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인민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몽골인민당에서 넘어옴)

몽골 인민당
Монгол Ардын Нам
로고
약칭 MAN
상징색 빨강, 파랑
이념 (1920년~1991년)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1991년~현재)
사회민주주의
스펙트럼 (1920년~1991년)
좌익 ~ 극좌
(1991년~현재)
중도좌파
당원(2020년 기준) 220,000명
당직자
총비서 다쉬제베그 아마르바야갈란
위원장 미예곰빈 엥흐볼드
역사
창당 1920년 6월 25일
내부 조직
중앙당사 몽골 울란바타르 14200, Independence palace, Baga toiruu-37
청년조직 몽골 사회민주주의청년연합 (Social Democracy Mongolian Youth Union)
준군사조직 몽골 인민군 (과거)
외부 조직
국제조직 사회주의 인터내셔널[1]
진보동맹[2]
의석
국가대회의
62 / 76
당기

몽골 인민당(몽골어: Монгол Ардын Нам)은 몽골에서 제일 오래된 정당이며, 중도좌파 정당이자, 현재는 의회1당으로 내각을 책임지고 있는 집권 여당이다. 과거 공산주의 국가의 전통을 잇는 사회주의자들부터 21세기 사회주의, 민주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자들까지 스펙트럼이 다양하다. 오흐나깅 후렐수흐몽골의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여당이 되었다.

역사[편집]

1911년 외몽골이 혁명으로 독립하였으나 복드 칸국이 수립되면서 당시 러시아청나라는 이 나라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았고 자치국가 형태로 존재하였다. 1919년 복드 칸국은 북양정부백군 세력에 점령되면서 이에 따라 외몽골 지역 전체가 북양정부에 넘어갔다. 이후 여러 독립 단체가 등장하였으며, 이들은 1920년 6월 25일 인민당을 조직하였고 8월에는 러시아 SFSR에 7명의 대표를 이르쿠츠크에 파견하였다. 1921년 3월 1일 인민당이 정당으로 창당이 되면서 캬흐타에서 임시정부를 수립하였다.

3월 18일 담딩 수흐바타르가 이끄는 인민혁명군이 중국군을 격파하여 캬흐타를 완전 정복했고, 웅게른이 이끄는 아시아 기마사단이흐후레에서 대패했다. 7월 6일 이흐후레를 점령하고 7월 11일 독립 선언을 발표하면서 완전한 독립이 되었으며 1924년 코민테른 조언에 따라 몽골 인민혁명당이 되었다.[3]

1928년 인민혁명당은 좌경화됨과 동시에 공산주의를 따르기 시작했다. 가축을 강제로 국유화하고, 민간 무역과 수송은 금지되었다. 또 수도원귀족들을 배신자로 탄압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몽골의 경제가 추락하기 시작했고, 1932년에는 가축 700만 마리가 떼죽음을 당했다. 이는 무장 봉기로 이어지게 된다. 하지만 무장봉기마저 실패하였으며 심지어 허를러깅 처이발상이 정권을 잡으면서 대량의 자국민을 숙청하였다(몽골의 스탈린주의 탄압). 이후 1952년 처이발상이 사망하고 윰자깅 체뎅발이 집권하였다. 그는 처이발상을 비판하였고 다싱 담바, 다라밍 투무르오치르, 로브상체렝깅 쳉드, 척트오치르깅 러호즈, 발당도르징 냠보, 방딩 소르마자브 같은 각종 정적을 숙청하였다. 외교 정책 면에서는 소비에트 연방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다졌으며, 중소 분쟁이 표면화된 상황에서 소련을 옹호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비판해, 중화인민공화국의 분노를 사기도 하였다. 또, 몽골을 소련의 공화국으로 편입시키려고 시도했으나 타 정치인들의 반발로 실패했고 국가를 배반했다는 이유로 기소되었다. 1984년 8월 소련의 압박으로 물러났고 잠빙 바트뭉흐가 집권하였다.

이후 1989년 12월 10일 울란바토르 청소년문화원에서 첫 민주적 시위가 벌어졌다.[4] 이후 이들은 몽골민주연합을 결성하여 노동자 파업과 대규모 민주 시위, 행진, 단식투쟁 등을 주도하였다(몽골 혁명).[5][6][7] 1990년 3월 7일 수흐바타르 광장에서 대규모 단식 투쟁을 이어나갔고,[8] 당 지도부와 정치국은 끝내 민주화 운동가들과 협상을 진행했다. 1990년 3월 9일 바트뭉흐는 사임을 결정하였으며[9][10] 70년만에 몽골 인민공화국은 몰락하고 만다.

