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름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목: | 석죽목 |
과: | 비름과 |
속: | 비름속 |
종: | 비름 |
학명 | |
Amaranthus tricolor | |
L. | |
학명이명 | |
Amaranthus amboinicus Buch.-Ham. ex Wall.
|
100g당 영양가 | |
---|---|
에너지 | 371 kcal (1,550 kJ) |
65.25g | |
전분 | 57.27g |
당분 | 1.69g |
식이 섬유 | 6.7g |
7.02g | |
포화지방 | 1.459g |
단일불포화지방 | 1.685g |
다불포화지방 | 2.778g |
13.56g | |
트립토판 | 0.181g |
트레오닌 | 0.558g |
아이소류신 | 0.582g |
류신 | 0.879g |
라이신 | 0.747g |
메티오닌 | 0.226g |
시스틴 | 0.191g |
페닐알라닌 | 0.542g |
티로신 | 0.329g |
발린 | 0.679g |
아르기닌 | 1.060g |
히스티딘 | 0.389g |
알라닌 | 0.799g |
아스파르트산 | 1.261g |
글루탐산 | 2.259g |
글라이신 | 1.636g |
프롤린 | 0.698g |
세린 | 1.148g |
비타민 | 함량 %DV† |
티아민 (B1) | 10% 0.116 mg |
리보플라빈 (B2) | 17% 0.2 mg |
나이아신 (B3) | 6% 0.923 mg |
판토테산 (B5) | 29% 1.457 mg |
비타민 B6 | 45% 0.591 mg |
엽산 (B9) | 21% 82 μg |
비타민 C | 5% 4.2 mg |
비타민 E | 8% 1.19 m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16% 159 mg |
철분 | 59% 7.61 mg |
마그네슘 | 70% 248 mg |
망간 | 159% 3.333 mg |
인 | 80% 557 mg |
칼륨 | 11% 508 mg |
나트륨 | 0% 4 mg |
아연 | 30% 2.87 mg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

비름은 인도 원산의 비름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줄기는 털이 없고 곧게 서며, 높이는 1m 가량이다. 잎은 마름모꼴의 달걀 모양으로 어긋나게 달리며 긴 잎자루가 있다.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백록색의 작은 꽃이 이삭꽃차례를 이루면서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피는데, 이들은 다시 여러 개가 뭉쳐 나있다. 열매는 개과이며 타원 모양이다.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며 어린잎은 먹을 수 있다.
생산지[편집]
양평군 개군면이 비름 주산지로 정평이 나 있다. 전국 비름 생산량의 80% 정도가 개군면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개군면의 농가들이 비름을 처음 재배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후반. 초대 작목회장이 처음 비름 재배에 나서 지금은 218농가가 70ha에서 비름을 생산하고 있다.
재배[편집]
비닐하우스에서 수막재배하는 비름은 1년에 12~13회 수확이 가능하며, 성출하기인 여름엔 보름에 한번씩 수확할 수 있다. 고온다습한 곳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지닌 비름은 여름철 병해충만 주의하면 그다지 재배가 까다롭지 않은 것도 장점이다. 고령의 농가들이 재배하기에도 무리가 없다.
효능[편집]
예부터 지혈과 배앓이 등에 효능이 있어 약으로 쓰였던 비름은 각종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어 ‘장수나물’로도 불린다. 주로 무침·국 등으로 요리해 먹으며, 최근에는 시금치 대용으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각주[편집]
- ↑ John H. Wiersema (2003년 2월 4일). “Amaranthus melancholicus information from NPG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3년 1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1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