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만 (1924년)
박용만(朴容萬, 1924년 ~ 1996년)은 9·10·12·13대 4선 국회의원과 대통령 이승만 비서관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 보수주의 운동가이다. 본관은 밀양(密陽), 호는 영암(嶺巖). 경상북도 풍기군 출신.[1]
경력[편집]
- 서울 유학생동맹위원장
- 1946년 7월 이철승 등과 함께 전국학생총연맹 결성
- 9·10·12·13대 4선 국회의원
- 1948년 대통령 이승만 비서관
- 자유당 감찰부 차장
- 자유당 조직부장
- 1954년 자유당 선전부장
- 5·16 군사정변 직후 구속
- 구정치인 정치정화법에 묶였다가 해금됨.
- 1986년 신한민주당 탈당
- 민주화추진협의회 발기인
- 민추협 상임위원, 지도위원 역임
- 민주자유당 총재상임고문
- 이철승, 손문창 등과 자유민족 민주회의 조직
- 대한민국건국회 조직
- 80년대 그는 민족해방파의 이승만의 정부 수립을 단독 정부로 보고, 미국에 의한 분단 주장을 반박하고, 윤치영 등과 함께 대한민국 건국의 정당성을 역설하였다.
상훈[편집]
- 1990년 국민훈장 무궁화장
저서[편집]
- 경무대 비화
박용만을 연기한 배우[편집]
같이 보기[편집]
역대 선거 결과[편집]
실시년도 | 선거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
1973년 | 총선 | 9대 | 국회의원 | 경북 영양군·영주군·봉화군 | 신민당 | 53,041표 |
|
1위 | ![]() |
초선 | ||
1978년 | 총선 | 10대 | 국회의원 | 경북 영양군·영주군·봉화군 | 신민당 | 38,291표 |
|
2위 | ![]() |
재선 | ||
1985년 | 총선 | 12대 | 국회의원 | 서울 성동구 | 신한민주당 | 94,488표 |
|
2위 | ![]() |
3선 | ||
1988년 | 총선 | 13대 | 국회의원 | 서울 성동구 병 | 통일민주당 | 37,769표 |
|
1위 | ![]() |
4선 | ||
1992년 | 총선 | 14대 | 국회의원 | 서울 성동구 병 | 민주자유당 | 40,774표 |
|
2위 | 낙선 |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전임 (영양군)오준석 (영주군)김창근 (봉화군)권성기 |
제9대 국회의원(경북 영양군·영주군·봉화군)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신민당 권성기 |
후임 김창근·박용만 |
![]() |
![]() |
전임 김창근·박용만 |
제10대 국회의원(경북 영양군·영주군·봉화군)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신민당 김창근 |
후임 (영주시·영풍군·영양군·봉화군)오한구·홍사덕 |
![]() |
![]() |
전임 이세기·조덕현 |
제12대 국회의원(서울 성동구)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신한민주당 → 무소속 → 통일민주당 이세기 |
후임 (성동구 갑)강금식 (성동구 을)조세형 (성동구 병)박용만 |
![]() |
![]() |
전임 이세기·박용만 |
제13대 국회의원(서울 성동구 병)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통일민주당 → 민주자유당 (성동구 갑)강금식 (성동구 을)조세형 |
후임 (성동구 갑)이세기 (성동구 을)조세형 (성동구 병)강수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