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족제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산쇠족제비에서 넘어옴)

쇠족제비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동물강
목: 식육목
과: 족제비과
속: 족제비속
종: 쇠족제비
학명
Mustela nivalis
Linnaeus, 1766
쇠족제비의 분포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출처 필요]


멸종위기Ⅰ급: 현재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 있음
평가기관: 대한민국 환경부[1]

쇠족제비(Mustela nivalis)는 족제비과 동물 중 가장 작은 동물로, 식육목 포유류 중에서도 가장 작다.[2] 흰족제비, 무산쇠족제비라고도 하며,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북아프리카 등이 원산지이다. 남한에서는 1984년 강원도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에 포함되어 있다.

진화[편집]

족제비속 중의 종에서, 다른 유사한 군에서 종종 나타나는 것으로 초기형태의 두개골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쇠족제비는 잘 분류되지 않은 형태이다. 쇠족제비의 근대 유형은 아마도 후기 홍적세기에 발현하였을 것이다. 쇠족제비는 5~7 백 만년부터 시작된 진화과정에서 나타난 것인데 북쪽지역의 숲이 개활지 초원으로 바뀌었고 이것이 굴을 파는 작은 설치류들의 극적인 진화를 초래하였다. 족제비의 조상들은 현재유형보다 컸는데 이들은 새로운 먹이들을 찾는 과정에서 크기가 작아지게 되었다. 쇠족제비는 작고 긴 몸으로 눈 밑에서도 쉽게 활동하고 굴을 파고 사냥을 하며 빙하기도 잘 견뎌냈다. 이들은 200,000년 전에 육지로 연결되는 베링육교를 통하여 북미지역으로 건너갔을 것이다.

아종[편집]

쇠족제비는 지역에 따라 큰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역사적으로 이 종의 체계를 연구하는 생물학자들 사이에 많은 이견을 초래하였다. 쇠족제비종은 3개의 아종으로 분류한다.

작은 쇠족제비 그룹 (pygmaea-rixosa group): 작은 족제비류는 짧은 꼬리와 소아형 두개골형태로 겨울에는 흰색으로 변한다. 서식지는 북서부 러시아, 시베리아 그리고 극동러시아, 핀란드, 북스칸디나비아반도, 몽골, 북동중국, 일본 그리고 북미지역이다.

큰 쇠족제비 그룹 (boccamela group) : 큰 두개골과 상대적으로 긴 꼬리 그리고 밝은 색을 지닌다. 국지적으로 겨울에 희게 변하지 않거나 단지 부분적으로 희게 변한다. 서식지는 서부 카자크스탄에서 세미레치에 이르는 트랜스코카서스지역 그리고 중앙아시아 사막지역이다.

중간 크기의 쇠족제비 그룹 (nivalis group) : 앞에 두 그룹의 중간형태이다. 서식지는 서부와 서남부 러시아, 크리미아, 북코카서스, 서카자크스탄, 남부와 중부 우랄지방, 코페트다크 산맥을 제외한 중부아시아 저산지대이다.

2005년 기준으로, 18아종[3] 이 인정되고 있다.

  • M. n. nivalis Linnaeus, 1766.
  • M. n. allegheniensis Rhoads, 1901
  • M. n. boccamela Bechstein, 1800
  • M. n. campestris Jackson, 1913
  • M. n. caucasica Barrett-Hamilton, 1900
  • M. n. eskimo Stone, 1900
  • M. n. heptneri Morozova-Turova, 1953
  • 무산쇠족제비 (M. n. mosanensis) Mori, 1927 - 한반도에 분포
  • M. n. namiyei Kuroda, 1921
  • M. n. numidica Pucheran, 1855
  • M. n. pallida Barrett-Hamilton, 1900
  • M. n. pygmaea J. A. Allen, 1903
  • M. n. rixosa Bangs, 1896
  • M. n. rossica Abramov and Baryshnikov, 2000
  • M. n. russelliana Thomas, 1911
  • M. n. stoliczkana Blanford, 1877
  • M. n. tonkinensis Björkegren, 1941
  • M. n. vulgaris Erxleben, 1777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족제비아과의 계통 분류이다.[2][4]

족제비아과

아메리카밍크

긴꼬리족제비

등줄무늬족제비

말레이시아족제비

북방족제비

쇠족제비

고산족제비

족제비

유럽밍크

검은발족제비

긴털족제비

스텝긴털족제비

신체적 특징[편집]

