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사자아과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식육목 | |
아목: | 개아목 | |
상과: | 기각상과 | |
과: | 물개과 | |
아과: | 바다사자아과 (Otariinae) | |
속 | ||
|
바다사자는 바다사자아과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이다. 특히 큰바다사자를 말하기도 한다. 바다사자는 귓바퀴가 있고, 앞발이 납작한 지느러미이며, 네 지느러미로 땅에서 걸을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은 북극해로부터 적도까지, 남·북반구의 해양에 분포한다. 이들은 대체로 먹을 것이 풍부한 해변의 얕은 물에서 볼 수 있다.[1]
하위 분류[편집]
- 기각상과 (PINNIPEDIA)
- 물개과 (Otariidae)
- 물개아과 (Arctocephalinae)
- 바다사자아과 (Otariinae)
- 큰바다사자속 (Eumetopias)
- 큰바다사자 (Eumetopias jubatus)
- 바다사자속 (Zalophus)
- 남아메리카바다사자속 (Otaria)
- 남아메리카바다사자 (Otaria flavescens)
- 오스트레일리아바다사자속 (Neophoca)
- 오스트레일리아바다사자 (Neophoca cinerea)
- 뉴질랜드바다사자속 (Phocarctos)
- 뉴질랜드바다사자 (Phocarctos hookeri)
- 큰바다사자속 (Eumetopias)
- 물범과 (Phocidae)
- 바다코끼리과 (Odobenidae)
- 물개과 (Otariidae)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바다사자과의 계통 분류이다.[2]
바다사자과 |
| ||||||||||||||||||||||||||||||||||||||||||||||||||||||||||||||||||||||||||||||
인간과의 관계[편집]
바다사자 중에는 훈련받아 동물원이나 수족관에서 관심을 끄는 종류가 있다. 서커스에서 지느러미나 코로 공을 잡거나 받는 등의 묘기를 부리는 물개는 실제로는 바다사자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바다사자는 미 해군의 '미 해군 해양 포유류 프로그램'에서 기뢰를 탐지하기 위해 훈련되기도 하였다.[3]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ANIMAL BYTES - Sea Lions & Fur Seals”. 2007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Berta, A.; Churchill, M. (2012). “Pinniped taxonomy: Review of currently recognized species and subspecies, and evidence used for their description”. 《Mammal Review》 42 (3): 207–34. doi:10.1111/j.1365-2907.2011.00193.x.
- ↑ Watkins, Thomas (2007년 2월 12일). “Navy may deploy anti-terrorism dolphins”. Associated Press. 2007년 2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