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두사라
빈두사라
बिन्दुसारः | |
---|---|
아미트라가타 | |
![]() 빈두사라 치세의 은화. | |
마가다 황제 | |
재위 | 기원전 298년 ~ 기원전 273년 |
전임 | 찬드라굽타 |
후임 | 아소카 |
재상 | 차나키야 |
이름 | |
휘 | 빈두사라 마우리아 |
별호 | 아미트라가타 |
신상정보 | |
출생일 | 기원전 320년 |
출생지 | 마우리아 제국 파탈리푸트라 |
사망일 | 기원전 273년 |
사망지 | 마우리아 제국 파탈리푸트라 |
국적 | 마우리아 제국 |
가문 | 마우리아 |
자녀 | 수시마, 아소카 |
종교 | 아지비카교 |
빈두사라(산스크리트어: बिन्दुसारः)는 마가다의 제2대 마우리아 황제이다. 고대 그리스-로마 작가들은 그를 아미트로카테스라고 불렀는데, 이 이름은 그의 산스크리트어 이명인 아미트라가타("적들의 노예")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빈두사라는 마우리아 왕조의 창시자인 찬드라굽타의 아들이었으며, 동시에 왕조의 가장 유명한 통치자인 아소카의 아버지였다. 이 두 황제의 삶뿐만 아니라 그의 삶도 기록되어 있지 않다. 그에 대한 많은 정보는 그가 죽은 후 수백 년 후에 쓰여진 전설적인 이야기들에서 나온다. 헤마찬드라의 파리지슈타파르반과 같은 자이나교 전설들은 그가 죽은 지 1,000년 이상 지난 후에 쓰여졌다.[1] 아소카의 초기 생애에 관한 불교 전설들도 대부분 아소카가 죽은 지 수백 년이 지난 후에 살았던 불교 작가들에 의해 작성된 것으로 보이며, 역사적 가치가 거의 없다.[2] 이러한 전설들은 빈두사라의 치세에 대해 여러 가지 추론을 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아소카와 불교 사이의 밀접한 연관성 때문에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3]
빈두사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불교 문헌으로는 디비아바다나(아쇼카바다나와 팜수프라다나바다나 포함), 디파밤사, 마하밤사, 밤사타파카시니(마하밤사 티카 또는 "마하밤사 해설"로도 알려져 있음), 사만타파사디카, 타라나타의 16세기 저술이 포함되며,[4][5][6] 자이나교 문헌으로는 헤마찬드가 12세기에 저술한 파리지슈타파르반과 데바찬드라가 19세기에 저술 라자발리카타가 포함된다.[7][8] 푸라나에서는 또한 마우리아 통치자들의 계보에서 빈두사라를 언급한다.[9] 일부 그리스 문헌에서는 "아미트로차테스" 또는 그 변형된 이름으로 빈두사라를 언급하기도 한다.[10][7] 빈두사라는 그의 아버지에 의해 창조된 제국을 통합했다. 16세기 티베트 불교 작가인 타라나타는 그가 남인도에서 광범위한 영토 정복을 했다고 칭송했지만, 일부 역사가들은 이 주장의 역사적인 진위를 의심한다.
각주
[편집]- ↑ Singh 2008, 331–332쪽.
- ↑ Srinivasachariar 1974, lxxxvii–lxxxviii쪽.
- ↑ Singh 2008, 331-332쪽.
- ↑ Srinivasachariar 1974, lxxxviii쪽.
- ↑ Singh 2008, 331쪽.
- ↑ S. M. Haldhar (2001). 《Buddhism in India and Sri Lanka (c. 300 BC to C. 600 AD)》. Om. 38쪽. ISBN 9788186867532.
- ↑ 가 나 Daniélou 2003, 108쪽.
- ↑ Motilal Banarsidass (1993). 〈The Minister Cāṇakya, from the Pariśiṣtaparvan of Hemacandra〉. Phyllis Granoff. 《The Clever Adulteress and Other Stories: A Treasury of Jaina Literature》. 번역 Rosalind Lefeber. Motilal Banarsidass. 204–206쪽. ISBN 9788120811508.
- ↑ Guruge 1993, 465쪽.
- ↑ Kosmin 2014, 35쪽.
전임 찬드라굽타 마우리아 |
제2대 마우리아 황제 기원전 298년 ~ 기원전 273년 |
후임 아소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