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요즘 화제
임의의 문서로
기부
사용자 모임
사랑방
사용자 모임
관리 요청
편집 안내
도움말
정책과 지침
질문방
언어
이 위키백과에서 언어 링크는 문서 제목 건너편의 문서 최상단에 있습니다.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
검색
검색
계정 만들기
로그인
개인 도구
계정 만들기
로그인
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기여
토론
분류
:
북아일랜드 분쟁
30개 언어
العربية
Беларуская
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
Català
Čeština
Cymraeg
Deutsch
English
Español
Euskara
فارسی
Suomi
Français
Frysk
Gaeilge
Hrvatski
Italiano
日本語
ქართული
Монгол
Norsk bokmål
Occitan
Português
Română
Русский
Simple English
Slovenčina
Türkçe
Українська
中文
링크 편집
분류
토론
한국어
읽기
편집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편집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파일 올리기
특수 문서 목록
고유 링크
문서 정보
축약된 URL 얻기
위키데이터 항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
PDF로 다운로드
인쇄용 판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도움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v
t
e
북아일랜드 분쟁
아일랜드의 역사
북아일랜드의 역사
영국의 역사
아일랜드 민족주의
아일랜드 공화주의
아일랜드 연합주의
얼스터 충성주의
분쟁 참여 세력
공화주의
준군사조직
아일랜드 공화국군 공식파
(OIRA)
·
아일랜드 공화국군 임시파
(PIRA)
·
아일랜드 민족해방군
(INLA)
·
아일랜드 인민해방기구
(IPLO)
·
아일랜드 공화국군 연속파
(CIRA)
·
아일랜드 공화국군 진정파
(RIRA)
치안 유지군
영국
: (
영국 육군
(BA)
·
영국 왕립공군
(RN)
·
영국 왕립해군
(RAF) )
·
북아일랜드
: (
얼스터 방위연대
(UDR)
·
왕립 아일랜드 연대
(RIR)
·
왕립 얼스터 경찰대
(RUC)
·
얼스터 특수경찰대
(USC) )
·
아일랜드 공화국
:
평화수호대
·
아일랜드 육군
왕당파
준군사조직
얼스터 방위협회
(UDA)
·
얼스터 의용군
(UVF)
·
왕당파 의용군
(LVF)
·
붉은 손 특공대
(RHC)
·
청년시민의용군
·
얼스터 청년민병대
·
얼스터 저항군
(URF)
·
얼스터 중부 여단
연대기
1967년:
북아일랜드 민권협회
발족
1969년:
보그사이드 전투
1969년:
북아일랜드 전역에서 폭동
1969년:
현수막 작전
개시
1970년:
사회민주노동당
창당
1971년:
드미트리우스 작전
으로 연행 및 무재판 구류
1971년: 아일랜드 정부, 신페인과 IRA가 대중매체를 이용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법안 통과
1972년: 영국 육군에 의한
피의 일요일
1972년: 북아일랜드 자치정부 폐지. 런던의 직접 지배 시작.
1972년:
PIRA
에 의한
피의 일요일
1972년 ~ 1985년: "
실종
"
1973년:
북아일랜드 의회
에서 SDLP와
열스터 연합주의자당
이 연정
1973년:
마운트조이 교도소 헬리콥터 탈옥
. PIRA 수감자 세 명이 헬리콥터를 이용해 교도소 탈출.
1974년:
얼스터 노동자평의회
파업으로 인해 의회 연정 붕괴.
1974년: 영국 육군의 도움을 받은
UVF
가
더블린-모너핸 폭파
를 일으킴
1976년: 아마 남부 공화주의 행동군에 의한
킹스밀 학살
1979년: PIRA의
워렌포인트 습격
1979년:
루이스 마운트배튼
암살
1981년: PIRA와
INLA
수감자들이
단식투쟁
감행
1981년: 단식투쟁 참여자
바비 샌즈
가 영국 총선에 출마해 당선.
