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아보기
몰아보기(영어: Binge-watching 빈지워칭[*])는 오랜 시간에 걸쳐 오락이나 정보 콘텐츠, 보통 단일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행위이다. 체력을 더 강조하고 행동의 자유는 적은 마라톤 시청과 일맥상통한다. 넷플릭스가 2014년 2월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73%의 참여자가 몰아보기를 "앉은 자리에서 한 번에 같은 TV 프로그램의 2~6개 에피소드를 보는 것"으로 정의하였다.[1] 일부 연구자는 몰아보기가 TV 프로그램의 맥락과 실제 내용에 따라 정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2] 다른 연구자는 일반적으로 몰아보기(binge-watching)라고 하는 것이 실제로는 한 가지 유형 이상의 TV 시청 행위(및 경험)를 의미한다고 제의하였다. 이들은 몰아보기의 개념을 장시간 앉아 있는 것(한 번에 3개 이상의 에피소드를 연속으로 보는 것)과 한 번에 한 에피소드씩 며칠에 걸쳐 프로그램의 한 시즌 전체(또는 여러 시즌)를 속도를 내서 보는 것을 모두 포함하여 의미를 확장하여야 한다고 제언하였다.[3]
2006년~2007년 기간 동안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훌루 등 시청자가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영화를 주문형으로 시청할 수 있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몰아보기가 문화적 현상으로 관찰되고 인기를 얻게 되었다.[4][5] 예를 들어, 넷플릭스 설문조사 참가자의 61%는 정기적으로 몰아보기를 한다고 답하였다.[1] 미국의 주요 비디오 스트리밍 제공업체의 주문형 비디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의 64% 이상이 1년에 한 번 꼴로 몰아보기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역사
[편집]일본의 만화 잡지 《주간 소년 점프》는 만화의 개별 편을 발행한 후 한 번에 몰아볼 수 있도록 별도의 독립형 단행본으로 엮는 방식을 개발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이 점프 방식으로 《드래곤볼》(1984년), 《원피스》(1997년), 《나루토》(1999년)와 같은 일본의 주요 대중 문화 히트작이 탄생하였다. 더 뉴요커의 맷 알트에 따르면 "점프는 오늘날 세계가 스트리밍 엔터테인먼트를 소비하는 방식을 예고하였다."[6]
몰아보기 행위를 이전에는 마라톤워칭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행위의 초창기 예시로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애니메이션 팬덤 커뮤니티에서 행해지던 VHS 테이프로 수입된 일본 애니메이션의 마라톤 시청 세션,[7][8] 1985년 7월 도나 리드와 루트 66의 여러 에피소드를 방영한 니켈로디언의 닉 앳 나이트 등이 있다.[9]
몰아보기의 영미권 표현인 "빈지워칭"(Binge-watching)은 주문형 시청 및 온라인 스트리밍의 출현으로 대중화되었다. 2013년, 매주 에피소드를 공개하는 업계 표준 모델과 달리 넷플릭스가 오리지널 프로그램의 한 시즌 전체를 일제히 공개하는 관행을 설명하기 위해 이 단어가 널리 쓰이게 되었다.[10]
2015년 11월, 《콜린스 영어 사전》이 "빈지워치"(binge-watch)를 올해의 단어로 선정하였다.[11]
대한민국에서는 몰아보기 행위를 순방향대로 운전한다는 뜻을 가진 정주행이라고도 표현한다.[12][13]
문화적 영향
[편집]배우 케빈 스페이시는 2013년 맥 태거트 강연을 통해 텔레비전 경영진에게 다음과 같이 청하였다. "시청자가 원할 때 그들이 원하는 것을 제공해야 한다. 몰아보고 싶어 한다면 몰아보도록 두어야 한다." 그는 여전히 수백만 명이 불법으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있지만, 고품질의 이야기가 몇 시간동안 계속해서 시청자의 관심을 유지할 것이며 불법 복제 행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하였다.[14] 《더 와이어》와 《브레이킹 배드》와 같은 "복잡하고 질 좋은 TV"를 몰아보기 하는 것은 한 번에 한 장 이상의 소설을 읽는 것과 같으며, 어떤 이들에게는 TV를 시청하는 "현명하고 사색적인 방법"으로 여겨진다.[15] 최근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몰아보기를 하는 동안 프로그램의 세계 속으로 "이동한" 느낌이 들며, 이로 인해 시청의 즐거움이 배가하고 몰아보기를 더 자주 그리고 더 오래하게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6]
ITV 텔레비전 책임자 피터 핀첨은 앞으로의 에피소드를 예상하고 친구들과 토론할 기회가 줄어들기 때문에 몰아보기가 텔레비전의 "사회적 가치"를 약화시킨다고 경고하였다.[17]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에 따르면 과한 몰아보기가 반드시 사회적 참여를 줄이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한 연구에서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는데, 몰아보기를 많이 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매일 친구, 가족과의 상호 작용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도하게 몰아보기를 하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어떤 프로그램을 볼 것인지에 대한 의견의 원천으로 이용되며 종종 오프라인과 온라인 모두에서 TV 프로그램에 대한 대화에 참여한다.