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동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운동천
(지리 유형: )
나라 대한민국
지방 서울특별시
소속 한강 수계
발원지 북악산
 -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동
하구 청계천
 -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문로1가
길이 3.7 km (2 mi)[1]
백운동천과 한양도성 지도

백운동천(白雲洞川)은 창의문 기슭에서 발원하는 하천으로, 청계천도성 내 지류 중 가장 길어 청계천의 본류로 간주된다. 준천사실에는 백운동래자(白雲洞來者)로, 한경지략에는 백운동천수(白雲洞川水)로, 동국여지비고에는 원출인왕산백운동(源出仁王山白雲洞)으로 되어 있다.[2] 1950년대 이후에는 지역명을 따 청운천(淸雲川)으로 불리기도 했다.

현재는 계곡수가 유입되는 상류의 일부를 제외하고 완전히 복개되어 자하문로 등으로 쓰이고 있다. 서울특별시2013년 11월에 ‘청계천 2050 마스터플랜 계획’을 발표하였는데, 이에 따르면 2030년까지 백운동천의 계곡수를 청계천으로 유입시킬 예정이다.[3] 복개 이전의 하천은 현재의 청계광장 위치에서 삼청동천(청계천의 중요 지류)과 합류하였다.

연혁[편집]

  • 1925년 : 도렴동~내자동~신교동 간 1,395m 백운동천 복개 착공. 도렴동~내자동 간 약 290m의 복개도로(현 새문안로3길) 개통.[4][5]
  • 1926년~1929년 : 내자동~신교동 간 약 970m의 복개도로(현 자하문로) 건설. 당시에는 현재의 자하문로 서쪽 차선을 차지하던 2차선 미만의 도로였음.[6]
  • 1978년 12월 27일 : 내자동~청운국민학교앞 1.6km 4차선 확장 개통. 백운동천 복개도로와, 현재의 자하문로 동쪽 차선을 차지하던 2차선 미만의 도로 사이에 있던 집들을 철거하여 확장함.[7][6]

백운동 계곡[편집]

인왕산 백운동 계곡
(仁王山 白雲洞 溪谷)
대한민국 서울특별시기념물
백운동천(白雲洞天) 각자
종목기념물 제40호
(2014년 10월 30일 지정)
면적10,097.2m2
소유공유
참고자연유산 / 명승/ 자연명승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6-6 외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백운동 계곡은 백운동천 상류의 계곡부를 의미한다.

과거의 다리[편집]

조선 시대의 백운동천의 다리 목록이다. 송기교 이후부터 영도교까지의 다리는 이곳을 참고한다.

  • 신교(新橋) : 신교동 70번지 신교119안전센터와 궁정동 9번지 사이에 있었다.[8] 서울청운초등학교에 난간석이 남아 있다.[9]
  • 자수궁교(慈壽宮橋) : 옥인동 21번지 자수궁[10], 지금의 자하문로-자하문로16길-17길 사거리 부근에 있었다. 줄여서 자수교(慈壽橋) 또는 자교(慈橋)라고도 불렸으며[11], 승정원일기에는 자시궁교(慈始宮橋)로도 기록되어 있다. 1927년에 백운동천에 암거 공사를 진행하면서 소멸되었다.[12]
  • 금천교(禁川橋) : 지금의 금천교시장 앞에 있었으며, 고려 충숙왕 때 지어졌다고 한다.[13] 물이 흘러나가는 곳은 마치 세 개의 구멍이 있는 수문과 같은 모양으로 되었는데, 돌 위에는 귀면과 연꽃 등의 문양이 양각되어 궁궐에 온 듯한 느낌을 들게 하였다.[14] 1928년 백운동천을 복개하여 지금의 자하문로를 만들면서 철거되었다.[15] 금청교(禁淸橋)[16]나 금충교(禁忠橋)[17]로도 불렸으며, 궁궐금천과는 관계없다.
  • 종침교(琮沈橋) : 내자동 종교교회 앞에 있던 돌다리로, 종침다리 또는 종교(宗橋)라고도 하였다.[18] 1908년, 종침교 건너편 한옥의 예배당을 ‘종교교회’라고 부르게 된 유래가 되었다.[19] 성종 때 윤씨 폐비를 논하기 위해 입궐하던 허종, 허침 형제가 일부러 다리 밑으로 떨어져 이후 연산군갑자사화 때 화를 면했다고 해서 형제의 이름을 한 글자씩 따서 종침교라 불리기 시작했다고 하며, 그 이전에는 송첨교(松籤橋)라 불렸다.[20] 1925년 백운동천 복개 과정에서 철거되었다고 한다.[21]
  • 송기교(松杞橋) : 신문로1가 23번지에 있었으며, 송기전교(松肌廛橋)라고도 불렀다.[18] 송기교를 기준으로 백운동천이 청계천으로 바뀐다.[18]

