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1991년)
민주당
民主黨 | |||
| |||
상징색 | 녹색, 붉은색 | ||
---|---|---|---|
이념 | 자유주의 중도개혁주의 | ||
스펙트럼 | 중도주의 | ||
당직자
| |||
총재 | 김대중 | ||
역사
| |||
창당 | 1991년 9월 16일 | ||
해산 | 1995년 12월 21일 | ||
선행조직 | 민주당 (1990년) 신민주연합당 | ||
후계정당 | 새정치국민회의 통합민주당 | ||
예하 부문
| |||
중앙당사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의석
| |||
국회의원 (1992년) |
97 / 299
| ||
|
민주당(民主黨, Democratic Party)은 평화민주당이 확대개편된 신민주연합당과 삼당합당에 반대한 통일민주당 잔류파등의 민주당의 합당으로 1991년 9월 16일 창당되었다. 1992년 대선에서 민주당의 김대중후보는 농촌 유권자의 친 민자당(현재 자유한국당) 친 노태우성향을 비판하며 유권자의 책임을 지적했다. 이로 인해 그의 발언에 수긍하지 않는 청중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이미 30년전인 1992년 대선때부터 계급배반투표의 논리가 공식적으로 쓰이기 시작했던 것이다.[1][2] 1995년 9월 5일 김대중이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하며 상당수 회원이 탈당하여 제2야당으로 추락하였고, 1995년 12월 21일 개혁신당과 함께 통합민주당으로 신설합당되어 소멸하였다.
역사[편집]
창당 이전[편집]

- 1987년 5월 1일 : 통일민주당 창당
- 1987년 11월 12일 : 통일민주당 탈당파들이 평화민주당 창당하고, 김대중을 총재 및 대통령선거 후보로 추대
- 1990년 1월 22일 : 김영삼이 통일민주당을 이끌고 민주정의당, 신민주공화당과 함께 민주자유당으로 신설합당
- 1990년 6월 18일: 통일민주당 잔류 세력과 박찬종, 이철 등의 무소속 의원 등이 민주당창당
- 1991년 4월 15일 : 평화민주당이 이우정, 신계륜, 장영달 등의 재야운동가를 영입하여 신민주연합당으로 당명 변경
창당 이후[편집]
- 1991년 9월 16일 : 신민주연합당이 통일민주당 잔류파인 민주당과 합당하여 민주당(통합민주당)으로 창당
- 1992년 5월 26일 : 경선에서 김대중 대표를 14대 대통령 후보로 선출
- 1992년 6월 24일 : 김대중/이기택 공동대표 체제
- 1992년 12월 19일 : 김대중 대표가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패배로 정계 은퇴를 선언
- 1993년 4월 8일 : 이기택 대표를 단독대표로 선출
- 1995년 3월 7일 : 새한국당을 흡수 합당
- 1995년 6월 27일 : 대한민국 제1회 지방 선거에서 서울 시장(조순)을 차지하는 등 선전
- 1995년 7월 17일: 김대중 아태재단 이사장의 정계 복귀와 신당 창당 선언으로 민주당 소속 의원 95명중 65명이 탈당하여 합류
- 1995년 9월 1일 : 동교동계 인사들이 대거 탈당한 가운데 홍영기/박일을 공동대표로 선출
- 1995년 9월 5일 김대중 이사장의 주도로 새정치국민회의가 창당되어 제2야당으로 전락
- 1995년 12월 21일 : 민주당 잔류세력이 개혁신당과 함께 통합민주당으로 신설합당해 소멸
역대 당수[편집]
대수 | 역대 대표 | 직함 | 임기 | 비고 |
---|---|---|---|---|
1 | 김대중 | 공동대표최고위원 | 1991년 9월 16일 ~ 1992년 12월 18일 | 대선 패배로 은퇴 |
1 | 이기택 | 공동대표최고위원 | 1991년 9월 16일 ~ 1993년 3월 11일 | |
2 | 이기택 | 대표최고위원 | 1993년 3월 11일 ~ 1995년 2월 24일 | |
3 | 이기택 | 대표최고위원 | 1995년 2월 24일 ~ 1995년 8월 28일 | |
4 | 홍영기 | 공동대표최고위원 | 1995년 8월 29일 ~ 1995년 12월 14일 | 통합민주당으로 신설합당 |
4 | 박일 | 공동대표최고위원 | 1995년 8월 29일 ~ 1995년 12월 14일 | 통합민주당으로 신설합당 |
역대 선거 기록[편집]
역대 대선 결과[편집]
실시년도 | 대수 | 후보자 | 득표 | 득표율 | 결과 | 당락 | ||
---|---|---|---|---|---|---|---|---|
1992년 | 제14대 | 김대중 | 8,041,284표 |
|
2위 | 낙선 |
역대 총선 결과[편집]
실시년도 | 선거 | 지역구 | 비례대표 | 정원 | |||||||||
