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분청자기에서 넘어옴)

음각어문편병, 호놀룰루미술관 소장

분청사기(粉靑沙器)는 분장회청사기(粉裝灰靑沙器)의 약칭으로 회색 또는 회흑색 태토 위에 백토(白土)로 표면을 분장한 다음 유약을 입혀서 구운 자기를 일컫는다. 고려 시대 말기인 14세기 중반에 시작하여 세종~세조 시대인 15세기에 전성기를 이루었으며 16세기백자에 밀려 쇠퇴할 때까지 만들어졌다.

이 명칭은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들이 '미시마데'(三島手)라는 이름으로 부르던 것을 미술사학자 고유섭이 처음으로 붙인 것[1]으로, 분청사기는 자기 표면에 상감(象嵌), 박지(剝地), 백토분장(白土粉粧), 각화(刻畵), 철화(鐵畵) 등으로 장식한 것을 전부 포함하는데 편의상 상감분청계(象嵌粉靑系: 인화분청, 감화분청)와 백토분청계(白土粉靑系: 백토분청, 박지분청, 철화분청)로 구분된다.

분청사기 가운데 철화, 박지, 귀얄, 덤벙류는 14~15세기[2]에 한반도에 정착하거나 귀화한 유이민들의 영향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3]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편집]

  1. 고유섭, 〈高麗 陶磁와 李朝 陶磁〉, 《조광(朝光)》, 조선일보사, 1941년, 46~48면.
  2. 시기상으로 고려 말기에서 조선 전기까지에 해당한다.
  3. 김윤정, 〈조선 15세기 중국 북방 자기 문화의 유입과 분청사기에 미친 영향〉, 《미술사학연구》 312, 한국미술사학회, 2021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