3월 15일 (토) 16:08 (KST)[답변]

그림 상태를 보니 저작권 소멸이 된 것 같긴 하지만, 그러면 퍼블릭 도메인으로 올려야 하거니와 사진 촬영자의 저작권이 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니 빨리 어디서 가져왔는지 자백(?)하셔야 합니다. 안하면 귀중한 사진이 삭제되어 사라집니다. --dus|Adrenalin 2008년 3월 16일 (일) 11:03 (KST)[답변]
정보공유라이선스가 붙혀 있는데 이러한 그림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hyolee2♪/H.L.LEE 2008년 3월 16일 (일) 11:11 (KST)[답변]

정보공유라이선스는 자기가 만든 매체에만 해당하며, 정확한 내용은 해당 틀의 링크를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블로그는 개인의 블로그일 경우, 출처로서 인정되지 않습니다. 먼저 토론에 응답하여 해결하시는 것이 맘 편할 것입니다. --크렌베리

왜성[편집]

왜성 문서를 작성하셨네요. 혹시나 누군가 만들 분이 있을 거라 생각해서 링크 걸어 놓았는데 이렇게 빨리 생길 줄은 몰랐습니다. ^^--Ta183 (토론) 2008년 9월 19일 (금) 21:07 (KST)[답변]

^^;; 루차돌이 (토론) 2008년 9월 20일 (토) 15:42 (KST)[답변]
선진리성은 사천 선진리왜성으로 옮겼습니다. 성에 관심이 많으신가봐요. 다몬 산성과 같은 글은 너무 짧은 토막글이니 조금 자제해 주셨으면 합니다. 참, 순천왜성은 잘 읽어 봤습니다. --Gwpei (토론) 2008년 12월 15일 (월) 14:30 (KST)[답변]
감사합니다. 다몬 산성과 같은 토막글은 앞으로 그런일이 없도록 유의하겠습니다. 선진리성 같은경우는 제가 제일 처음에 문서 이름을 선진리 왜성이라고 할려고 하였지만, 사천시에서는 이 성곽이 왜성축조 이전의 고려시대 토성이 있었다는점을 중요시하여 선진리성이라고 매스컴에 칭하는것을 보아서 문서 이름을 선진리성이라고 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성 형태의 선진리성 문지를 복원하는것은 약간 아이러니하지만요 ㅎㅎ --루차돌이 (토론) 2008년 12월 17일 (수) 17:29 (KST)[답변]
전 좌표 찾다가 선진리 성이랑 사천 선진리왜성으로 지도에 두군데 표시 되어 헷갈렸습니다. 뭔가 이상하다 하면서 하루동안 한참 고민했었죠. 알고보니 사천 선진리왜성으로 표시된 곳은 조명군총이더군요. 그리고, 블로그나 웹상으로 복원한 문을 봤는 데 영 아니더군요. 특 성문이 너무 이상합니다. 오테 문을 복원한 건지 뭔지는 모르겠지만요. 아마 일본 관광객을 유치하려고 복원 비스무리 한것 같은데, 비웃을 것 같네요. 사실 저도 성에 대해서 잘 모릅니다. 일본 갔다와서 일본 성에 빠져서 여기서 번역을 하고 있네요. 목표는 100명성 다채우는 건데... 그럼 잡담은 이만하죠.--Gwpei (토론) 2008년 12월 17일 (수) 18:20 (KST)[답변]
방금 순천왜성 추가된 글 읽어봤습니다만, 대단하십니다. 게다가 사진도 멋있습니다.--Gwpei (토론) 2008년 12월 21일 (일) 10:28 (KST)[답변]
사진은 KDN 자주국방네트워크 권순삼 님께서 찍은것으로 양해를 드리고 올리게되었습니다. 추가된 순천왜성의 구조는 천득염 , 조준익 , 정철성의 논문《순천왜성(順天倭城)의 구조(構造)와 축성방법(築城方法)에 대한 조사연구》(2001)에서 순천왜성 구조부분을 인용하였습니다. 제가 칭찬을 받을 필요까지는 없을것 같습니다. ^^;;--루차돌이 (토론) 2008년 12월 21일 (일) 12:08 (KST)[답변]

파일:순천왜성지도.jpg의 저작권 정보를 알 수 없습니다.[편집]

Warning sign 이 미디어 파일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파일:순천왜성지도.jpg을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그림 파일은 현재 저작권 정보가 누락되었거나 정확하지 않습니다.