[18]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에서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텔레비전 몰아보기는 우울증과 외로움, 자기조절 결핍, 비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들은 "일부 사람들은 몰아보기가 무해한 중독이라고 주장하지만, 우리의 연구 결과는 몰아보기가 더 이상 이런 식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암시한다."라고 결론짓는다.[19] 청주대학교 이성준 박사의 연구에서는 개인 성격 특성으로서의 정서불안정성이 몰아보기 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0] 정서불안정성은 우울증과도 연관되며, 현실 회피를 위해 미디어를 이용하는 미디어 중독 현상과도 이어져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있다.[21][22] 몰아보기가 단순 미디어 이용 행위를 넘어서는 중독과 같은 병리학적 결과물일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으며,[20] "몰아보기 중독"으로 치료를 받는 사례는 이미 보고된 바 있다.[23]
매체학자 앤 스위트 박사가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몰아보기는 폭식이나 폭음과 유사한 강박적 소비의 한 형태이며, 심지어는 중독적 측면으로 인해 TV 중독의 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24] 이러한 발견은 피츠먼과 스타이너(2019년)가 문제화하였는데, 이들은 "개인이 프로그램에 주의집중하는 정도는 몰아보기에 대한 동기에 따라 뒤따르는 후회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25]
로언 대학교의 매체학자 에밀 스타이너 박사가 수행한 연구에서는 몰아보기의 동기를 다섯 가지(따라잡기, 휴식, 완성감, 문화적 포함, 시청 경험 향상)로 나누었다. 저자는 강박 상태가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의 몰아보기 시청자는 발생 초기 기술-문화적 행동과 양가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결론지었다.[26] 더 나아가, 그는 몰아보기에서의 통제에 대한 협상이 텔레비전 문화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변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한다.[27]
2016년 테크니컬러 연구소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몰아보기 세션은 가까운 장래에 또 다른 몰아보기 세션의 가능성을 높인다. 한편으로, 대다수의 사람들은 즉시 또 다른 몰아보기를 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는 몰아보기가 실제 주문형 비디오 소비자들에게 일관된 행동이 아님을 나타낸다.[2]
오늘날에는 공개된 지 24시간 이내에 프로그램의 한 시즌 전체를 보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2018년 성인 TV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29%가 그렇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18~29세 사이에서는 그 숫자가 51%로 증가한다.[28]
주의집중과 기분
[편집]테네시 대학교의 매슈 피트먼 박사와 로언 대학교의 에밀 스타이너 박사가 공동으로 수행한 2019년 연구에서는 주의집중이 시청자 경험과 몰아보기 후 후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번 조사(N = 800)에서는 개인이 프로그램에 주의집중하는 정도가 몰아보기 동기에 따라 뒤따르는 후회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25] 그러나 단순히 더 많은 주의집중을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보는 것만으로는 몰아보기 후 후회를 완화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이들의 후속 연구(피츠먼과 스타이너, 2021년)에서는 몰아보기를 미리 계획한 시청자가 시청 동기와 일치하는 프로그램(편안한 코미디, 마음을 사로잡는 드라마,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좋아하는 것)을 선택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29] 이러한 계획은 "시청자의 참여를 향상시켜 정서적 결과를 개선시켰다."[30]
텔레비전 업계에서는 2020년대 초에 새로운 시리즈를 몰아보기로 시청하면 전통적인 일정에 따라 출시되는 프로그램에 비해 장기적으로 기억에 남지 않을 수 있다는 추측이 나왔다. 스트리밍 제공 업체 중 한 번에 에피소드를 공개하는 데 가장 공격적인 넷플릭스 모델과 달리, 디즈니+는 오리지널 시리즈 중 일부를 주간 일정으로 공개하는 데 성공하였다. 쇼러너들은 자신들의 프로그램이 전체 출시되지 않기 위한 창의적 결정으로 점점 더 많은 요구를 하고 있다.[31]
수면에 미치는 영향
[편집]2017년 한 연구에 따르면 몰아보기가 수면의 질 저하와 불면증, 피로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2][33] 실제로 몰아보기를 하면 인지 각성이 증가하여 수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2] 연구 결과 몰아보기를 즐기는 사람들의 98%는 수면의 질이 낮고 잠자기 전에 더 기민하며 더 많이 피로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또한 수면과 텔레비전 시청 사이의 부정적인 연관성에 관한 수면 연구 결과가 일관되지 않았으며, 이는 몰아보기와 구별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32]