---|---|---|---|---|---|---|---|---|---|---|---|---|---|
당선자 수 | 당선비율 | 당선자 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당선비율 | ||||||||
1992년 | 제14대 | 75/237 |
|
22/62 |
|
97/299 |
|
역대 지방 선거 결과[편집]
실시년도 | 선거 | 광역단체장 | 기초단체장 | 광역의원 | 기초의원 | ||||||||||
---|---|---|---|---|---|---|---|---|---|---|---|---|---|---|---|
당선자 수 | 당선비율 | 당선자 수 | 당선비율 | 당선자 수 | 당선비율 | 당선자 수 | 당선비율 | ||||||||
1995년 | 1회 | 4/15 |
|
84/230 |
|
391/970 |
|
역대 재보궐선거 결과[편집]
실시년도 | 선거 | 국회의원 | |
---|---|---|---|
당선자 수 | 당선비율 | ||
1993년 | 4·23 재보선 | 0/3 | 0% |
6·11 재보선 | 1/3 | ![]() ![]() | |
8·12 재보선 | 0/2 | 0% | |
1994년 | 8·2 재보선 | 1/3 | ![]() ![]() |
역대 전당대회[편집]
합당수임기구 합동회의[편집]
1991년 9월 16일, 신민주연합당-민주당 합당수임기구 합동회의는 당헌, 정강 및 기본정책을 확정하고 신민당 김대중 총재와 민주당 이기택 총재를 공동대표최고위원으로 하는 지도부를 선출했다.
1992년 5월 민주당 정기 전당대회[편집]
득표순위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김대중 | 1,413 | ![]() ![]() |
당선 |
2 | 이기택 | 925 | ![]() ![]() |
|
총투표수 | 2,348 |
1992년 5월 26일, 민주당 전당대회는 김대중 대표를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하고, 김상현 의원 등을 최고위원으로 선출한뒤 정권교체를 결의했다.
1992년 11월 민주당 임시 전당대회[편집]
1992년 11월 7일 민주당은 임시 전당대회 겸 대선승리전진대회를 가졌다.
1993년 3월 11일 민주당 제2차 전당대회[편집]
민주당의 법적 대표였던 김대중 대표가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한 뒤 정계은퇴를 선언하자, 민주당은 당 개편을 위해 3월 조기 전당대회를 개최한다.
득표순위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이기택 | 2,743 | ![]() ![]() ![]() ![]() |
결선투표 진출 |
2 | 김상현 | 1,928 | ![]() ![]() |
결선투표 진출 |
3 | 정대철 | 944 | ![]() ![]() ![]() ![]() |
|
총투표수 | 5,462 |
1차투표 결과 과반득표자가 없어 결선투표로 이어졌고, 결선 투표 진출에 탈락한 정대철 후보는 같은 신민계인 김상현 후보를 지지했다.
득표순위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이기택 | 2,896 | ![]() ![]() |
대표최고위원 |
2 | 김상현 | 2,549 | ![]() ![]() ![]() ![]() ![]() |
|
총투표수 | 5,462 |
결선투표 결과 이기택 대표가 재선되었고, 전당대회는 또 그를 중심으로 할 8명의 최고위원들을 선출했다.
1995년 2월 민주당 임시 전당대회[편집]
1995년 2월 24일 민주당 전당대회는 당헌개정안과 정강정책개정안을 의결하는 한편, 새한국당과 국민회의와의 통합을 선언하고 이기택 대표를 총재로, 새한국당 이종찬 대표를 상임고문으로, 국민회의 김근태 공동대표를 부총재로 추대했다.
1995년 8월 민주당 임시 전당대회[편집]
새정치국민회의의 창당으로 원내3당으로 밀려나버린 민주당은 1995년 8월 28일 전당대회를 개최해 홍영기 국회부의장과 박일 고문을 공동대표로 하는 임시 지도부를 출범시킨 뒤, 정치개혁시민연합 등 반3김 세력과의 통합수임기구를 구성하기로 결의했다.
제1차 민주당-개혁신당 통합수임기구 합동회의[편집]
1995년 12월 5일 민주당-개혁신당 통합수임기구 합동회의는 양당의 통합을 선언하고 민주당 이기택 고문을 상임고문에, 김원기 고문과 개혁신당 장을병 대표를 공동대표로 선출했다.
역대 정당 당원[편집]

함께 보기[편집]
각주[편집]
- ↑ 후보가 유세장서 유권자 비판 1992년 대선 김대중후보 1992.12.5 동아일보
- ↑ 표 잘못찍어 제 발등도 찍었다, 민주당 유권자 책임강조 1992.12.5 경향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