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부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러 가지 부과 (왼쪽부터 , 무화과, 딸기)

부과(副果, accessory fruit) 또는 위과(僞果)는 씨방 이외의 식물 부분에서 유래한 조직을 포함하는 과일이다. 다시 말해, 과육이 꽃의 씨방에서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심피 바깥에 있는 인접한 조직(예를 들어 화탁이나 꽃받침)에서 발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과는 씨방을 포함한 여러 꽃 기관의 조합이다. 반면, 진정과는 꽃의 씨방에서만 형성된다.[1]

부과는 일반적으로 열개하지 않는 열매이며, 이는 성숙했을 때 씨앗을 방출하기 위해 갈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2]

포함된 기관

[편집]

다음은 부과 조직이 유래된 식물 기관별 부과의 예시이다.[3]

부과 기관
기관 과일
화반 사과, , 장미열매
총포 파인애플
꽃자루 캐슈 애플
화피 분꽃과의 열매
화탁 무화과, 오디, 파인애플, 딸기
꽃받침 동부 티베리, 로즈애플

석류마몬실로와 같이 살집 있는 씨앗을 가진 과일은 부과로 간주되지 않는다.[4]

예시

[편집]

사과와 배

[편집]
사과 단면. 씨앗과 씨방의 종이 같은 부분, 그리고 화반이 익으면서 형성된 조직으로 둘러싸여 있다.

사과와 배에서 먹는 부분은 사실 화반이다. 씨방은 사과 씨앗을 둘러싸고 있는 종이 같은 심지 부분이다. 화반이 익으면 식용 가능한 조직이 형성된다.[5]

장미

[편집]

장미의 경우, 화반은 장미열매의 식용 부분을 구성하는 조직이다. 장미와 사과는 모두 장미과에 속하며, 유사한 과일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이들을 같은 분류군에 배치하는 주요 고려 사항이다.[5]

딸기

[편집]
이 딸기에서는 표면에 있는 많은 씨앗이 태생 현상으로 발아했다. 딸기의 씨앗은 그 자체로 진정한 과일이다.

딸기의 식용 부분은 숙성 과정의 일부로 딸기 꽃의 화탁에서 형성된다. 진정한 과일(따라서 씨앗을 포함하는)은 딸기 표면에 박혀 있는 약 200개의 씨앗(기술적으로는 단일 씨방에서 단일 씨앗을 포함하는 진정한 과일인 수과)이다.[6]

캐슈 애플

[편집]
캐슈 '애플'과 식용 씨앗이 들어있는 부착된 핵과.

캐슈 애플작은꽃자루와 캐슈 꽃의 화탁에서 발달하는 타원형 또는 배 모양의 구조로, 기술적으로는 하과육이라고 불린다.[7][8][9] 5–11 cm (2–4 14 in) 길이의 노란색 또는 붉은색 구조로 익는다.[10][8] 캐슈 나무의 진정한 과일은 캐슈 애플 끝에 달리는 신장 모양의 핵과이며, 이 핵과 안의 씨앗이 상업적으로 거래되는 캐슈넛이다.[10]

파인애플

[편집]
꽃이 핀 파인애플

파인애플은 50개에서 200개의 수분되지 않은 꽃들이 나선형으로 합쳐져 형성된다. 꽃들은 개별적으로 형성된 다음 하나의 '겹열매'로 융합된다. 씨방은 장과로 발달하고, 과일은 개재성 스파이크 주위에 형성된다. 개재성 꽃차례는 식물의 주축이 자라면서 말단 꽃무리들을 뒤에 남겨두면서 생긴다. 파인애플 표면의 각 다각형 영역은 개별 꽃이다.[11]

연구

[편집]

현재 연구에 따르면 단일 유전자 클래스가 부과 형성 및 숙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12] 딸기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지베렐린산과 옥신을 포함하는 호르몬 신호 전달 경로가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고, 부과 발달 개시에도 기여한다는 결론을 내렸다.[6] 다양한 발달 단계의 부과 조직에서 발생하는 대사 변화는 트리테르페노이드스테로이드와 같은 화합물의 다양한 분포 때문이다.[13]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Esau, K. 1977. Anatomy of seed plant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2. “Glossary Details – The William & Lynda Steere Herbarium”. 《sweetgum.nybg.org》. 2021년 3월 17일에 확인함. 
  3. Merriam Webster Collegiate Dictionary entries for syconium, accessory fruit, core, and strawberry, Merriam-Webster, Inc., 2006
  4. Holland, D.; Hatib, K.; Bar-Ya'akov, I. (2009), “Pomegranate: Botany, Horticulture, Breeding”, 《Horticultural Reviews》 (영어) (John Wiley & Sons, Ltd), 127–191쪽, doi:10.1002/9780470593776.ch2, ISBN 978-0-470-59377-6, 2021년 11월 28일에 확인함 
  5. Michaels, Tom; Clark, Matt; Hoover, Emily; Irish, Laura; Smith, Alan; Tepe, Emily (2022년 6월 20일). 〈8.1 Fruit Morphology〉. 《The Science of Plants》 (영어). 
  6. Zhou, Junhui; Sittmann, John; Guo, Lei; Xiao, Yuwei; Huang, Xiaolong; Pulapaka, Anuhya; Liu, Zhongchi (March 2021). 《Gibberellin and auxin signaling genes RGA1 and ARF8 repress accessory fruit initiation in diploid strawberry》. 《Plant Physiology》 185. 1059–1075쪽. doi:10.1093/plphys/kiaa087. PMC 8133647. PMID 33793929. 
  7. Varghese, T.; Pundir, Y. (1964). 《Anatomy of the pseudocarp in Anacardium occidentale L.》. 《Proceedings of the Indian Academy of Sciences, Section B》 59. 252–258쪽. doi:10.1007/BF03052341. S2CID 83230755. 
  8. James A Duke (1983). “Anacardium occidentale L.”. Handbook of Energy Crops. (unpublished); In: NewCROP, New Crop Resource Online Program, Center for New Crops and Plant Products, Purdue University. 2019년 12월 10일에 확인함. 
  9. “Cashew”. Encyclopedia Britannica. 2020년 4월 7일. 2021년 5월 8일에 확인함. 
  10. Morton, Julia F. (1987). 《Cashew apple, Anacardium occidentale L.》. Center for New Crops and Plant Products, 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Purdue University. 239–240쪽. ISBN 978-0-9610184-1-2. 2007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3월 18일에 확인함. 
  11. “Plant Details – Information about Ananas comosus Plant”. 《efloraofgandhinagar.in》. 2023년 3월 18일에 확인함. 
  12. Ireland, Hilary; Yao, Jia-Long; Tomes, Sumathi; Sutherland, Paul; Nieuwenhuizen, Niels; Gunaseelan, Kularajathevan; Winz, Robert; David, Karine; Schaffer, Robert (2012년 12월 13일). 《Apple SEPALLATA1/2-like genes control fruit flesh development and ripening》. 《The Plant Journal》 73. 1004–1056쪽. doi:10.1111/tpj.12094. PMID 23236986. 
  13. Dashbaldan, Soyol; Rogowska, Agata; Pączkowski, Cezary; Szakiel, Anna (2021년 8월 25일). 《Distribution of Triterpenoids and Steroids in Developing Rugosa Rose (Rosarugosa Thunb.) Accessory Fruit》. 《Molecules》 26. 5158쪽. doi:10.3390/molecules26175158. PMC 8433923. PMID 34500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