광고 효과
[편집]2016년 연구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몰아보기하는 경향이 있는 시청자는 그렇지 않은 시청자보다 광고에 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 시간이 길어질수록 광고 효과는 떨어진다.[34] 연구진은 이 현상을 광고로 인한 내용 끊기 때문으로 보았다. 몰아보기를 즐기는 사람들은 자신이 보고 있는 내용에 계속 몰입하고 싶어한다. 그들은 현실 세계로 강제로 돌아오고 싶어하지 않는다.[35]
2019년에 훌루는 몰아보기 시청자를 위한 새로운 광고 형식을 도입하였다. 한 브랜드는 몰아보기 세션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에피소드 동안 몰아보기에 대한 농담과 언급이 포함된 광고를 내보낸다. 세 번째 에피소드가 시작되기 전에 브랜드는 특별 프로모션을 담은 광고를 내보내거나 광고로 내용 끊기 없이 다음 에피소드를 볼 수 있다고 밝여 몰아보기 시청자에게 보상한다.[36]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West, Kelly (2013년 12월 13일). “Unsurprising: Netflix Survey Indicates People Like To Binge-Watch TV”. Cinema Blend. 2014년 2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Trouleau, William; Ashkan, Azin; Ding, Weicong; Eriksson, Brian (2016). 《Just One More: Modeling Binge Watching Behavior》. KDD '16. New York, NY, USA: ACM. 1215–1224쪽. doi:10.1145/2939672.2939792. ISBN 978-1-4503-4232-2.
- ↑ Anghelcev, George; Sar, Sela; Martin, Justin; Moultrie, Jas L (2021). “Binge-Watching Serial Video Content: Exploring the Subjective Phenomenology of the Binge-Watching Experience”.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24 (1): 130–154. doi:10.1080/15205436.2020.1811346.
- ↑ Poniewozik, James (2012년 7월 10일). “Go Ahead, Binge-Watch That TV Show”. 《Time》 (Time). 2013년 9월 7일에 확인함.
- ↑ Jurgensen, John (2012년 7월 13일). “Binge Viewing: TV's Lost Weekends”. 《The Wall Street Journal》. 2017년 2월 26일에 확인함.
Using streaming and DVRs, TV viewers are increasingly gobbling up entire seasons of shows in marathon sessions
- ↑ Alt, Matt (2021년 6월 18일). ““Demon Slayer”: The Viral Blockbuster from Japan”. 《The New Yorker》. 2021년 6월 20일에 확인함.
- ↑ McKevitt, Andrew C. (2017년 8월 31일). 《Consuming Japan: Popular Culture and the Globalizing of 1980s America》. UNC Press Books. 194–5쪽. ISBN 978-1-4696-3448-7.
- ↑ Plunkett, Luke (2016년 11월 22일). “Early Anime Fans Were Tough Pioneers”. 《Kotaku》 (미국 영어). 2020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Slevinski, Christy. “CLASSIC MOVE: NICK AT NITE MARKS A DECADE”. 《New York Daily News》. 2018년 5월 1일에 확인함.
- ↑ “Oxford Dictionaries Word of the Year 2013”. 《OxfordWords blog》. Oxford Dictionaries. 2013년 11월 19일. 2013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 “Binge-watch is Collins' dictionary's Word of the Year”. 《BBC News》. 2015년 11월 5일. 2015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박정선 (2021년 8월 12일). ““꺼진 줄 알았는데, 다시 불타올라”…OTT 타고 부는 ‘방송 정주행’ 열풍”. 《데일리안》. 2021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 서정보 (2020년 1월 29일). “정주행과 역주행[오늘과 내일/서정보]”. 《동아일보》. 2021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 BBC News (2013년 8월 22일). “Kevin Spacey: TV audiences 'want to binge'”. BBC. 2015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Barton, Kristin M. (2015년 3월 2일). 《A State of Arrested Development: Critical Essays on the Innovative Television Comed》. McFarland. 228쪽. ISBN 978-0-7864-7991-7.
