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의 참여 인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에서는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 (범국민행동)의 참여 인원과 그 유형, 그리고 집계 과정에서의 논란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2016년 10월 29일부터 2017년 4월 29일까지 진행된 범국민행동은 10차 집회까지 누적인원수 1000만 명을 돌파하였고, 23차 집회까지의 누적인원수는 1683만 명에 달해 단일 의제로 개최된 시위로는 2008년 촛불 시위, 1987년 6월 항쟁을 넘어 대한민국 역사상 최대 규모로 기록되었다. 또 100만 명을 달성한 3차 집회, 역사상 최대의 단일집회로 기록된 6차 촛불집회 등 참여자 규모에서 많은 주목을 받은 운동이기도 했다. 그러나 인원 집계 과정에서 주최 측과 경찰 측의 통계가 큰 차이가 있어 이에 따른 논란이 빚어지기도 하였다.

이 운동에는 인기 연예인 다수가 참여했는데 배우 차인표가수 이상은 등이 참여했다.

참여 인원[편집]

범국민행동은 주로 매주 토요일에 진행되었으나, 2017년 1월 28일에는 설날 연휴로 시위를 하지 않고 합동 차례상으로 대신하였다. 또 3월 1일에는 삼일절을 맞이하여 토요일이 아닌 수요일에 18차 범국민행동이 진행되었다. 이밖에도 2016년 11월 30일에 진행된 총파업은 토요일 촛불집회의 성격을 띄지는 않지만 범국민행동의 일부로서 통계에 집계되는 경우가 많다.

2016년 11월 29일 1차 집회부터 2017년 3월 11일 20차 집회까지 매회 평균 83만 명이 참여하였으며, 그 중에서 가장 규모가 컸던 촛불집회는 탄핵 소추를 앞두고 진행된 12월 3일의 6차 촛불집회로 주최측 추산 232만 명, 경찰 추산 42만 명이 참가하였다.[1] 100만 명 이상의 참여자를 기록한 것은 총 일곱 번으로, 11월 12일 3차 촛불집회에서 처음으로 100만 명을 기록한 뒤 11월 26일 5차 촛불집회 190만 명, 12월 3일 6차 촛불집회 232만 명, 12월 10일 7차 촛불집회 104만 명, 그리고 이듬해 탄핵심판 선고일 전 두 차례의 집회에서 각각 108만 명과 105만 명이 참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1]

범국민행동의 참여 인원 (단위: 명)
날짜 시위대 대한민국 정부 출처
경찰 추산 주최측 추산 경찰 인원
1차 범국민행동 2016년 10월 29일 12,000 50,000 4,800 [2]
2차 범국민행동 2016년 11월 5일 48,000 300,000 17,600 [3][4]
3차 범국민행동 2016년 11월 12일 269,000 1,060,000 25,000 [5][6]
4차 범국민행동 2016년 11월 19일 275,000 960,000 20,000 [7][8]
5차 범국민행동 2016년 11월 26일 330,000 1,900,000 25,000 [9]
1차 총파업 2016년 11월 30일 8,000 60,000 8,000 [10][11][12]
6차 범국민행동 2016년 12월 3일 429,000 2,320,000 30,000 [13][14][15]
7차 범국민행동 2016년 12월 10일 166,000 1,043,400 18,200 [16][17][18]
8차 범국민행동 2016년 12월 17일 77,000 771,750 18,240 [19][20]
9차 범국민행동 2016년 12월 24일 53,000 702,000 14,700 [21][22]
10차 범국민행동 2016년 12월 31일 83,000 1,104,000 18,400 [23][24]
11차 범국민행동 2017년 1월 7일 38,000 643,380 15,920 [25][26]
12차 범국민행동 2017년 1월 14일 146,700 14,700 [27][28]
13차 범국민행동 2017년 1월 21일 353,400 15,500 [29][30]
14차 범국민행동 2017년 2월 4일 425,500 14,600 [31][32]
15차 범국민행동 2017년 2월 10일 ~ 11일 806,270 16,000 [33][34]
16차 범국민행동 2017년 2월 18일 844,860 15,200 [35][36]
17차 범국민행동 2017년 2월 24일 ~ 25일 1,078,130 17,000 [37][38]
18차 범국민행동 2017년 3월 1일 300,000 16,000 [39][40]
19차 범국민행동 2017년 3월 4일 1,050,890 15,900 [41][42]
20차 범국민행동 2017년 3월 9일 ~ 11일 720,000 38,100 [43][44][45][46]
21차 범국민행동 2017년 3월 25일 102,400 12,300 [47]
22차 범국민행동 2017년 4월 15일 109,600
23차 범국민행동 2017년 4월 29일 50,000
누적인원 1,773,000 16,894,280 391,160

