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오리인(영어: Moriori)은 채텀 제도의 원주민이다. 폴리네시아인에 속하며, 적도의 폴리네시아 지방에서 이주해 왔다는 설도 있지만 현재 정설은 1500년경에 뉴질랜드에서 이주해 온 마오리족의 후손이라는 것이다.[1][2][3][4]
모리오리인은 채텀 제도를 Rekohu라고 불렀는데 이 섬의 안개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그들은 어패류나 물개 등을 사냥해 생존했으며 어머니인 땅과 아버지인 하늘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신화가 있었다. 모리오리인도 잠시 전쟁을 하던 때가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며 점차 첫 번째 사상자가 나오면 전쟁을 멈추게 되었다. 모리오리족의 인구는 2000명에까지 이르렀으나 유럽인들의 상륙으로 소규모 교전이 발생해 1660명으로 줄었고 유럽인들이 더 상륙하면서 어린 젖먹이를 사냥하지 않는 풍습을 무시하고 물개와 새 등을 계속 잡아 식량이 거의 고갈되었다. 1835년, 웰링턴 지역에서 온 마오리족이 소유권을 주장함으로써 유럽인들의 학살로 모리오리인은 101명으로 감소했으며, 마오리족 또한 유럽인들에게 쫓겨 소유권을 포기했다. 일설에 따르면 최후의 순수혈통으로 알려진 라우루 부족의 족장이 유럽인들을 평화롭게 맞이하도록 해 그렇다고도 한다. 결국 모리오리인은 마오리족의 침략으로 남쪽 섬으로 쫓겨나 사라졌다.[5][6] 마오리족에 의한 학살과 식인이 이루어졌다는 설도 있다.[7] 침략과 학살은 1830년대에 이루어졌다.
↑Clark, Ross (1994). 〈Moriori and Maori: The Linguistic Evidence〉. Sutton, Douglas G. 《The Origins of the First New Zealanders》. Auckland: Auckland University Press. 123–135쪽.
↑Solomon, Māui; Denise Davis (2011년 9월 2일). “Moriori”.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2년 5월 4일에 확인함.
↑Howe, Kerry R. (2011년 9월 24일). “Ideas of Māori origins”.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2년 6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4일에 확인함.
↑McFadgen, B. G. (March 1994). “Archaeology and Holocene sand dune stratigraphy on Chatham Island”.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New Zealand》 24 (1): 17–44. doi:10.1080/03014223.1994.9517454.