- ↑ Anghelcev, George; Sar, Sela; Martin, Justin; Moultrie, Jas (2021). “Binge-Watching Serial Video Content: Exploring the Subjective Phenomenology of the Binge-Watching Experience”.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24 (1): 130–154. doi:10.1080/15205436.2020.1811346.
- ↑ Plunkett, John; Sweney, Mark (2013년 8월 26일). “Kevin Spacey's MacTaggart lecture prompts defence of traditional TV”. 《The Guardian》 (Guardian Media Ltd). 2015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Anghelcev, George; Sar, Sela; Martin, Justin; Moultrie, Jas L (2020). “Is Heavy Binge-watching a Socially Driven Behaviour? Exploring Differences Between Heavy, Regular and Non-binge-watchers”. 《Journal of Digital Media & Policy》: 1–21. doi:10.1386/jdmp_00035_1.
- ↑ Sung, Yoon Hi; Kang, Eun. “A Bad Habit for Your Health? An Explora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for Binge-Watching Behavior”.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2015년 8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이성준 (2018년 2월 28일). “드라마 시리즈물 몰아보기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및 구조적 요인에 관한 고찰” (PDF).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한국콘텐츠학회) 18 (2): 405-418. doi:10.5392/JKCA.2018.18.02.405. 202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 이창훈, 김정기 (2015년 2월). “세컨스크린 미디어이용의 특성과 효과: 개인성향과 프로그램 장르, 미디어 중독, 애착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한국언론학회) 59 (1): 331-357.
- ↑ M. Kremar and L. G Kean (2005). “Uses and gratification of media violence: Personality correlates of viewing and liking violent genres”. 《Media Psychology》 7 (4): 399–420. doi:10.1207/S1532785XMEP0704_5.
- ↑ Gardner, Bill (2020년 1월 6일). “Three people treated for 'binge watching' addiction to TV in first cases of their kind in Britain”. 《The Telegraph》 (영국 영어). ISSN 0307-1235. 2020년 1월 25일에 확인함.
- ↑ Sweet, Anne (2017). “Dependence in / on TV series II (Séries et dépendance: Dépendance aux séries II)”. 《InMedia》 6.
- ↑ 가 나 Pittman and Steiner (2019). “Transportation or Narrative Completion? Attentiveness during Binge-Watching Moderates Regret”. 《Social Sciences》 (미국 영어) 8 (3): 99. doi:10.3390/socsci8030099.
- ↑ Steiner, Emil. “Binge-Watching Motivates Change”. 《Convergence》. doi:10.1177/1354856517750365.
- ↑ Baker, Brandon. “Infrequently Asked Questions: Why do we binge-watch?”. 《Philly Voice》. 2016년 7월 26일에 확인함.
- ↑ “Most Young Adults Have an Appetite for Binge-Watching Shows”. 《Morning Consult》 (미국 영어). 2018년 11월 6일. 2020년 2월 29일에 확인함.
- ↑ Pittman and Steiner (2021). “Distinguishing feast-watching from cringe-watching: Planned, social, and attentive binge-watching predicts increased well-being and decreased regret”. 《Convergence》 (미국 영어). doi:10.1177/1354856521999183. 2021년 3월 22일에 확인함.
- ↑ Pierce-Grove, Ri (2020년 5월 2일). “Binge-watching can soothe the coronavirus quarantine blues, and no need for guilt”. 《USA Today》 (미국 영어). 2020년 5월 2일에 확인함.
- ↑ Press}work=Vanity Fair, Joy (2021년 5월 14일). “One Episode at a Time, Please: Is a Binge Backlash Brewing?”.
- ↑ 가 나 다 Exelmans L, Van den Bulck J. (2017). “Binge viewing, sleep, and the role of pre-sleep arousal.”. 《J Clin Sleep Med》 13 (8): 1001–1008. doi:10.5664/jcsm.6704. ISSN 1550-9397. PMC 5529125. PMID 28728618.
- ↑ “Binge-watching television associated with poor sleep in young adults”.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2017년 8월 14일. 2020년 6월 20일에 확인함.
- ↑ Schweidel, David A.; Moe, Wendy W. (2016년 9월 1일). “Binge Watching and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영어) 80 (5): 1–19. doi:10.1509/jm.15.0258. ISSN 0022-2429.
- ↑ “Encouraging TV Binge Watching May Backfire On Advertisers”. 《NPR.org》 (영어). 2020년 2월 29일에 확인함.
- ↑ Steinberg, Brian (2019년 12월 12일). “Hulu Hopes to Make Ads Part of Your Binge Session”. 《Variety》 (영어). 2020년 2월 2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