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P-8 포세이돈
보잉 P-8 포세이돈 | |
---|---|
![]() 미국 해군의 P-8A 포세이돈이 착륙하고 있다. | |
종류 | 대잠전(ASW), 대함전(ASuW) 항공기 |
첫 비행 | 2009년 4월 25일[1] |
도입 시기 | 2013년 |
현황 | 사용중 |
주요 사용자 | 미국 해군 인도 해군 대한민국 해군 |
생산 대수 | 106대[2][3] |
단가 | 1,400억원 |
개발 원형 | 보잉 737-800 |


보잉 P-8 포세이돈(Boeing P-8 Poseidon)은 현재 한미일의 주력 대잠초계기인 P-3 오라이온을 대체할 미국의 차기 대잠초계기이다. 보잉 737을 개조하여 만들었다.
미국은 보잉 737급 프로펠러기인 P-3 오라이온을 보잉 737 기체를 그대로 사용한 P-8 포세이돈으로 교체할 예정이다. 일본은 P-3 오라이온을 일본 독자개발 보잉 737급 제트기인 가와사키 P-1으로 교체할 예정이다. 이들 비행기는 모두 최대이륙중량 70톤급 규모의 비행기들이다.
파생형[편집]
새로운 제안[편집]
2010년, 보잉은 노드롭 그러먼 E-8 조인트스타스를 교체하기 위해, P-8 정찰기 버전을 제안했다. 노드롭 그러먼은 E-8 조인트스타스 개량형을 개발할 계획인데, 같은 비용으로 P-8 해상초계기를 P-8 정찰기로 개조할 수 있다고 한다. P-8 AGS(Airborne Ground Surveillance)는 AESA 레이더를 장착했고, GMTI, SAR 정찰기능을 갖췄다. P-8 AGS의 외형상 특징은, 동체 하부에 튀어나온 레이더 포드이다. 최대이륙중량 85톤 P-8 AGS 정찰기는 최대이륙중량 146톤 보잉 RC-135 정찰기 보다 작다. 보잉 RC-135는 미국에서 오랫동안 사용중이어서 매우 유명한 제트 엔진 정찰기이다.
2013년 보잉은 최대이륙중량 85톤 P-8 해상초계기 시스템을 보다 작은 기체인 최대이륙중량 20톤 봄바디어 챌린저 600 비즈니스 제트기에 설치하여, 가격을 낮춘 모델을 제안했다. 보잉 MSA(Maritime Surveillance Aircraft) 라고 부른다.
2014년 보잉은 E-8 조인트스타스 교체 모델을 P-8 해상초계기의 보잉 737-800이 아니라 하나 낮은 보잉 737-700에 설치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운용국가[편집]
- 오스트레일리아 공군 - 8대 도입
- 영국 공군 - 8대 도입
- 대한민국 해군 - 2022년부터 6대 도입 운용 예정 (2018년 11월 27일 방추위에서 6대 도입 확정)
- 뉴질랜드 해군 - 4대 도입
제원[편집]
- 일반 특성
- 승무원: 조종사 2명, 임무요원 7명
- 길이: 129 ft 5 in (39.47 m)
- 날개폭: 123 ft 6 in (37.64 m)
- 높이: 42 ft 1 in (12.83 m)
- 순기체중량: 138,300 lb (62,730 kg)
- 탑재중량: 19,800+ lb (9,000+ kg)
- 최대이륙중량: 189,200 lb (85,820 kg)
- 엔진: 2 × CFM56-7B 터보팬, 27,000 lbf (120 kN) 각각
- 성능
- 최고속도: 490 노트 (907 km/h, 564 mph)
- 순항속도: 440 노트 (815 km/h, 509 mph)
- 전투행동반경: 1,200 해리 (2,222 km) ; 4시간 임무비행 (대잠전 임무)
- 순항거리: 4,500 해리 (8,300 km)
- 최대고도: 41,000 ft (12,496 m)
- 무장
- 내부무장창 5개, 외부장착점 6개
- AGM-84H/K SLAM-ER, AGM-84 하푼, 마크 54 어뢰, 미사일, 기뢰, 어뢰, 폭탄
- 항법장치
- 레이시온 APY-10 다목적 레이다
- 해상 초계기가 아니라 지상 정찰기로 개조 가능
같이 보기[편집]
관련 개발
유사 항공기
- P-3 오라이온 - 한국이 16대, 일본이 90대 사용중인 대잠초계기
- 호커 시들리 님로드
- 가와사키 P-1
각주[편집]
- ↑ "Boeing P-8A Poseidon Successfully Completes 1st Flight" Archived 2009년 4월 30일 - 웨이백 머신. Boeing, 27 April 2009.
- ↑ [1]
- ↑ [2]
- ↑ Pandit, Rajat (2009년 1월 5일). “India inks largest-ever defence deal with US”. The Times of India. 2009년 1월 5일에 확인함.
- ↑ India, US to ink arms deal worth Rs 10,700 crore - Rediff.com India News
같이 보기[편집]
- 보잉 B-29 슈퍼포트리스 - 세계유일 핵폭탄 투하 폭격기
- 보잉 737 - B-29와 비슷한 크기의 쌍발 제트 여객기, 100인승, 최대이륙중량 70톤.
- P-8 포세이돈 - 보잉 737의 군용기 버전.
- 투폴레프 Tu-16 - B-29와 비슷한 크기의 쌍발 폭격기
- 투폴레프 Tu-104 - 투폴레프 Tu-16의 여객기 버전, 100인승, 최대이륙중량 70톤.
- 투폴레프 Tu-4 - B-29를 역공학으로 베낌.
- 투폴레프 Tu-70 - 투폴레프 Tu-4의 여객기 버전. 72인승.
- P-3 오라이온 - B-29와 비슷한 군용기. 프로펠러 4개, 최대이륙중량 70톤.
- 록히드 L-188 일렉트라 - P-3 오라이온의 여객기 버전. 100인승.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U.S. Navy official MMA page Archived 2007년 7월 14일 - 웨이백 머신 and P-8 fact file on Navy.mil Archived 2007년 7월 11일 - 웨이백 머신
- P-8 product page on Boeing.com
- "Boeing to Develop Navy's Multi-Mission Maritime Aircraft". U.S. Navy news
- MMA Page on Globalsecurity.org
- "Warplane gets its turn in spotlight"[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Tacoma News Tribune
- "Navy Selects Three Teams To Develop Concepts For Follow-On To EP-3". Defense Daily, 8 February 2008.
- "U.S. OKs record $2.1 billion arms sale to India". Reuters, 16 March 2009
- "EP-X Program Starts To Take Shape" Archived 2012년 3월 22일 - 웨이백 머신. Aviation Week, 12 April 2009.
- Boeing P-8A on Defense-Upd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