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호언
박호언 Peter Park | |
---|---|
2013년 12월 대한민국인재상 수상식 | |
출생 | 1987년 4월 6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동구 석촌동 (현 송파구 석촌동) | (36세)
성별 | 남성 ![]() |
학력 | 태즈메이니아 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
직업 | 사회단체인 겸 사회운동가 |
경력 | 국무총리 한국청소년옴부즈만 대한민국인재연합회 회장 국제직무교환기구 수석부회장 |
웹사이트 |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 |
박호언(1987년 4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지정 한국청소년옴부즈만 출신이자, 사회운동가 겸 사회단체인이다. 2003년 문화방송 느낌표를 통해 청소년 할인제를 적극 제안해 청소년증 발급을 이끌어냈다. 그 후 해당 공적을 인정 받아 2004년 대한민국 신지식인으로 최연소 인증되었으며, 마찬가지로 최연소로 재외선거구역을 관리[1]하였다. 2011년 국가인권위원회 설립 10주년 기념, 대한민국 10대 차별시정 3번째로 선정된 바 있으며, 2013년 대한민국 인권상을 수상하였다.
생애[편집]
박호언은 1987년 4월 6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동구 석촌동(현 송파구 석촌동)에서 태어났다. 이후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전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 지역으로 이사하였다.
학생 시절[편집]
1998년 6월 학생 시절 '학교폭력방지전국연합'의 집행위원회 학생위원을 역임한 것으로 인권 활동을 시작하였다. 그 후 한밭고등학교 재학시절인 2003년 5월, 국가인권위원회와 대전광역시에 학생이 아닌 학생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학생증 이외에 '청소년증'이라는 신분증 신설과 함께 청소년할인제 정책 시행을 건의하였다. 이는 문화방송의 프로그램 "느낌표"에서 "하자하자! 제4탄 '청소년 할인'"으로 방영되었다. 그 후 국가인권위원회에서는 박호언의 진정을 인용하여, 문화관광부에 비학생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신분증을 발급할 계획을 수립할 것을 권고하였다.[2][3] 당시 서울특별시장 이명박이 청소년할인제 시행을 느낌표에서 약속하였고, 대전광역시에서도 청소년증 시행을 결정하여, 2003년 9월부터 서울특별시와 대전광역시에서 청소년증 제도가 우선 시범 실시되었다.[4] 그리고 같은 해 11월에는 청소년증의 발급 하한 연령이 만 13세에서 만 9세로 낮아졌다.[5]. 이 공적으로 대전광역시 최고 대상 중 하나인 대전광역시 청소년대상을 수상하였다. 이듬해인 2004년 1월부터는 전국적으로 확대 발급되었다. 철도청에서 낮은 발급율을 이유로 청소년할인제를 도입하지 않자[6], 박호언은 2004년 4월 22일 국민고충처리위원회의 중재권고를 얻어내, 철도 및 교통시설에 대한 청소년할인제도 이끌어냈다[7] 이 안건으로 박호언은 국가인권위원회가 펴낸 "세상을 향해 어퍼컷"을 통해 "인권지킴이"로 소개되었며,[8] 2004년 12월 대한민국 신지식인으로 인증되었다.[9] 더 나아가 해당 공적은 2011년 국가인권위원회 설립 10주년 기념, 대한민국 10대 차별시정 3번째로 선정된 바 있다.[10][11]
그 후 박호언은 2004년 8월부터 12월까지 대통령 청소년특별위원회위원으로 활동하였고, 2004년 12월 신설된 국무총리 소속 한국청소년옴부즈만으로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이후 각 지역별 명예 청소년옴부즈만들을 관리 감독하면서, 청소년 인권보호에 앞장서 활동하였고 청소년기본법, 청소년보호법 개정과 함께, 청소년복지지원법 신설을 이끌어 내었다. 이 공적으로 청소년위원회 출범 직후 시상된 제1호 청소년건전육성유공표창과 경찰청 선행봉사유공장을 수상했다.[12]
2006년 초 여성가족부와 청소년위원회의 합병 소식이 들리자, 박호언은 청소년 중앙행정 조직 존치를 주장하여 상장 반납과 함께 청소년 관련 공직 활동을 중단을 선언하였다.[13] 해당 위원회는 2006년 6월 청소년 행정에 대한 독립성 강화 측면에서 국가청소년위원회로 전환되었으며, 박호언의 상장 반납은 철회되었다.
그 외 활동[편집]
2007년 대전광역시 대덕구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주민참여 감사제에서, 박호언을 전국 최연소 감사위원으로 임명되었다.[14] 이를 통해 박호언은 감사 및 규제개혁 관련 업무와,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 제안보고서를 제출하여 정책이 실행되는데 기여하였다.[15] 그 후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 대학교에서 경영학 과정을 거쳤다.