쇠족제비는 작고 길지만 뭉툭한 주둥이와 목보다 두껍지 않은 머리와 함께 가늘고 긴 아주 유연한 몸을 가지고 있다. 눈은 크고 불룩하며 진한색이다. 다리와 꼬리는 상대적으로 짧은데, 꼬리 길이는 몸길이의 절반을 넘지 않는다. 발은 날카롭고 진한색의 발톱이 있고 발바닥에는 털이 많다. 두개골은 담비류와 같은 다른 족제비류에 비하여 미발달한 외관을 보이고 있다. 상대적으로 큰 두개골 부분과 짧은 얼굴영역에 잘 나타나 있다. 두개골은 전반적으로 담비와 유사하나 작다. 일부 큰 수컷의 두개골 크기는 작은 암컷 담비의 것과 유사하다. 네 쌍의 젖꼭지를 가지고 있으나 암컷에서만 보인다. 척추, 신장, 내장 그리고 팔과 다리를 중심으로 지방이 축적되어 있다. 꼬리 밑에 7 x 5 mm 크기의 아황산휘발물질을 내는 항문분비선이 있다. 이 화합물의 화학적조성과 냄새는 담비류의 것과 다르다. 쇠족제비는 깡충 뛰어 다니며 앞 뒷발간의 도약간격은 18–35 cm이다.

다른 포유류와 달리 지역에 따라 크기가 매우 다르다. 보통크기의 쇠족제비군은 작은 크기 것들보다 네 배나 무거울 수 있다. 일부 큰 크기 종의 경우 수컷이 암컷보다 1.5배 크기도 한다. 꼬리 길이도 몸통길이의 12-30% 정도를 차지하기도 한다. 평균몸통길이는 수컷이 130–260 mm이고 암컷은 114–204 mm이다. 꼬리길이는 수컷이 12–87 mm이고 암컷은 17–60 mm이다. 무게는 수컷이 36-250g 이고, 암컷은 29.5-117g이다.

겨울에는 모피에 짧고 무성한 털이 몸에 잘 밀착되어 있다. 북부지역 종들은 털이 보드랍고 매끄럽지만 남부지역 종들은 거칠다. 여름에는 털이 아주 짧고 적으며 거칠다. 여름에 몸상부의 털은 진한색이나 지역에 따라 어두운 황갈색 또는 초콜릿색에서 연한 갈색을 띈다. 아래턱과 다리 안쪽을 포함한 몸 하부는 흰색이다. 어두운 상부와 밝은 하부를 나누는 선은 대부분 직선이나 가끔 불규칙하기도 하다. 겨울에 털은 흰색이며 아주 드물지만 검은 색이기도 하다.

행동[편집]

생식과 발달[편집]

쇠족제비 4월에서 7월 사이에 짝짓기를 하여 34일에서 37일 동안의 임신기간을 갖는다. 북반구에서, 평균 산자수(1회 분만으로 출산한 새끼의 수)는 6마리이며 성적 성숙에 도달하기까지 3,4개월가량 걸린다. 보통 성공하지 못 할 지어도, 수컷들은 한살이 되는 해에 짝짓기를 한다. 겨울철에 정자생성의 초기단계가 일어나지만, 그들은 2월달에서 10월달에 다산적이다. 암컷은 보통 태어나면 1.5에서 4.5그램의 새끼들을 혼자서 키운다. 새로 태어난 새끼들은 털 없는 핑크색의 장님이고 소리를 못 듣지만, 4일째 하얀 보송보송한 털들을 얻는다. 10일째, 어두운 윗부분과 밝은 아랫부분의 경계가 선명해진다. 수유기간이 12주정도 진행되지만, 2주에서 3주째에는 젖니가 생기고 젖을 땐다. 눈과 귀를 3,4주때 뜨고, 8주가 될 때 사냥습성이 발달된다. 9에서 12주가되면 가족의 곁에서부터 독립한다.

영토적, 사회적 행동[편집]

쇠족제비는 전형적인 족제빗과의 영토적 패턴을 가지고 있는데 여러 개의 암컷 범위를 포함하는 독점적인 수컷 범위들로 이루어져 있다. 각 영토의 인구 밀집도는 음식 공급과 생식적 성공에 따라 달라진다. 그래서 모든 영토의 사회적 구조나 인구 밀집도는 굉장히 불안정하고 변동이 쉽다. 족제비처럼, 수컷의 쇠족제비는 봄이나 음식이 부족한 때에 그의 범위를 늘린다. 쇠족제비의 냄새로 표시하는 행동은 족제비랑 비슷하다; 배설물, 소변, 그리고 항문과 피부의 선분비물을 이용하는데 마지막 두 개는 항문의 끄는 것과 몸의 움직이는 것에 의해 놓여진다. 쇠족제비는 자기 자신의 굴을 파지 않지만 두더지나 쥐 등의 다른 종들의 버려진 굴에 자리를 잡는다. 굴의 입구는 가로로 2.5cm이고 땅 밑에서 15 cm 위에 위치한 둥지의 방으로 이어진다. 둥지의 방(자는 것과 새끼를 키우는 것과 음식을 저장하는 것으로 사용되는)은 지름이 10cm이고 지푸라기와 족제비의 먹잇감의 피부로 이루어져 있다.

