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 (1596년)
보이기
박선
朴璿 | |
---|---|
조선의 성균관 동몽교관 | |
재임 | 1629년~1630년 |
임금 | 인조 이종 |
이름 | |
자 | 계헌(季獻) |
호 | 도와(陶窩) |
신상정보 | |
출생일 | 1596년 |
출생지 | 조선 전라도 무안 |
거주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1669년 (향년 74세) |
사망지 | 조선 전라도 무안 |
국적 | 조선 |
당파 | 무소속 |
본관 | 무안(務安) |
부모 | 박의장(부) |
학문 활동 | |
분야 | 유교 성리학 |
박선(朴璿, 1596년~1669년)은 조선 시대의 유학자였던 문장가이자 문인이었다.
본관은 무안(務安), 자(字)는 계헌(季獻)이고, 호(號)는 도와(陶窩).
생애
[편집]주요 이력
[편집]지난날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직책을 지냈던 전직 무관 겸 군관 출신의 박의장(朴毅長, 1555~1615)의 아들로 출생한 그는 어린 시절 이미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그 후 유진(柳袗 1582~1635)·장현광(張顯光 1554~1637) 등을 사사한 그는 문인 수학 시절 자신의 거처 벽에 "궁불실의(窮不失義, 아무리 어려워도 의로움을 잃지 않음.)"라는 글씨를 써두고 늘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살피었다.
1629년(인조 7) 전라도 관찰사의 추천으로 음서 천거되어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제수되었으나 1년 여만에 사임하고 향리로 돌아와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다.
사후
[편집]후예들도 그의 학덕을 추모하고자 도계사우(陶溪祠宇)를 창건하였다.
저서
[편집]그의 저서로는 《도와집(陶窩集)》 4권이 있다.
외부 링크
[편집]이 글은 조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