만약 이 파일을 직접 제작하신 것이 아니라면,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원래 출처와 저작권 설명을 붙여 주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웹 사이트에서 가져온 그림의 경우에는 그 사이트의 주소와 사용 조건을 써 주시면 됩니다. 라이선스 틀을 붙이지 않으셨다면 이 그림의 저작권 정보를 확인한 뒤 적절한 저작권 틀을 달아 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정보 틀은 분류:그림 저작권 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자유 라이선스에 대해서는 위키백과:그림의 저작권 표시를 참조해 주세요.

정확한 출처를 밝히지 않으신다면 이 그림은 삭제 정책에 따라서 올라온 지 일주일 뒤에 삭제될 것입니다. 만약 다른 파일을 업로드하셨다면 그 파일에도 출처와 저작권을 밝히셨는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당신의 파일 올리기 기록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메시지는 Kwjbot IV이 자동으로 붙였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안내소에 질문해 주세요. --Kwjbot IV 2008년 12월 21일 (일) 21:08 (KST)[답변]

정보공유라이센스 붙였습니다. 죄송합니다.--루차돌이 (토론) 2008년 12월 22일 (월) 08:04 (KST)[답변]

질문 출처를 보면 아직 저작권이 있는 거 같은데요(1998년 출판). 정말 정보공유라이센스가 맞습니까? -- LERK (논의하기, 일지) 2008년 12월 22일 (월) 08:14 (KST)[답변]

    • 답변 제가 위키피디아를 접한지 별로 시간이 지나지않아서 위키피디아에 익숙하지 않고 많이 서툽니다. 그렇기 때문에 약간 좀 짜증나시고 황당하실수 있다는점을 우선적으로 명시해드리겠습니다. 우선 문제가 된 순천왜성 지도는 城郭談話會,『倭城の硏究』,제2호(1998),p.200.에 1차적으로 있는것이고, 그것을 천득염 , 조준익 , 정철성(2001)의 논문 《순천왜성(順天倭城)의 구조(構造)와 축성방법(築城方法)에 대한 조사연구》에서 『倭城の硏究』에 있는 순천왜성지도를 인용하였습니다. 저는 ,『倭城の硏究』가 아닌 위의 논문에서 사진을 얻어서 위키피디아에 올렸습니다. 논문에 대한 인용은 저작권법 제28조에 따라 정당한 범위 안에서 가능하지 않습니까? 그렇기 때문에 그 논문에 있는 사진을 올릴 수 있다고 생각하여 올리게 된것입니다. 저는 사진을 올릴때 어느 저작권표시를 해야할지 몰라 적절해보이는 정보공유라이센스를 붙였습니다만, 그것이 맞지않다면 정말로 죄송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루차돌이 (토론) 2008년 12월 22일 (월) 20:34 (KST)[답변]

논문에서 출처를 달고 인용할 수 있는것과 그 그림 자체를 올릴 수 있는것은 다릅니다. 예컨데 영화에 관한 글을 쓰면서 영화의 장면을 캡처해서 올릴 수 있겠지만, 그렇다고 그런 캡처 그림을 위키백과에 올릴 수 있다는 건 아닙니다. 해당 그림은 삭제합니다. -- ChongDae (토론) 2008년 12월 23일 (화) 13:29 (KST)[답변]