신페인당
이 행동방침을 무장투쟁에서 선거를 통한 정치투쟁으로 전환하게 된 변곡점
1983년:
메이즈 교도소 탈옥
. PIRA 수감자 38명이 탈옥함
1984년: PIRA가
브라이튼 호텔 폭파
1985년: 영국과 아일랜드 정부 사이에
앵글로-아이리시 합의
체결
1987년: 영국 육군의
러프갈 습격
1987년: PIRA의
영령기념일 폭파
1988년:
평화협상
시작
1988년:
플라비우스 작전
,
밀타운 학살
,
하사들의 참살
1988년: 영국 정부, 방송검열 도입
1989년: PIRA
데리야드 검문소 공격
1990년 ~ 1997년:
아마 남부 저격수 활동
1992년:
발트 거래소 폭파
1993년:
비숍스게이트 폭파
1993년:
다우닝 가 박격포격
1994년: 제1차 PIRA 정전선언
1994년: 방송 검열 해제
1994년: 왕당파 정전선언
1996년:
독랜즈 폭파
1996년:
맨체스터 폭파
1997년:
덤크리 폭동
1997년: 제2차 PIRA 정전선언
1998년:
벨파스트 협정
1998년: 총선거 실시. SDLP와 UUP가 압승
1998년:
RIRA
의
오모 폭파
정당
연합주의 정당
민주연합주의자당
·
북아일랜드 연합주의자당
·
얼스터 연합주의자당
·
진보연합주의자당
·
보수당
·
영국 연합주의자당
·
전통적 연합주의자의 소리
민족주의 정당
민주좌파당
·
피아나 페일
·
피네 게일
·
노동당
·
진보민주당
·
신페인당
·
사회민주노동당
·
아일랜드 노동자당
·
아일랜드 공화사회주의자당
·
공화 신페인당
기타
동맹당
역사적으로 중요한 정당
국민당
·
북아일랜드 노동당
·
프로테스탄트 연합주의자당
·
연합주의 진보전위당
·
북아일랜드 여성연정
·
인민민주당
·
공화노동당
·
안티 H-블록
·
아일랜드 독립당
위키낱말사전
·
위키책
·
위키인용집
·
위키문헌
·
위키공용
·
위키뉴스
v
t
e
북아일랜드 분쟁
연표
파벌
아일랜드섬
1969년
보그사이드 전투
1969년 8월 폭동
1970년
세인트매튜스 전투
폴스 통금
1971년
버닝엠버스 선술집 방화
스코틀랜드 군인 참살
드미트리우스 작전
볼리머피 학살
맥구르크 선술집 폭파
벨모랄 가구회사 폭파
1972년
피의 일요일
아버콘 식당 폭파
도네걸 거리 폭파
스프링마틴 전투
스프링힐 학살
피의 금요일
전차운전사 작전
클라우디 폭파
베니스 선술집 폭파
더블린 폭파
1973년
뉴롯지 총격
콜레인 폭파
패디 윌슨과 이렌 앤드루스 피살사건
마운트조이 교도소 헬리콥터 탈옥사건
1974년
얼스터 노동자평의회 파업
더블린-모너핸 폭파
앤 오길비 피살사건
1975년
마운틴뷰 선술집 폭파
마이애미 쇼밴드 참살
바야르도 선술집 공격
드러먹카발 습격
더블린 공항 폭탄테러
1976년
리베이-오도드 참살
킹스밀 학살
플래그스태프 언덕 사건
클로레인 선술집 공격
램블 여관 공격
스텝 여관 폭파
1977년
로버트 나이락 피살사건
1978년
영국 육군 가젤기 추락
라몬 식당 폭파
1979년
베스브룩 폭파
워렌포인트 습격
루이스 마운트배튼 암살
1980년
허버트 웨스트매컷 피살사건
던머리 열차 폭파
1981년
아일랜드 단식투쟁
러프포일 선적 공격
베스브룩 지뢰 공격
글라스드럼만 습격
1982년
드롭핀웰 디스코텍 폭파
1983년
발리걸리 지뢰 공격
메이즈 교도소 탈옥
다클리 참살
UDR 4인
1984년
케시 습격
그랜셔 병원 총격
1985년
뉴리 박격포격
발리걸리 병영 공격
1986년
클론티브렛 침공
RUC 버치스 병영 공격
1987년
러프갈 습격
영령기념일 폭파
1988년
밀타운 학살
하사들의 참살