이후 다당제로 변경하면서 첫 민주 선거를 진행했다. 선거 결과 대국가후랄에서는 358석을, 소후랄에서는 31석을 흭득하였다. 이후 다싱 비암바수렌이 총리를 맡았고 헌법과 사법 개혁을 시행하여 헌법을 개정하고 계획 경제를 포기하고 사회적 시장경제로 돌아섰다. 하지만 몽골과 경제적 원조를 제공했던 소련이 붕괴되자 심각한 경제 문제를 겪었고 1993년 대선에서 인민혁명당은 처음으로 낙선하였다. 한편 민주주의 정당들의 지지를 받고 있는 폰살마깅 오치르바트 후보가 압승을 거뒀다. 심지어 1996년 총선에서는 차히아깅 엘벡도르지가 이끄는 민주동맹에 패배하면서 무려 46석이나 추락하였다.[11] 하지만 2000년 총선부터 현재까지 계속 승리해서 집권 여당이 되었다. 2004년부터 2012년까지 민주당과 총 두 번의 연립정부를 구성하였고, 2003년에는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 가입하였다.[1] 그러나 2008년 총선에서 인민혁명당이 부정 선거를 저질렀다는 이유로 국민들의 반감을 일으켰다. 결국 시위가 폭력적으로 변하였고, 당 본부는 소실되었다. 이에 대해 남바링 엥흐바야르 대통령은 몽골 역사상 처음으로 비상사태를 5일간 선포하였다.[12] 비상사태 기간 동안 민간인 5명이 사망하고 220명이 다쳤으며[13][14] 인민혁명당은 이 사건을 인정하고 민주당과 동맹을 맺었다. 이후 2011년 11월 26일 해당 본부를 철거하고 독립 궁전을 당 본부로 사용하였다.[15][16]

2009년에는 남바링 엥흐바야르대선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의 엘벡도르지 후보에게 낙선하였다.[17][18]2011년에는 당대회를 통해 당명을 인민당으로 환원하였고, 당 노선을 사회민주주의로 변경하였다. 2012년 1월에는 연립정부에서 이탈하였고, 2012년 총선에서도 민주당이 압승을 거두며 야당 생활을 지냈다.[19] 2012년 지방 선거에서도 참패하였으며[20] 2013년 대선에서는 엘벡도르지가 재선에 성공하면서 참패의 쓴맛을 보게 된다.[21] 2016년 총선에서는 85%의 높은 득표율로 제1당의 자리를 탈환했으나 2017년 대선에서는 미예곰빈 엔흐볼드 후보가 할트마깅 바톨가에게 낙선하였다.[22][23][24]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통령 선거[편집]

선거명 후보 득표수 득표율 당락
1993년 몽골 대통령 선거 로우도운진 투데브 397,061 40.1% 낙선
1997년 몽골 대통령 선거 나차긴 바가반디 597,573 62.5% 당선
2001년 몽골 대통령 선거 나차긴 바가반디 581,381 59.2% 당선
2005년 몽골 대통령 선거 남바린 엥흐바야르 495,730 54.20% 당선
2009년 몽골 대통령 선거 남바린 엥흐바야르 520,948 48.07% 낙선
2013년 몽골 대통령 선거 바테르데데 바드만얌부 520,380 41.97% 낙선
2017년 몽골 대통령 선거 미예곰빈 엔흐볼드 497,067 44.85% 낙선
2021년 몽골 대통령 선거 오흐나깅 후렐수흐 823,326 72.02% 당선

국가대후랄 총선 (상원)[편집]

년도 의석 수 득표수 득표율
1951
176 / 295
1954
192 / 295
1957
178 / 233
1960
207 / 267
1963
216 / 270
1966
234 / 287
1969
252 / 297
1973
282 / 336
1977
328 / 354
1981
344 / 370
1986
346 / 370
1990
358 / 430
1992
70 / 76
1,719,257 56.9%
1996
26 / 76
408,977 40.5%
2000
72 / 76
517,746 51.6%
2004
36 / 76
517,443 48.23%
2008
45 / 76
914,037 52.67%
2012
26 / 76
353,839 31.31%
2016
65 / 76
636,316 45.69%
2020
62 / 76
1,795,793 44.9%