알겠습니다. 죄송합니다.--루차돌이 (토론) 2008년 12월 23일 (화) 17:14 (KST)[답변]

저작권이나 제작일을 확인할 수 있을까요? 몇십년 안 된 책의 삽화로 보입니다만... -- ChongDae (토론) 2008년 12월 23일 (화) 13:28 (KST)[답변]

잘 모르겠습니다. 파일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것과 같이 저는 만주국과 관련된 중국웹(http://www.imanchu.com/picture/Classics/200711/picture_164.html)에서 이 그림을 찾았고, 제 생각에는 이 사진에서 볼 수 있는 여진문자등을 통하여 저작권의 보호기간이 충분히 지났다고 생각되어 퍼블릭 도메인으로 올리게된 것입니다. 링크한 중국웹에서 잘 찾아보시면 정확한 출처를 아시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죄송합니다. 저의 중국어 실력이 짧습니다. 만약 퍼블릭 도메인에 해당이 되지않는다면 지워주십시오. 죄송합니다.--루차돌이 (토론) 2008년 12월 23일 (화) 17:14 (KST)[답변]
잘 모르시는 채 그림을 올리지 말아주세요. -- LERK (논의하기, 일지) 2008년 12월 25일 (목) 13:40 (KST)[답변]

제3자가 알 수 있도록 사용허가를 받은 증명을 게시 해주세요. 이것이 할 수 없으면 허위 라이선스로 삭제될 수 있습니다.----hyolee2♪/H.L.LEE 2008년 12월 26일 (금) 18:23 (KST)[답변]

http://blogfile.paran.com/BLOG_389392/200812/1230284368_%ED%8F%AC%EB%A7%B7%EB%B3%80%ED%99%98_%ED%99%95%EC%9D%B8%EC%9A%A9.jpg 이정도로 되겠습니까? 이것도 않된다면 직접 권순삼님께 메일 날려보십시오.--루차돌이 (토론) 2008년 12월 26일 (금) 18:42 (KST)[답변]

의견 먼저 루차돌이님께서 권순삼님께 메일 날려보십시오. -- LERK (논의하기, 일지) 2008년 12월 31일 (수) 18:18 (KST)[답변]

첨부한 그림파일 않보이십니까.. 얼마나 더 설명을 해야겠습니까.http://blogfile.paran.com/BLOG_389392/200812/1230284368_%ED%8F%AC%EB%A7%B7%EB%B3%80%ED%99%98_%ED%99%95%EC%9D%B8%EC%9A%A9.jpg --루차돌이 (토론) 2008년 12월 31일 (수) 18:29 (KST)[답변]

가덕도왜성[편집]

가덕도왜성이 눌차왜성 아닌가요 ? 가덕도에는 눌차왜성과 성북왜성이 있는 데, 눌차왜성인것 같습니다. 가덕도왜성은 눌차왜성과 성북왜성을 포함한 것이인지 아니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Gwpei (토론) 2009년 1월 2일 (금) 00:05 (KST)[답변]