사진[편집]

각주[편집]

  1. 조용모; 진정규; 홍미진 (2015). 《서울시 실개천의 기능향상과 관리방안》 (PDF). 서울: 서울연구원. 26쪽. ISBN 9791157001095.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서울특별시 홍보기획관 홍보담당관 (2006). 《청계천복원사업 백서 1》. 서울: 서울특별시. 10쪽. 
  3. 이윤주 (2013년 11월 28일). "청계천 옛 물길 2050년까지 완전 복원". 《한국일보》. 2014년 2월 9일에 확인함. 
  4. 조광권 (2005). 《청계천에서 역사와 정치를 본다》. 서울: 여성신문사. 131쪽. ISBN 9788991591028. 
  5. “북부의신작로 황토현네거리로부터 내자동신교동사이길”. 《동아일보》. 1925년 6월 9일. 2016년 11월 20일에 확인함. 
  6. 황두진 (2016년 6월 27일). “[건축가 황두진의 무지개떡 건축을 찾아서] 청계천 물길 끊긴 자리 시장이 아파트를 낳았네”. 《서울신문》. 2016년 11월 20일에 확인함. 
  7. “내자동~청운국교 도로1.6km확장 준공”. 《동아일보》. 1978년 12월 27일. 2016년 11월 20일에 확인함. 
  8. “청운효자동주민센터 동명유래 신교동”. 2016년 1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27일에 확인함. 
  9. 서울역사박물관 (2014). 《성 베네딕도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 소장 서울사진》.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171-173쪽. ISBN 9788991553941. 
  10. 이상배 (2000). 《서울의 하천》.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28쪽. ISBN 9791160710182. 
  11. 유영호 (2016년 6월 30일). “경복궁 옆 '자수궁'에 머문 조선의 슬픈 여인들”. 《오마이뉴스》. 2016년 11월 27일에 확인함. 
  12. 岡田貢 (1939년 7월). “淸溪川の暗渠工事と滅び行く新將の面影”. 《京城土木建築協會報》. 4권 7호 (京城: 京城土木建築協會). 6쪽. 2020년 11월 9일에 확인함. 
  13. 유영호 (2016년 2월 19일). “경복궁역 2번출구에는 역사적인 다리가 있었다”. 《오마이뉴스》. 2016년 11월 27일에 확인함. 
  14. 이상배 (2000). 《서울의 하천》.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29쪽. ISBN 9791160710182. 
  15. “춘풍추우누백성상 최고의 홍예교”. 《동아일보》. 1928년 6월 5일. 2012년 11월 27일에 확인함. 
  16. 이중화 (1927년 1월 3일). “지금은『복청교』 혜정교의내력 (三)”. 《동아일보》. 2016년 11월 27일에 확인함. 
  17. 《흑두건》. 삼문사. 1936. 526쪽. 
  18. 이상배 (2000). 《서울의 하천》.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30쪽. ISBN 9791160710182. 
  19. “종교교회 » 역사 1 – 복음을 심다 (조선후기 ~ 1910년)”. 2016년 1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27일에 확인함. 
  20. “횡설수설”. 《동아일보》. 1977년 11월 29일. 2016년 11월 27일에 확인함. 
  21. 종침교 - 서울지명사전(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