소후랄 총선 (하원)[편집]

년도 의석 수 득표수 득표율
1990
31 / 50
598,984 61.1%

각주[편집]

  1. “SI Member Parties in Government”. 《www.socialistinternational.org》. Socialist International. 2019년 3월 18일. 2019년 6월 9일에 확인함. 
  2. “Participants - Progressive Alliance”. 《progressive-alliance.info》. 2017년 2월 14일에 확인함. 
  3. Simons, William B., 편집. (1980). 《The Constitutions of the Communist World》. Brill Publishers. 256쪽. ISBN 9028600701. 
  4. G., Dari (2011년 12월 5일). “Democracy Days to be inaugurated”. news.mn (in Mongolian). 2012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8일에 확인함. 
  5. Ahmed and Norton, Nizam U. and Philip (1999). 《Parliaments in Asia》. London: Frank Cass & Co.Ltd. 143쪽. ISBN 0-7146-4951-1. 2013년 7월 8일에 확인함. 
  6. Baabar (November 16, 2009). “Democratic Revolution and Its Terrible Explanations”. baabar.mn (in Mongolian). December 27, 2012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June 25, 2013에 확인함. 
  7. “Mongolia Celebrates 20th Anniversary of Democratic Revolution”. The International Republican Institute. December 11, 2009. December 19, 2010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August 8, 2012에 확인함. 
  8. Wilhelm, Kathy (1990년 3월 12일). “Mongolian Politburo resigns en masse”. 《The Free Lance Star》 (Fredericksburg, VA). 4면. 2013년 7월 8일에 확인함. 
  9. “Entire Mongolian Politburo resigns”. 《Lawrence Journal-World》 (Lawrence, KS). 1990년 3월 12일. 8A면. 2013년 7월 8일에 확인함. 
  10. Ch., Munkhbayar (2013년 3월 13일). “What was the Mongolian democratic revolution?”. dorgio.mn (in Mongolian). 2020년 5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8일에 확인함. 
  11. Lawrence, Susan V. (2011년 6월 14일). “Mongolia: Issues for Congress” (PDF).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3년 6월 25일에 확인함. 
  12. Mongolia: MPRP building in flames, president declares emergency Archived 2020년 8월 4일 - 웨이백 머신. Mongolia Web News. 2008-07-01.
  13. 5,000 người Mông Cổ tràn ngập thủ đô đòi giải tán quốc hội[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베트남어)
  14. Tsedevdamba, Oyungerel (2008년 7월 17일). “A young man with an American dream was among the state-of-emergency victims in Ulaanbaatar”. oyungerel.org. 2019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4일에 확인함. 
  15. B., Ganbileg (2011년 11월 30일). “Fully opened MPP building's elevator is prohibited to run (in Mongolian)”. 24tsag.mn. 2013년 8월 4일에 확인함. 
  16. “Who is who of MPP reformers (in Mongolian)”. info.mn. 2013년 8월 4일. 2020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4일에 확인함. 
  17. “Mongolia Profile”. BBC. 2012년 7월 31일에 확인함. 
  18. Enkhbayar, Roland-Holst, Sugiyarto, Shagdar, David and Guntur (September 2010). “Mongolia's investment priorities from a national development perspective” (PDF). berkeley.edu. 9쪽. 2013년 6월 25일에 확인함. 
  19. “Mongolia's State Great Hural (the Parliament)”. parliament.mn (in Mongolian). 2013년 8월 6일에 확인함. 
  20. G., Dashrentsen (July 1, 2013). “A party that is defeated in five elections in row is dissolved”. baabar.mn (in Mongolian). July 19, 2013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August 6, 2013에 확인함. 
  21. “Incumbent Mongolian president wins 2nd term on pro-Western, anti-graft platform”. 《The Washington Post》 (Washington). 2013년 6월 27일. 2013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29일에 확인함. 
  22. Diplomat, Peter Bittner, The. “Mongolian People’s Party Routs Democratic Party in Parliamentary Elections”. 《The Diplomat》 (미국 영어). 2017년 6월 15일에 확인함. 
  23. Edwards, Terrence (2016년 6월 30일). “Mongolian opposition wins landslide, voters fed up with hard times”. Reuters. 2016년 7월 16일에 확인함. 
  24. “Interview: Chinese premier's visit to open new chapter for China-Mongolia ties, further ASEM development -- ambassador”. People Republic of China. 2016년 7월 12일. 2016년 7월 16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