네. 저도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제일 처음에는 가덕도왜성이라는 표현은 아니지않나? 눌차왜성=가덕도왜성이라면 성북왜성은 어떻게 되는가. 이런것과 비슷한 생각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한국해양대학교 동아시아학과 전임강사 류교열은 자신의 학술논문 「韓半島 南海沿岸의 倭城과 그 築城 意味 -가덕도 倭城趾를 중심으로-」 에서 1961년 부산대학교내의 한일문화연구소에서 간행한 「慶南의 倭城趾」에서 소위 말하는 '성북왜성'이 조선식 산성임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분류를 하지못하고 왜성으로 오판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실제로 부산시립박물관에서의 성북왜성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결과 고려 예종때 축조된 거제 폐왕성과 축조방식이 비슷함을 알 수 있었다더군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보낸 朱印狀등에서도 가덕도왜성이라고만 나오지 2개의 성으로 전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저는 류교열의 논문에 따라 '성북왜성'은 조선식 산성일뿐이며, 문헌에서 찾을 수 있는 가덕도왜성은 눌차왜성의 그것이기 때문에 눌차왜성을 가덕도왜성이라는 문서제목을 붙였습니다.
류교열의 학술논문 「韓半島 南海沿岸의 倭城과 그 築城 意味 -가덕도 倭城趾를 중심으로-」(한국일본어문학회) 에서의 그 성북왜성에 대한 부분입니다.
...(중략) 쇼와 초기 일본의 군부가 대개의 왜성을 실측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속에 가덕도 왜성의 실측도는 역시 누락되어 있다. 그리고 1961년 부산대학교내 한일문화연구소가 간행한 「慶南의 倭城趾」에서도 가덕도 왜성에 대한 실측도를 제시하고 있으나, 구체성과 전문성 결여는 문론, 위치지정 등에서도 많은 의문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8)...(중략)
8)여기서는 학생들을 동원한 답사정도의 조사에 그치고 있으며, 왜성의 정면에 위치하는 조선식 산성(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선창 소재)까지도 왜성으로 오판하고 있음은 물론, 축성자와 수비자에 대해서도 정확한 파악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측량도는 중심부만 나타낸 것으로 정확성과 전체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보충이 필요하겠다고 하겠다.--루차돌이 (토론) 2009년 1월 2일 (금) 01:46 (KST)[답변]
야 ~ 감탄입니다. 논문까지 찾아보셨군요. 전, 강서구 홈페이지와 몇몇 왜성관련 홈페이지에서 축성자가 고바야카와 다카카게로 나온 성이 눌차왜성이고, 가덕도왜성의 축성자도 같은 인물이라 유추한 것입니다. 그리고, 강서구 홈페이지에서 성북왜성의 소개를 고려시대 옛성이며 왜성이 아닌 투로 이야기하여 이렇게 적은 것입니다. 아무튼, 논문까지 찾아 보시다는 경악했습니다. 사실 제가 가는 도서관,, 요즘은 거의 가지 않치만서도, 왜성에 관한 서적이 별로 없던데 다 어떻게 찾으십니까 ? 그리고, 성의 구성요소에서 곡륜부분 말입니다. 사실 저는 구루와로 적고 있습니다만, 곡륜으로 적을 경우, 오비쿠루와, 데쿠루와 미즈노테쿠루와 등, 이는 서적에 대곡륜(帶曲輪),출곡륜(出曲輪), 수지출곡륜(水之出曲輪)이런 식으로 설명하고 있습니까? 아니면 어떻게 설명하고 있습니까?, 사실 제가 서적을 찾고 싶어도 잘 찾지 못하는 관계로 실례를 무릅쓰고 질문을 드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번역과 일본 웹싸이트를 참고해 왠만하면 한국어로 적되 구루와와 같은 경우는 일본어의 표현을 사용했으면 합니다. 그리고, 석축은 국어사전의 석벽, 토루는 국어사전의 성루로 적고 있습니다만,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요. 그리고, 해자의 같은 경우 어떻게 설명되어 있던가요? 요코보리 = 물이 채워진 해자인 경우야 일반 해자와 같으니 제외하고, 가라보리의 경우 (우네보리, 쇼지보리, 호리키리 등)해자 문서에도 번역하여 적었습니다만, 어떻게 적어야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전 우선 빈 해자라는 식으로 적었습니다만, 서적에는 어떤 식으로 설명하던가요?

