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리아호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빅토리아 호 | |
Lake Victoria | |
(지리 유형: 호수) | |
빅토리아 호의 지형도
| |
나라 | 우간다 · 케냐 · 탄자니아 |
---|---|
섬 | 우간다의 쎄세 군도를 포함하여 3,000여개 |
위치 | 아프리카 |
- 좌표 | 북위 0° 동경 33° / 북위 0° 동경 33° 좌표: 북위 0° 동경 33° / 북위 0° 동경 33° |
유입 | 카게라 강 |
유출 | 백나일강 (빅토리아 호에서 발원하므로 "빅토리아 나일"이라고도 한다) |
길이 | 337 km (209 mi) |
너비 | 250 km (155 mi) |
고도 | 1,133 m (3,717 ft) |
수심 | |
- 평균 | 40 m (131 ft) |
- 최대 | 83 m (272 ft) |
수량 | 2,750 km3 (97,115 kcu ft) |
면적 | |
- 표면 | 68,800 km2 (26,564 sq mi) |
- 유역 | 184,000 km2 (71,043 sq mi) 238,900km² (92,200sq mi) |
둘레 | 3,440 km (2,138 mi) (둘레는 그 정의가 다소 불명확하다) |
빅토리아 호 또는 빅토리아 니안자(Lake Victoria 또는 Victoria Nyanza)는 아프리카 대호수들 중 하나이다.[1] 아프리카에서 제일 넓고, 세계에서 두 번째로 넓은 담수호로, 수면 면적이 6만9,500 km²이다. 담수어업이 성행한다.불규칙한 사변형의 모양으로 서쪽면을 제외한 다른 면은 굴곡이 심하다. 호수에는 섬들도 많고 물이 맑아 물밑의 암초도 볼 수 있다. 유럽인들 중 호수를 제일 먼저 발견한 사람은 1858년 나일강의 원류를 찾던 영국탐험가 존 해닝 스피크로 빅토리아 여왕을 기리기 위해 호수이름을 빅토리아로 명명했다. 그러나 이미 오래전부터 아프리카에서는 니안자 호수로 불리고 있었다.
지리[편집]
아프리카 중부에 있는 호수로 한반도 면적의 1/3 가량 된다. 남한 면적 기준으로는 대한민국의 약 70%나 되는 아주 거대한 호수. 평균수심이 40m, 최고 수심은 83m 정도이다. 우간다, 탄자니아, 케냐 3국이 국경을 맞대는 호수이다. 호수 서쪽에서 카게라강, 동쪽에서 마라강 등 많은 하천이 흘러들고, 백나일 강이 발원한다.
이름[편집]
일찍이 아랍인들이 우케레웨호(湖)라고 부르다가, 1858년 영국인 J.H.스피크에 의해 발견되어 빅토리아호라고 명명되었다. 이는 발견 당시 영국의 여왕이었던 빅토리아 여왕에서 딴 이름이다. 또는 니안자(Nyanza)호, 빅토리아니안자(Victoria Nyanza)라고도 불린다.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참고[편집]
- (오마이뉴스-아프리카 한복판에 왜 '빅토리아 호수'가 있지?)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409578
![]() |
이 글은 아프리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