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라클프루트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국화군 |
목: | 진달래목 |
과: | 사포테과 |
속: | 신세팔룸속 |
종: | 미라클프루트 |
학명 | |
Synsepalum dulcificum | |
(Schumach. & Thonn.) Daniell | |
학명이명 | |
미라클프루트(학명: Synsepalum dulcificum 신세팔룸 둘키피쿰[*])는 사포테과의 관목이다.[3] 원산지는 서아프리카이다.[4] 열매에 미라쿨린이라는 단백질 성분이 들어있는데, 이 성분이 혀에 있는 미각 세포 가운데 신맛과 쓴맛을 느끼게 하는 세포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단맛을 느끼게 하는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미라클프루트를 먹은 뒤 레몬 등 신맛이 나는 음식을 먹으면 단맛을 느끼게 된다.[5][6]
사진[편집]
-
열매와 씨
-
씨
각주[편집]
- ↑ “Synsepalum dulcificum (Schumach. & Thonn.) Daniell”. 《The Plant List》 (영어). 2012년 3월 26일. 2019년 6월 6일에 확인함.
- ↑ “Synsepalum dulcificum (Schumach. & Thonn.) Daniell”. 《Plants of the World Online》 (영어).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년 6월 6일에 확인함.
- ↑ Daniell, William Freeman. Pharmaceutical Journal and Transactions 11: 445. 1852.
- ↑ “Synsepalum dulcificum (Schumach.) Daniell”. 《GRIN-Global Web v 1.10.4.0》 (영어). 2017년 9월 19일. 2019년 6월 6일에 확인함.
- ↑ Koizumi, A.; Tsuchiya, A.; Nakajima, K.-i.; Ito, K.; Terada, T.; Shimizu-Ibuka, A.; Briand, L.; Asakura, T.; Misaka, T.; Abe, K. (2011). “Human sweet taste receptor mediates acid-induced sweetness of miracul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영어) 108 (40): 16819–16824. doi:10.1073/pnas.1016644108.
- ↑ 채상우 (2012년 7월 25일). “다이어트 위한 ‘기적의 과일’ 미라클베리”. 《헤럴드경제》. 2019년 6월 6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진달래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