적다보니 질문이 많아졌네요. 죄송합니다.--Gwpei (토론) 2009년 1월 2일 (금) 02:16 (KST)[답변]

과찬이십니다. 저는 사실 그렇게 왜성에 대해 아는것이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그렇게 많은 서적을 읽은것도 아니고요. 한국의 서적이나 논문에서는 구루와 등을 표기할때 단순히 한자로 帶曲輪만 적거나, 아니면 한글과 한자를 혼용하고 있습니다. ex) 대곡륜(帶曲輪) 서적에 따라 일본 한자어음으로 표기한 경우도 볼 수 있습니다. 저도 제 생각에는 구루와와 같은 경우는 일본어의 표현을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순천왜성 문서에서 곡륜으로 표기한것은 죄송합니다.
해자의 경우는 일본어한자음을 그대로 적더군요. 문화관광해설사 교육에 사용한 방송대학교울산일본학과 김영식의 「日本 近世城郭과 倭城에 대하여」(2008)에서 김영식은 『해자의 내부에 아무 것도 없는 것이 空堀, 해자 속에 물을 채운 것이 水堀이다. 대부분이 산성이었던 戰國時代의 성에는 물을 채울 수 없었기 때문에 가라보리가 많았고, 에도시대의 성에는 미즈보리가 많았는데, 물론 그것은 아무래도 가라보리보다 미즈보리가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서술하였습니다.--루차돌이 (토론) 2009년 1월 2일 (금) 10:38 (KST)[답변]

눈요기 웹사이트[편집]

눈요기 겸 참고할만한 웹사이트를 소개합니다. 물론 일문이라 좀... 그렇치만요

  • - 가와고에 성 조감도입니다. 일본분이 그림으로 그려셨드라구요. 그리고, 톱으로 가시면 더 많은 성을 보실수 있습니다.
  • - 일본의 성 몇몇을 가상으로 복원한 사이트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루차돌이 (토론) 2009년 1월 2일 (금) 10:40 (KST)[답변]

순천왜성[편집]

순천왜성에 대한 사진이 삭제토론에 올라가 있습니다. 출처만 명기하면 널리 배포가 가능한 사진들이라면 다시 한번 그분에 메일일 보내 보시는 것이 좋치 않을까요 GFDL이라는 항목을 명기해 답신을 해주십사 하구요. 번거러운 것은 알고 있습니다만, --Gwpei (토론) 2009년 1월 9일 (금) 11:56 (KST)[답변]

딱 이항목에 대해서만 답신에 적어달라고 해주십시오. 출처 명기만 하면 영리적 목적이외에는 널리 배포 가능제가 메일을 보내도 되지만, 당사자가 보내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그것을 증명할 수 있는 스크린파일을 위 링크처럼 거실수 있으니까요. 잘 부탁드립니다.--Gwpei (토론) 2009년 1월 9일 (금) 12:07 (KST)[답변]
위키백과에서 사용하려면 영리적인 목적을 포함한 모든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해야하고 수정·배포도 가능해야합니다. 만약 저작권자께서 다른 이에 의해 영리적으로 이용되거나 수정·배포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아쉽게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메일을 보내실 때 이를 꼭 언급해주세요.--아들해 (토론) 2009년 1월 10일 (토) 03:10 (KST)[답변]
조금 있으면 삭제 토론에 올려진 그림들이 삭제될 예정입니다. 상황이 어떻게 되었는지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군 (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1:41 (KST)[답변]
그냥 삭제해주십시오. 답변메일이 오지 않는군요. 다음에 답변메일이 혹시나 온다면 그때 사진을 다시 GFDL 항목을 추가하여 올리도록 하겠습니다.--루차돌이 (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5:17 (KST)[답변]
알겠습니다. 다음을 기약해야겠군요. --H군 (토론) 2009년 2월 7일 (토) 15:18 (KST)[답변]

자성대왜성[편집]

자성대왜성의 정식명칭은 부산진지성입니다만, 역시 왜성관련이니까 자성대왜성으로 하셨나요 ? 그것도 괜찮네요. 아무튼, 사진문제는 원만히 잘 해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Gwpei (토론) 2009년 1월 10일 (토) 22:03 (KST)[답변]