쇠족제비는 4가지의 기본적 발성이 있다; 놀랐을 때 뿜는 목구멍의 쉬하는 소리는 자극 받았을 때 나오는 짧은 소리지르며 짖는 소리와 비명소리와 점재되어 있다. 방어적일 때 그것은 높고 날카로운 통곡소리와 비명소리를 내보낸다. 남자와 여자나 어미와 자식이 마주쳤을 때 쇠족제비는 높고 날카로운 3련쌍정을 내뿜는다. 이 종이 공격을 표현하는 방법은 족제비의 것과 비슷하다. 우세한 족제비는 찌르기를 보여주고 비명을 지르는 반면 아우점종의 족제비는 복종적인 꽥 소리를 지를 것이다.

식단[편집]

쇠족제비는 대부분 쥐, 햄스터, 게르빌루스쥐 등의 설치류를 주로 먹는다. 다 자란 햄스터나 쥐는 대부분 공격하지 않는다. 때때로 개구리, 물고기, 조그만 새나 새알도 먹는다. 쇠족제비는 다 큰 새앙토끼나 게르빌루스쥐는 다룰 수 있지만, 갈색 쥐나 땅 다람쥐는 잘 못 잡는다. 예외적으로 쇠족제비가 자신보다 훨씬 큰 먹이를 잡은 경우는 큰 뇌조, 들꿩, 산토끼가 있다. 토끼는 자주 잡는 편이나 주로 어린 토끼를 사냥한다. 토끼는 작은 설치류가 거의 없고 토끼가 많은 봄에 아주 중요한 식량이 된다. 수컷 쇠족제비는 암컷보다 크기도 크고 영역 범위가 넓기 때문에 훨씬 더 다양하고 많은 먹이를 섭취한다. 쇠족제비는 천적인 여우와 새를 피해 은밀히 먹이를 찾는다. 먹이의 굴에 있다가 바깥에서 먹이를 잡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먹이의 굴을 따라 들어가 공격한다. 작은 들쥐류의 경우 쇠족제비는 두개골 중 후두골을 이용하여 먹이의 경추를 탈골 하여 잡는다. 큰 동물은 출혈과다나 쇼크로 죽게 한다. 식량이 충분할 때는 적은 비율의 동물, 특히 뇌를 먹는다. 하루 평균 섭취량은 평균 체중의 30에서 35 퍼센트를 차지하는 35그램이다.

범위[편집]

쇠족제비는 유럽, 북아프리카, 아시아, 북아메리카 북부를 포함하는 북반구 전 지방의 숲 지역에 분포하지만, 남반구의 뉴질랜드, 몰타 섬, 크레타, 아조레스 제도, 아프리카 서해안의 상투메 섬에 소개된 적이 있다고 한다. 쇠족제비는 주로 유럽 전 지역과 아조레스 제도, 영국, 그리고 지중해에 있는 섬 등 많은 섬에 서식한다. 또한 일본의 혼슈, 홋카이도 지방과 러시아 쿠나시르, 이투르프, 사할린 섬에서도 발견되었다.

포식자와 경쟁자[편집]

쇠족제비는 크기가 작아서 다른 포식자들의 먹이가 되기 쉬운 동물이다. 쇠족제비의 사체가 붉은여우, 흑담비, 스텝 또는 숲 긴털족제비, 담비, 수리부엉이, 그리고 올빼미의 배설물에서 발견이 되었다. 쇠족제비를 가장 효과적으로 잡는 올빼미의 종에는 외양간 올빼미, 아메리카 올빼미, 그리고 수리부엉이가 있다. 쇠족제비를 위협하는 또 다른 조류에는 날개가 큰 독수리와 털발말똥가리가 있다. 어떠한 뱀들도 쇠족제비의 포식자가 될 수 있는데, 그들 중에는 검정쥐잡이뱀구렁이가 있다. 쇠족제비의 작은 크기를 고려하지 않아도 쇠족제비는 담비보다 포식자의 위협에 더 잘 노출되어 있다. 쇠족제비는 포식자들로부터 보호를 할 수 있는 검은 표시가 꼬리에 없기 때문이다. 어떤 지역에 쇠족제비와 담비가 같이 있다면, 설치류를 두고 경쟁을 한다. 쇠족제비는 담비와의 심한 경쟁을 피하기 위해서 높은 지역에서 살고, 작은 설치류를 잡는다. 또한, 작은 구멍을 들어갈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쇠족제비는 담비와 마주치지 않으려고 한다. 하지만 암컷 쇠족제비는 크기가 작아서 구멍으로 재빠르게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담비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사냥을 하곤 한다.