논란[편집]

범국민행동 초반에는 경찰과 주최 측의 추산 참가인원수 집계 결과가 큰 차이를 보여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괴리가 컸던 집회는 2017년 1월 7일에 열린 11차 촛불집회로, 주최 측 추산 인원은 64만 명인데 반해 경찰 추산 인원은 38,000명으로 17배에 달했다.[48]

이러한 차이를 보인 이유에 대해서는 경찰과 주최 측의 참여인원 추산 방식이 달랐기 때문이라는 것이 그당시 양측의 설명이었다. 먼저 경찰의 경우 "페르미 추정법을 근거로 실시간으로 파악된 인원들을 종합해 일시점에 집결한 최대 인원을 추산"한다면서, "일시점 최대 참가자를 추산하는 이유는 병력 배치 등에 활용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49] 반면 주최 측의 경우 일시점이 아닌 시간대별로 들고 나는 인원수를 포함하여 연인원 추산방식을 사용하였다고 알려졌다.[48]

집산 방식의 차이로 인한 문제는 탄핵 반대 운동이 본격화된 이후로 그 집회의 참가인원수 추산과 형평성 논란으로 번지기도 했다. 특히 1월 7일 두 집회가 열린 다음날 경찰은 범국민행동 주최 집회 참가인원은 24,000명, 대통령 탄핵 기각을 위한 국민총궐기운동본부 주최 집회 참가인원은 37,000명이라고 발표하였으나,[48] 박남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경찰청에 자료를 요구해 확인한 결과 당일 배치된 경찰 병력은 퇴진반대 집회보다 퇴진 집회의 병력이 12배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48] 이 때문에 병력 배치가 집계의 주된 목적이라면 이러한 결과는 어디서 비롯된 것이냐는 지적이 제기되었고, 결국 경찰은 1월 7일을 끝으로 "논란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 집회 참여인원 추산결과를 발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집계를 중단했다.[48]

각주[편집]

