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스마치 운동
바스마치 운동 | |||||||
---|---|---|---|---|---|---|---|
제1차 세계 대전 및 러시아 내전의 일부 | |||||||
![]() 1920년 부하라에 발생한 화재 | |||||||
| |||||||
교전국 | |||||||
![]() (1928-1929)[3] |
![]() | ||||||
![]() (1929-1930)[4] |
![]() (1929) | ||||||
지휘관 | |||||||
![]() ![]() |
![]() | ||||||
병력 | |||||||
120,000명 ~ 160,000명[5] | 약 30,000명 | ||||||
피해 규모 | |||||||
공식적으로 516명 사망, 925명 부상[6] | 모름 |
바스마치 운동(러시아어: Басма́чество 바스마체스트보[*]) 또는 바스마치 봉기는 중앙아시아의 튀르크족이 러시아 제국과 소련에 대해서 반기를 든 운동이다.
이 운동의 근원은 1916년 제1차 세계 대전 도중 러시아 제국의 무슬림 징병으로 인해 반러시아 감정이 폭발하면서 발생한 1916년 중앙아시아 폭력사태로부터 시작되었다.[7] 한달 후 10월 혁명이 일어나면서 이 폭력사태는 투르키스탄 전역으로 확대되었고, 특히 페르가나 분지를 중심으로 하여 봉기로 발전하였다.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수년동안 게릴라전 및 재래식 야전이 일어났으며, 그동안 반소련 감정과 반러시아 감정이 증가했다.
1920년대 붉은 군대의 주요 전역 승리와 이슬람에게 경제적 양보를 하는 정책으로 바스마치 운동 및 군사행동에 대한 대중의 지지가 떨어지기 시작했다.[8] 소련의 집단화 정책에 대한 반발로 군사 항쟁을 다시 시작했기도 했지만,[9] 중앙아시아에 대한 소련화 작업이 마무리되면서 바스마치 운동은 끝나게 되었다.
더 보기[편집]
각주[편집]
- ↑ 1920년 1월, 바스마치군과 소련군에 대한 군사 작전을 실시했다.
- ↑ 중국 국민당이 신장의 바스마치군과 전투했다.
- ↑ 페르시아군이 나중에 페르시아의 영토가 되는 지역에서 주나드 칸과 전투했다.
- ↑ 아프가니스탄이 아프가니스탄 북부 지역에서 바스마치와 전투했다.
- ↑ Moscow's Muslim Challenge: Soviet Central Asia, Michael Rywkin, page 35
- ↑ Krivosheev, Grigori (Ed.), Soviet Casualties and Combat Losses in the Twentieth Century, p.43, London: Greenhill Books, 1997
- ↑ Victor Spolnikov, "Impact of Afghanistan's War on the Former Soviet Republics of Central Asia," in Hafeez Malik, ed, Central Asia: Its Strategic Importance and Future Prospects (New York: St. Martin's Press, 1994), 101.
- ↑ Michael Rywkin, Moscow's Muslim Challenge: Soviet Central Asia (Armonk: M. E. Sharpe, Inc, 1990), 41.
- ↑ Martha B. Olcott, "The Basmachi or Freemen's Revolt in Turkestan, 1918-24," Soviet Studies, Vol. 33, No. 3 (Jul., 1981), 361.
참고 문헌[편집]
- Павел Густерин. История Ибрагим-бека. Басмачество одного курбаши с его слов. — Саарбрюккен: LAP LAMBERT Academic Publishing, 2014. — 60 с. — ISBN 978-3-659-13813-3.
- Х. Турсунов: Восстание 1916 Года в Средней Азии и Казахстане. Таshkent (1962)
- Б.В. Лунин: Басмачество Tashkent (1984)
- Яков Нальский: В горах Восточной Бухары. (Повесть по воспоминаниям сотрудников КГБ) Dushanbe (1984)
- Hasan B. Paksoy, "BASMACHI": Turkish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1916-1930s, Modern Encyclopedia of Religions in Russia and the Soviet Union (FL: Academic International Press) 1991, Vol. 4, pp. 5–20.
- Alexander Marshall: "Turkfront: Frunze and the Development of Soviet Counter-insurgency in Central Asia" in Tom Everett-Heath (Ed.) "Central Asia. Aspects of Transition", RoutledgeCurzon, London, 2003; ISBN 0-7007-0956-8(cloth) ISBN 0-7007-0957-6(pbk.)
- Fazal-ur-Rahim Khan Marwat: The Basmachi movement in Soviet Central Asia: A study in political development., Peshawar, Emjay Books International (1985)
- Marco Buttino: "Ethnicité et politique dans la guerre civile: à propos du 'basmačestvo' au Fergana", '[Cahiers du monde russe et sovietique, Vol. 38, No. 1-2, (1997)
- Marie Broxup: The Basmachi. Central Asian Survey, Vol. 2 (1983), No. 1, pp. 57–81.
- Mustafa Chokay: "The Basmachi Movement in Turkestan", The Asiatic Review Vol.XXIV (1928)
- Sir Olaf Caroe: Soviet Empire: The Turks of Central Asia and Stalinism 2nd ed., London, Macmillan (1967) ISBN 0-312-74795-0
- Glenda Fraser: "Basmachi (parts I and II)", Central Asian Survey, Vol. 6 (1987), No. 1, pp. 1–73, and No.2, pp. 7–42.
- Baymirza Hayit: Basmatschi. Nationaler Kampf Turkestans in den Jahren 1917 bis 1934. Köln, Dreisam-Verlag (1993)
- M. Holdsworth: "Soviet Central Asia, 1917-1940", Soviet Studies, Vol. 3 (1952), No. 3, pp. 258–277.
- Martha B. Olcott: "The Basmachi or Freemen's Revolt in Turkestan 1918-24", Soviet Studies, Vol. 33 (1981), No. 3, pp. 352–369.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Борьба с басмачами в Средней Азии 1918—1938 гг. Хронология
- Борьба с басмачами в Средней Азии Карта
- Басмачество в энциклопедии «Кругосвет»
- Baymirza Hayit. Basmatschi. Nationaler Kampf Turkestans in den Jahren 1917 bis 1934. Köln, Dreisam-Verlag (1993)
- H. B. Paksoy. „BASMACHI“: TURKISTAN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1916-1930s
- H. B. Paksoy. BASMACHI MOVEMENT FROM WITHIN: ACCOUNT OF ZEKI VELIDI TOGAN
- Участие войск Туркестанского фронта (Туркестанского военного округа) в борьбе с басмачеством в 1922—1931 гг.
- Система борьбы с басмачеством (бандитизмом). Практическое пособие Туркфронта, 1923 г.
- [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rus-army.com/index.php/doblest/1090-kak-srazhalis-s-basmachami-voiny-internatsionalisty-krasnoj-armii 과거 내용 찾기)] Воины-интернационалисты РККА в боях с басмачество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Я. Норбутаев. Лихие кавалеристы с маузерами, и другие мифы о басмачах // Информ. агентство «Фергана.news». 08.07.2013
- Густерин П. В. К вопросу о басмачеств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