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무량사 삼전패

(부여무량사삼전패에서 넘어옴)

부여 무량사 삼전패
(扶餘 無量寺 三殿牌)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1860호
(2015년 3월 4일 지정)
수량3점
시대조선시대
관리무량사
위치
부여 무량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부여 무량사
부여 무량사
부여 무량사(대한민국)
주소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
좌표북위 36° 19′ 1″ 동경 126° 41′ 35″ / 북위 36.31694° 동경 126.69306°  / 36.31694; 126.69306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부여 무량사 삼전패
(扶餘 無量寺 三殿牌)
대한민국 충청남도유형문화재(해지)
종목유형문화재 제177호
(2004년 4월 10일 지정)
(2015년 3월 4일 해지)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부여 무량사 삼전패(扶餘 無量寺 三殿牌)는 충청남도 부여군, 무량사에 소장되어 있는 나무로 만든 전패 3기로, 규모는 높이 150cm, 폭 53.5cm이다. 2004년 4월 10일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77호로 지정되었다가, 2015년 3월 4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60호로 승격되었다.[1]

개요[편집]

부여 무량사에 소장되어 있는 나무로 만든 전패 3기로, 규모는 높이 150㎝, 폭 53.5㎝이다.

1654년에 만들어진 삼전패는 머리, 몸체, 대좌의 삼단(三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몸체부는 대좌와 분리할 수 있으며, 몸체에는 직사각형의 명문곽을 만들어 불상의 명칭인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나무관세음보살(南無觀世音菩薩)·나무대세지보살(南無大勢至菩薩)을 묵서(墨書)로 써 놓았다.

중심 문양은 두 마리의 용이 하늘로 올라가는 모습이며 그 사이를 운문(雲文)으로 꽉 채웠으며 모두 투각기법을 사용하였다.

부여 무량사 삼전패는 약 350여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서 국내 최대의 규모이며 조각기법이나 채색에 있어서도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서 예술성과 불교미술적, 사료적 가치가 있다.

보물 승격사유[편집]

부여 무량사 삼전패는 1654년에 철학, 천승, 도균이 제작한 것으로 “二層殿丹靑畢後而兼備三殿牌(이층전 단청을 마친 후 삼전패를 겸비하였다)”라는 묵서명에서 알 수 있듯이 왕실의 안녕을 위해 제작된 것이다. 형태는 전형적인 불패 형식을 갖추었으며, 사실성과 조각성이 뛰어난 용 조각, 황금색과 홍색 위주의 단청, 보란을 갖춘 삼단대좌 등 공예기술도 뛰어나 조선 17세기 불교 목공예품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제작 연대와 제작 장인들을 알려주는 묵서명이 있는 점과 규모가 큰 점 등에서 조선후기 불교목공예의 편년과 도상연구의 기준이 될 수 있어 의의가 크다. 특히 17세기 전․중반에 충청남도와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불화승과 조각승이 공동작업을 한 점이 흥미롭다.

이렇듯 무량사 삼전패는 구조와 도상, 기술적, 조성기의 사료적 가치 등에서 중요한 유물이며 현존하는 삼전패 중 예술성과 전체 구조면에서 가장 뛰어나다.

각주[편집]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