참, 일본의 성 문서의 왜성 단락을 만들테니 왜성에 대한 가필을 부탁드립니다. 저보다 많이 아시니까요. 잘 부탁합니다. --Gwpei (토론) 2009년 1월 10일 (토) 22:15 (KST)[답변]
감사합니다. 항상 많은 도움받고 있습니다.^^;; 자성대왜성은 자성대왜성으로 표현한 다음 부산진지성 문서가 만들어지면 링크만하면 될듯 싶습니다. 저도 왜성에 대해서 그렇게 많이 아는것은 아닌데 제가 일본의 성 문서에 가필을 한다니 쑥스럽네요. ^^;; 아. 그리고 여담이지만 혹시나 시간이 되신다면 한국 위키피디아에 일본 위키피디아의 노보리이시가키 문서[1]의 변역을 작성해주실수 있겠습니까? 제가 일본어실력이 많이 많이 서툴어서 변역은 무리지만, 이 문서가 만들어진다면 여러분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을것 같습니다.--루차돌이 (토론) 2009년 1월 10일 (토) 22:30 (KST)[답변]
알겠습니다. 웹서핑 좀 하다가 번역하겠습니다. 아무튼, 성에 관심 많으신 분을 여기에서 만난 것이 더없이 좋습니다. 참, 일본의 성은 100개가 넘었지만, 일본 100명성은 좀 버겁네요... 후쿠야마 성을 보시면 알겠지만, 후쿠야마 시에 성 매니아가 있는 것 같습니다. 아무튼, 요즘 동음이의어 문서를 만드는 재미에 그쪽 문서만 계속 생성되네요. 참, 부산진지성이 마루야마 성이였던 알고 계십니까, 사실 이것도 동음이의 문서 생성하다 알았습니다. 그래서 제가 부산진지성 부분에 언급할 수 있었던 까닭이죠. 또, 잡담이 길어졌군요. 그럼 --Gwpei (토론) 2009년 1월 10일 (토) 22:46 (KST)[답변]

안골왜성[편집]

안골왜성을 읽다가 몇몇 항목에서 제시하신 출처와 톳시 하나 안 틀리고 똑같은 문장을 봤습니다만, 이럴 경우도 저작권에 저촉된다고 볼 수 있어 오해의 소지가 생길수 있으니 되도록이면 재차 정리해 다르게 서술해 봅직도 합니다. 그럼,--Gwpei (토론) 2009년 1월 12일 (월) 11:11 (KST)[답변]

자꾸 재가 태글 거는 같네요. 되도록이면 문화재 틀이 붙어 있는 항목이면 문화재청의 표기에 따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잘못 생각한 건가요? 아무튼, 이 같은 연유로 안골왜성을 웅천 안골왜성으로 옮겼습니다마는, 만약 이가 잘못 되었다면, 다시 원위치로 옮기십시오. 합당한 이유를 제시하셔... 흠...--Gwpei (토론) 2009년 1월 12일 (월) 11:29 (KST)[답변]
아닙니다. 문화재청의 표기에 따르는 것이 옳은법이죠. 웅천안골왜성이라는 표기가 합당하다봅니다. 그리고 다음부터는 문서를 인용하여 작성시 좀 더 정리하여 다르게 서술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루차돌이 (토론) 2009년 1월 12일 (월) 11:33 (KST)[답변]

산성 건[편집]

야마지로(산성)은 굳이 번역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일본의 산성은 대개 조선식 산성(백제식 산성)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입니다. 물론 독자적으로 발전한 형태로 구루와라는 존재가 있긴 하지만, 뭐 그리 문제될 것은 없다고 봅니다. 1월에 제게 이야기하신걸 근 한달뒤에 적은 점에 대해서는 미안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참, 순천왜성 관련 사진이 삭제되었군요. 참 안타갑습니다. --Gwpei (토론) 2009년 2월 19일 (목) 22:08 (KST)[답변]

아닙니다. 조언에 언제나 감사드립니다.--루차돌이 (토론) 2009년 3월 28일 (토) 19:57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