태즈메이니아 대학교 졸업 후 시도급 재외선거관리위원회위원으로 임명되어, 전임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 재외선거구역을 관할하여 재외선거관리위원회 중 가장 높은 투표율을 달성했다[1][16] 이러한 재외선거 발전에 대한 공적을 인정받아 2013년 대통령 대한민국인재상을 시상받았다.
상훈[편집]
- 2020 법제처 법제처 업무, 정부입법 및 제도개선 유공 표창
- 2020 충청남도 우수제안 최우수상
- 2020 경기도 고양시 제안이 정책이 되는 고양시 우수제안 표창
- 2019 대전광역시 시정발전 우수제안상
- 2019 세종특별자치시 행정 업무 개선 유공 최우수상
- 2019 행정안전부 중앙우수제안 장관상[17]
- 2019 병무청 병무행정 규제개선 최우수상
- 2019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경영인 및 리더협회 펠로우 증서
- 2018 대전광역시 시정발전 우수제안상 (대전 청년네트워크 회의 방식 개선에 대한 제안 등 2건)
- 2018 행정안전부 생활공감 우수제안 장관표창
- 2016 미래창조과학부 정보문화의달 장관표창
- 2015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 주총리 AustralianSuper Career Kick Start Award, Southern Cross Young Achiever Awards
- 2015 대한민국인재연합회 펠로우 증서
- 2015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최우수 창조경제 모니터 표창
- 2014 충청남도 자랑스러운 충남인상
- 2014 충청남도 경제통상부문 최우수 도정평가위원회위원 표창
- 2013 국가인권위원회 대한민국인권상[18]
- 2013 대통령 대한민국인재상
- 2009 보건복지가족부 청소년 주간기념 표창
- 2006 대전광역시 청소년대상
- 2005 국무총리 청소년위원회 청소년건전육성유공표창
- 2005 경찰청 선행봉사유공장
- 2004 행정자치부 대한민국 신지식인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박호언, 인권상'- ‘대통령 대한민국 인재상' 수상”. 중앙뉴스. 2013년 12월 30일. 2015년 7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고교생이 인권委 개선권고 이끌어”. 매일경제. 2003년 10월 9일. 2013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인권위 `대한민국 10대 차별시정 사건' 선정”. 연합뉴스. 2011년 12월 15일. 2013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느낌표' 청소년 할인 이끌어낼 듯”. 연합뉴스. 2003년 7월 4일. 2007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각의통과 주요법안 요지”. 연합뉴스. 2003년 11월 4일. 2004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실효없는 `청소년증` 근본적 개선 바람직”. 문화일보. 2004년 2월 6일. 2007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2만불 시대를 여는 사람들 : 2004 신지식인 성공사례”. 행정자치부. 2004년 12월 29일. 2014년 5월 15일에 확인함.
- ↑ “세상을 향해 어퍼컷 - 청소년이 알아야 할 생활 속 인권 찾기”. 샨티. 2008년 8월 20일.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2만불 시대를 여는 사람들 : 2004 신지식인 성공사례”. 행정자치부. 2004년 12월 29일. 2014년 5월 15일에 확인함.
- ↑ “'인권위, ‘대한민국 10대 차별 시정’ 선정”. 국가인권위원회. 2011년 12월 15일. 2019년 11월 9일에 확인함.
- ↑ “국가인권위원회, `대한민국 10대 차별` 시정 발표”. 중앙일보. 2011년 12월 16일. 2019년 11월 9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청소년인권 침해 막는 옴부즈맨 제도 시행”. 연합뉴스. 2004년 10월 6일.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청소년위원회 1호 표창을 반납합니다.”. 경향신문. 2006년 9월 20일.
- ↑ “행정감사에 주민 직접 참여”. 조선일보. 2007년 8월 13일. 2015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18일에 확인함.
- ↑ “2014년 자랑스러운 충남인상 추천인 공적 공개”. 충청남도청. 2004년 12월 3일. 2015년 8월 18일에 확인함.
- ↑ “제18대 대통령선거 재외투표율 71.2%, 제19대 총선 투표율(45.7%)보다 25.5%p 높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2년 12월 11일.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 “국민-공무원 창의적 아이디어대회”. 행정안전부. 2019년 11월 19일. 2019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 “세계인권선언 65주년 기념 행사 개최 훈장 등‘2013 대한민국 인권상 시상’”. 국가인권위원회. 2013년 12월 10일. 2014년 5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2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