  1. 이지호; 이현우; 서복경. 《탄핵 광장의 안과 밖》. 책담. 66p쪽. ISBN 979-11-7028-162-7. 
  2. “시위·광화문 촛불집회 "박근혜 하야 촉구", 11월1일부터 날마다 열린다… 12일엔 '민중총궐기 대회'. 2017년 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3. '분노의 촛불' 일주일새 3만에서 30만으로.."박근혜 퇴진". 
  4. “말타고 온 정유라 학생들이 응답했다”. 2017년 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5. “민중총궐기 100만명 돌파…'역대 최다 기록'. 2017년 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6. “106만명 서울 촛불에 전남 순천서도 동조 촛불”. 
  7. “Anti-Park protests flare up across the country; 600,000 people gathered in Seoul”. 《THE KOREA TIMES》. 2016년 11월 20일. 2016년 11월 20일에 확인함. 
  8. “전국 곳곳 '4차 촛불집회'…경찰 경력 투입, 일부 교통정체”. 
  9. “7최대 규모 하야요구 주말 촛불 집회…추위도 녹였다(종합2보)”. 《연합뉴스》. 2016년 11월 26일. 2016년 11월 27일에 확인함. 
  10. “민주노총 22만명 총파업 "박근혜 즉각 퇴진". 2017년 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11. "박근혜 탄핵" 노동자·학생·상인까지 시민불복종 운동”. 2017년 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12. “민노총 총파업·촛불집회..도심 행진”. 2017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13. “촛불집회 주최측 "전국 232만명" vs 경찰 "전국 42만9000명". 《조선일보》. 2016년 12월 3일. 2016년 12월 26일에 확인함. 
  14. “민노총 총파업·촛불집회..도심 행진”. 2017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15. “경찰, 촛불집회 대비 전국 3만 병력 배치…서울 2만5천명”. 《동아일보》. 2016년 12월 3일. 2016년 12월 2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6. “촛불열기 식지 않았다…주최측 “104만” – 경찰 “16만””. 《연합뉴스TV》. 2016년 12월 11일. 2016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11일에 확인함. 
  17. “7주간 '745만 촛불'…"누가 주인인지 보여줬다". 《머니투데이》. 2016년 12월 11일. 2016년 12월 11일에 확인함. 
  18. “[7차 촛불집회] 경찰 병력 2만명 배치해 사고 대비”. 2016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19. “전국 77만명, 8차 촛불 "탄핵 인용·黃 퇴진" 주장”. 2016년 1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20. '박근혜 퇴진행동' 광화문 집회 시작…'박사모'등 친박단체 경찰 차벽 건너편서 '맞불집회'. 
  21. “[뉴스초점] 성탄전야 촛불집회 주최 측 70만 – 경찰 5만3천 추산”. 2016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22. “‘9차 촛불집회’…‘맞불집회’와 충돌 없이 마무리”. 
  23. "박근혜 보내고 새해를 맞자" 전국 곳곳서 촛불시위.. 누적 연인원 1000만 돌파”. 2017년 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24. “10차 촛불집회 '1박2일' 진행..친박단체도 맞불집회”. 2017년 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25. “새해 첫 촛불에 64만 시민..세월호참사 1000일 추모(종합)”. 2017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26. “경찰, 세월호 1000일 추모 촛불 1만4720여명 투입”. 2017년 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27. “오늘 12차 촛불집회 강추위에도 10만 시민 광화문서 촛불 “재벌총수 구속하라””. 2017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28. “맹추위 속 12차 촛불집회…경찰 1만4700여명 투입”. 
  29. “13차 촛불집회 “새해 바뀌어야 할 것들에 대해””. 2017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30. '이재용 영장 기각' 촛불 최대 변수..경찰 1만5500명 투입”. 2017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31. “[14차 촛불집회]"40만 vs 130만"..추산 인원 '뻥튀기 논란'. 2017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32. “탄핵 찬반집회, 도심 곳곳에서 개최…경찰병력 1만4600명 배치”. 2017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33. “촛불 "끝까지 간다" 연인원 1500만 돌파 초읽기”. 2017년 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34. “오늘 주말 집회 '총동원령'…경찰 병력 배치·지하철 탄력 운행”. 2017년 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12일에 확인함. 
  35. “16차 촛불집회, 광화문 80만명 참석.. 전국 누적 1300만 돌파”. 2017년 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36. '70만명 운집' 광화문 촛불..청와대·헌재 행진 시작”. 2017년 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37. “[17차 촛불집회]전국 107만명이 모인 촛불, "탄핵 인용, 특검 연장" 목소리 높여(종합)”. 
  38. “朴 취임일 맞붙는 두 광장의 세대결.."4년 끝내자"vs"지키자". 
  39. '18차 촛불집회' 30만명 시민 "탄핵 인용·박근혜 구속".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0. “3·1절 촛불 vs 태극기 대규모 집회… 경찰, 경비병력 1만6천명 투입”. 2017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41. “헌재 선고 전 '마지막 촛불'..전국 105만 운집”. 2017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42. “4일 탄핵심판 선고 전 대규모 집회 '막판 총력전'. 2017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43. "이제 봄이 왔다"…탄핵 인용 맞은 촛불, 다시 광장으로”. 
  44. ““탄핵은 끝 아닌 시작”…전국 70만 촛불 승리 자축”. 2017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45. “3박4일 이어진 태극기집회 "탄핵각하는 선물..새벽까지 축제 열겠다". 2017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46. "탄핵은 음모" 친박집회, 살벌한 분위기 '일촉즉발'. 2017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4일에 확인함. 
  47. “다시 타오른 촛불 "탄핵이 끝 아니다. 박근혜를 구속하라". 
  48. 이지호; 이현우; 서복경. 《탄핵 광장의 안과 밖》. 책담. 68p쪽. ISBN 979-11-7028-162-7. 
  49. http://heraldk.com/2017/02/26/%EA%B2%BD%EC%B0%B0-%EB%A7%9E%EB%B6%88%EC%A7%91%ED%9A%8C%EA%B0%80-%EB%8D%94-%EB%A7%8E%EB%8B%A4%EB%8D%94%EB%8B%88-%EC%B4%9B%EB%B6%88%EC%A7%91%ED%9A%8C%EC%97%90-%EB%B3%91%EB%A0%A5-12%EB%B0%B0-%EB%B0%B0/[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