리즈번 승합차 폭파
발리걸리 버스 폭파
1989년
팻 피누케인 피살사건
오렌지크로스 사교클럽 총격
존스버러 습격
데리야드 검문소 공격
1990년
다운패트릭 폭파
영국 육군 가젤기 격추
컨서베이션 작전
RFA 포트빅토리아 폭파
1990년 대리폭탄 폭파
1991년
물라크리비 습격
카파그 참살
글레넌 병영 폭파
코어그 습격
도니골암스 총격
1992년
티베인 폭파
신그레이엄 마권업소 총격
클로노어 습격
클로그호게 검문소 공격
코알리슬랜드 폭동
아마 남부의 저격수 활동
장검의 밤
제임스 머레이 마권업소 공격
1993년
캐슬러록 참살
쿨라빌 점령
뉴리 도로 전투
샨킬 도로 폭파
그레이스틸 학살
1994년
영국 육군 링크스기 격추
섕킬 로 총격전
로우이니슬랜드 학살
1995년
드럼크리 분쟁
1996년
택시운전사 피살사건
티에프발 병영 폭파
1997년
코알리슬랜드 공격
1997년 7월 폭동
1998년
뉴타운해밀턴 폭파
퀸 형제 피살사건
오모 폭파
그레이트브리튼섬
올더숏 폭파
M62 고속도로 폭파
길포드 선술집 폭파
길포드 고문조작사건
버밍엄 선술집 폭파
버밍엄 고문조작사건
발콤 가 포위전
하이드-리젠츠 파크 폭파
해러즈 폭파
브라이튼 호텔 폭파
딜 병영 폭파
다우닝 가 박격포격
워링턴 폭탄 공격
발트 거래소 폭파
비숍스게이트 폭파
독랜즈 폭파
맨체스터 폭파
다른 곳
플라비우스 작전
(지브롤터)
오스나브뤼크 박격포격
(독일)
이 분류에 대해서는
북아일랜드 분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하위 분류
다음은 이 분류에 속하는 하위 분류 10개 가운데 10개입니다.
*
북아일랜드 분쟁 관련자
(3 C)
ㅂ
북아일랜드 분쟁을 소재로 한 작품
(1 C, 1 P)
ㅇ
아일랜드 공화국군 공식파
(1 C, 2 P)
아일랜드 공화국군 연속파
(2 P)
아일랜드 공화국군 임시파
(2 C, 12 P, 1 F)
아일랜드 공화국군 진정파
(3 P)
아일랜드 국민해방군
(2 C, 6 P)
얼스터 방위협회
(1 C, 2 P)
얼스터 의용군
(1 C, 3 P)
왕립 얼스터 경찰대
(2 P)
"북아일랜드 분쟁" 분류에 속하는 문서
다음은 이 분류에 속하는 문서 37개 가운데 37개입니다.
북아일랜드 분쟁
*
틀:북아일랜드 분쟁
1
1972년과 1973년 더블린 폭파
1981년 국민대표조례
H
HM 교도소 메이즈
ㄱ
길퍼드 4인과 매과이어 7인
ㄷ
다우닝 가 박격포격
더블린-모너핸 폭파
드미트리우스 작전
ㅁ
메이즈 교도소 탈옥
모포투쟁
밀타운 학살
ㅂ
북아일랜드 분쟁 참여 파벌
북아일랜드 평화협상
북아일랜드의 국기 문제
불결투쟁
붉은 손 특공대
브라이턴 호텔 폭탄 테러
ㅅ
샹킬 도살단
실종자 (북아일랜드)
ㅇ
아말라이트와 투표함 전략
아일랜드 공화국군 공식파
아일랜드 공화국군 연속파
아일랜드 공화국군 임시파
아일랜드 공화국군 진정파
아일랜드 국민해방군
아일랜드 단식투쟁
아일랜드 인민해방기구
얼스터 방위협회
얼스터 왕당파
얼스터 의용군
영국의 연합주의
왕립 얼스터 경찰대
ㅈ
장검의 밤 (1992년)
즉결사살 정책
ㅍ
평화선 (북아일랜드)
피의 일요일 (1972년)
분류
:
아일랜드-영국 관계
20세기 분쟁
종교 내전
더러운 전쟁
영국이 참전한 전쟁
아일랜드가 참전한 전쟁
북아일랜드의 역사
반영 감정
아일랜드의 현대사
대리전
북아일랜드의 테러리즘
숨은 분류:
전쟁 이름을 딴 분류
내용 폭 제한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