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깥엉덩동맥
보이기
바깥엉덩동맥 | |
---|---|
정보 | |
기원 | 온엉덩동맥 |
가지 | 아래배벽동맥 깊은엉덩휘돌이동맥 넙다리동맥 |
정맥 | 바깥엉덩정맥 |
식별자 | |
라틴어 | arteria iliaca externa |
영어 | external iliac artery |
TA98 | A12.2.16.002 |
TA2 | 4357 |
FMA | 18805 |
바깥엉덩동맥(external iliac artery), 또는 외장골동맥(外腸骨動脈)은 골반에서 온엉덩동맥이 엉치엉덩관절 앞에서 갈라지며 시작되는 두 개의 주요 동맥 중 하나이다.
구조
[편집]바깥엉덩동맥은 온엉덩동맥의 분기점에서 시작하여 큰허리근의 안쪽 경계를 따라 앞아래쪽으로 주행한다. 이후에는 고샅인대 뒤아래쪽으로 골반을 빠져 나온다.[1][2] 고샅인대를 통과하는 지점은 두덩뼈결절에 고샅인대가 닿는 지점에서 가쪽으로 약 3분의 1 정도 떨어진 지점이다.[1] 이때부터 바깥엉덩동맥은 넙다리동맥이라고 부른다.[1][3]
가지
[편집]가지 | 설명 |
---|---|
아래배벽동맥 | 위쪽으로 주행하여 속가슴동맥의 가지인 위배벽동맥과 문합한다. |
깊은엉덩휘돌이동맥 | 볼기뼈의 엉덩뼈능선을 따라 가쪽으로 주행한다. |
넙다리동맥[3] | 바깥엉덩동맥의 말단가지로, 바깥엉덩동맥이 고샅인대 뒤쪽을 지나갈 때 그 이름이 넙다리동맥으로 바뀐다. |
기능
[편집]바깥엉덩동맥은 다리에 혈액을 공급하는 주요 동맥으로, 골반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려가면서 아래배벽동맥과 깊은엉덩휘돌이동맥이라는 두 개의 큰 가지를 낸다. 이 혈관들은 배벽 아래쪽의 근육들과 피부에 혈액을 공급한다. 바깥엉덩동맥은 배 아래쪽의 고샅인대 아래를 지나면서 넙다리동맥이 된다.
임상적 중요성
[편집]바깥엉덩동맥은 일반적으로 콩팥 이식 수혜자에게 콩팥동맥을 붙이는 데 사용되는 동맥이다.
추가 이미지
[편집]-
속가슴동맥과 그 가지.
-
오른쪽의 엉치신경얼기.
-
아래쪽 절반에 있는 앞배벽의 뒷면 모습.
-
동맥과 샅굴이 표면에 표시된 배 앞면의 그림.
-
바깥엉덩동맥.
-
허리신경얼기와 엉치신경얼기의 깊은 곳 해부. 앞에서 본 사진.
-
허리신경얼기와 엉치신경얼기의 깊은 곳 해부. 앞에서 본 사진.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Tortora, Gerard J.; Grabowski, Sandra R. (2003). Roesch, Bonnie, 편집. 《Principles of Anatomy and Physiology: Volume 4 Maintenance and Continuity of the Human Body》 (Textbook) 4 10판.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Inc. 734쪽. ISBN 0-471-22934-2.
- ↑ 〈Cardiovascular Anatomy〉, 《Reference Module in Biomedical Sciences》 (영어), Elsevier
- ↑ 가 나 〈Chapter 7 - The Cardiovascular System〉, 《Anatomy and Histology of the Laboratory Rat in Toxicology and Biomedical Research》 (영어), Academic Press, 77-9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