질병과 기생충[편집]

쇠족제비를 감염시키는 체외 기생충으로 알려진 것들 중에는 거머리와 모낭충 등이 있다. 쇠족제비는 먹이가 살고 있는 둥지나 땅굴로부터 이가 옮기도 한다. 쇠족제비가 옮는 이의 종류에는 두더지에서 나오는 Ctenophthalmus bisoctodentatus와 Palaeopsylla m. minor, 땃쥐에서 나오는 P. s. soricis, 설치류에서 나오는 Nosopsyllus fasciatus, 그리고 조류에서 나오는 Dasypsyllus gallinulae가 있다. 쇠족제비를 감염시키는 기생충에는 trematode Alaria, the nematodes Capillaria, Filaroides, Trichinella와 the cestode Taenia가 있다. 쇠족제비는 주로 그들의 머리 속에 들어가서 발작을 일으키는 Skrjabingylus nasicola에 감염이 된다.

관련 설화 및 신화[편집]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은 쇠족제비를 좋은 징조로 여겼다. 마케도니아 일부 지역에서는 사람들이 길어다놓은 물을 쇠족제비가 거울로 사용하게 되면, 그 물로 머리를 감은 여자는 두통을 앓게 된다고 믿기도 하였다. 하지만 그런 믿음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배후에 쇠족제비가 있다는 말을 직접적으로 꺼내기를 피했는데, 이는 그런 말을 입에 담았다가는 쇠족제비가 자신들의 옷을 망쳐 놓을 것이라는 두려움에서 비롯되었다. 이와 비슷한 믿음은 고대 남부 그리스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 지방 사람들은 쇠족제비가 원래는 신부였으나 동물로 변한 것이라고 믿었으며 질투심에 다른 신부들의 웨딩 드레스를 망가뜨릴 것이라고 믿었다. 또한, 고대 로마의 관리이자 군인이자 학자였던 대(大) 플리니우스에 의하면 쇠족제비는 바실리스크라는 전설의 괴물을 죽일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다:

이 끔찍한 괴물에게 쇠족제비의 냄새는 치명적이다. 이는 성공 사례가 있으며 많은 왕들이 바실리스크의 사체를 보고 싶어했다. 쇠족제비는 주변의 오염된 토양으로 인해 눈에 잘 띠는 바실리스크 굴에 던져지고 냄새로 바실리스크를 죽이지만 자기 자신도 죽고 만다.

오지붸라고도 불리는 치페와 부족은 미국 북동부와 캐나다 쪽에 분포하는 미국 원주민인데 쇠족제비에 얽힌 설화는 여기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쇠족제비가 웬디고라는 무시무시한 괴물의 항문으로 들어가 괴물을 죽일 수 있다고 믿었다. 알래스카, 캐나다, 미국, 북극, 러시아, 그린란드 등에 거주하는 에스키모인 이누이트들은 쇠족제비를 용기와 지혜의 상징으로 여겼고 전설의 영웅들은 위대한 업적을 남긴 후 쇠족제비로 변한다고 믿었다. 1600년대 영국의 마녀사냥꾼이었던 매튜 홉킨스는 쇠족제비를 마녀를 받드는 마귀로 여겼다.

각주[편집]

  1. 국립생물자원관. “쇠족제비”.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대한민국 환경부. 
  2. Koepfli, Klaus-Peter; Deere, K.A.; Slater, G.J.; Begg, C.; Begg, K.; Grassman, L.; Lucherini, M.; Veron, G.; Wayne, R.K. (February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doi:10.1186/1741-7007-6-10. PMC 2276185. PMID 18275614. 
  3. Wozencraft, W.C. (2005). “Order Carnivora” [식육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4. Bininda-Emonds OR; Gittleman JL; Purvis A (1999). “Building large trees by combining phylogenetic information: a complete phylogeny of the extant Carnivora (Mammalia)”. 《Biol Rev Camb Philos Soc》 74 (2): 143–75. doi:10.1017/S0006323199005307. PMID 10396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