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
北韓離脫住民保護센터
North Korean Refugee Protection Center
약칭 합신센터, 자유누리센터
설립일 2008년 12월
설립 근거 탈북자 보호, 정착 지원[1]
전신 중앙합동신문센터
소재지 경기도 시흥시
상급기관 국가정보원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北韓離脫住民保護 - , 영어: North Korean Refugee Protection Center)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수용·조사하는 국가정보원 소속 기관이다.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8년 12월 중앙합동신문센터라는 이름으로 개소하였다.

이후 국정원은 2014년 7월 28일에 현재 명칭으로 변경하였으며[2] 2021년 10월 29일에는 공식 별칭을 자유누리센터로 제정하였다.[3]

탈북자 조사[편집]

북한을 떠난 모든 북한이탈주민한국에 입국하면 이곳으로 가게 된다. 국정원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배경 조사 및 위장탈북자 분류를 하고 조사를 마치면 하나원으로 보내진다.[4] 국가보안시설 1급에 해당되므로 일반인 출입은 통제된다.[5]

일부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와 동일하게 탈북자 심문을 하는 기관인 대성공사로 보내진다. 이곳으로 보내진 북한이탈주민은 열악한 환경에서 조사를 받게 되며 인권침해가 우려되기도 한다.[6]

별칭[편집]

내부의 조사관들이나 탈북자들은 '양지공사'로 부르기도 한다.[7] 그 밖에도 옛 정식명칭인 '중앙합동신문센터'의 약칭인 '합신센터'로도 불렸으며, 2021년 제정한 공식 별칭은 '자유누리센터'이다.

연혁[편집]

  • 2008년 12월: 중앙합동신문센터라는 명칭으로 개소
  • 2014년 4월 4일: 중앙합동신문센터 첫 공개[8]
  • 2014년 7월 28일: '중앙합동신문센터'를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로 변경
  • 2021년 6월 23일: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 2차 공개
  • 2021년 10월 29일: 공식 별칭을 '자유누리센터'로 제정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김성수 (2014년 3월 18일). '한국의 관타나모' 탈북자 합동신문센터”. 《뉴스타파》. 2021년 3월 20일에 확인함. 
  2. “국정원, '합동신문센터→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 명칭 변경”. 《아시아경제》. 2014년 7월 28일. 
  3. 남빛나라 (2021년 10월 29일). “국정원, 탈북민 조사 센터 별칭 '자유누리센터' 제정”. 《뉴시스》. 2021년 11월 22일에 확인함. 
  4. 조은효 (2014년 7월 28일). “국정원, 합동신문센터→‘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로 개명...인권보호관 임명”. 《파이낸셜뉴스》. 2021년 8월 23일에 확인함. 
  5. 문재연 (2021년 6월 23일). “‘유씨 간첩조작 사건’ 北이탈주민센터 탈바꿈…박지원 “인권침해 사례 전무””. 《헤럴드경제》. 2021년 11월 22일에 확인함. 
  6. 서어리, 성현석 (2015년 1월 27일). “[단독]'귀순용사' 때려잡던 '대성공사', 사라지지 않았다”. 《프레시안》. 2021년 11월 22일에 확인함. 
  7. 김은지 (2013년 5월 22일). “그곳은 탈북자의 ‘감옥’”. 《시사IN》. 2021년 11월 22일에 확인함. 
  8. 서혜림 (2014년 4월 6일). '간첩사건' 논란속 첫 공개…합동신문센터 가보니”. 《연합뉴스》. 2021년 3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